목차
1.정의
2.원인
3.증상
4.진단
5.치료
6.간호
2.원인
3.증상
4.진단
5.치료
6.간호
본문내용
7) 수술
① 여과기를 삽입하여 대정맥을 지나는 색전을 걸러내거나 방해하는 수술이나 폐 색전 절제술을 시행함
② 색전 절제술은 개흉술이나 카테터로 폐동맥에서 혈전을 절제하는 수술: 색전으로 혈 행기전이 나빠진 환자, 특히 순환이 불안정하거나 혈전용해 치료가 금기인 환자에게 시행
6. 간호
1) 저산소혈증이나 호흡기능 장애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 호흡증진을 위해 반좌위를 취 하게 하고 처방대로 산소를 공급
2) 우심부전 증상 관찰: 심음을 자주 청취하여 잡음이나 가외의 심음이 들리는지 평가
3) PTT를 모니터하여 치료 효과를 평가: 대개 정상치보다 2~2.5배 증가시킴
4) 항응고작용이 과도한지 소변, 대변, 치은이나 치아에서의 출혈, 피하조직의 멍, 옆구리 통증을 조사
5) 정서적인 지지로 불안을 감소시켜 호흡곤란을 완화시킴
6) 필요시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키기위해 진통제 투여함
7) 산소를 투여하거나 구강으로 호흡하는 환자는 부드러우 SCLTTHF이나 세정용액으로 구강간호를 시행함
1. 도복늠(2004), 최신정신간호학개론, 정담미디어
2. 서문자외(2004), 성인간호학 下Ⅲ, 수문사
3. 최정신(2003), 내. 외과 간호학 Ⅲ, 형설출판사
① 여과기를 삽입하여 대정맥을 지나는 색전을 걸러내거나 방해하는 수술이나 폐 색전 절제술을 시행함
② 색전 절제술은 개흉술이나 카테터로 폐동맥에서 혈전을 절제하는 수술: 색전으로 혈 행기전이 나빠진 환자, 특히 순환이 불안정하거나 혈전용해 치료가 금기인 환자에게 시행
6. 간호
1) 저산소혈증이나 호흡기능 장애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 호흡증진을 위해 반좌위를 취 하게 하고 처방대로 산소를 공급
2) 우심부전 증상 관찰: 심음을 자주 청취하여 잡음이나 가외의 심음이 들리는지 평가
3) PTT를 모니터하여 치료 효과를 평가: 대개 정상치보다 2~2.5배 증가시킴
4) 항응고작용이 과도한지 소변, 대변, 치은이나 치아에서의 출혈, 피하조직의 멍, 옆구리 통증을 조사
5) 정서적인 지지로 불안을 감소시켜 호흡곤란을 완화시킴
6) 필요시 통증과 불안을 감소시키기위해 진통제 투여함
7) 산소를 투여하거나 구강으로 호흡하는 환자는 부드러우 SCLTTHF이나 세정용액으로 구강간호를 시행함
1. 도복늠(2004), 최신정신간호학개론, 정담미디어
2. 서문자외(2004), 성인간호학 下Ⅲ, 수문사
3. 최정신(2003), 내. 외과 간호학 Ⅲ, 형설출판사
추천자료
지체장애인
잠수병 포화잠수 우물통 Suction Caisson pile
뇌졸중 CASE STUDY
[간호학]뇌졸증, 천식, 심근경색, 당뇨병, 폐렴 문헌고찰 및 진단검사 조사
[심폐소생술][CPR]심폐소생술(CPR)의 원리, 목적, 종류, 소아심폐소생술(CPR)고찰과 심폐소생...
혈액 및 조혈기능에 작용하는 약
하부 호흡기 장애의 수술요법과 간호
성인간호학 - 후천성 판막질환과 간호
뇌졸중 CASE STUDY 16P
심장마취
폐엽절제술(lung lobectomy)과 수술 후 간호
뇌졸중 - 뇌졸중의 개요, 뇌졸중의 병기와 간호, 뇌졸중의 재활
[성인간호] 폐암 Lung Cancer 병태새리 및 간호중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