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엽절제술(lung lobectomy)과 수술 후 간호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엽절제술(lung lobectomy)과 수술 후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폐의 구조 및 기능
1. 폐(lung)
2. 폐엽
3. 흉막(pleura)
4. 신경
5. 혈관
Ⅱ. 폐엽절제술(Lung lobectomy)
1. 수술개요
2. 수술 적응증
3. OP procedure
1) Incision of the skin
2) Incision of muscle
3) Division of the pleura
4) Exposure of thoracic cavity and incision of the pleura
5) Division and ligation of the blood vessel
6) Cut and closure of the bronchus
7) Closure of the wound
3. 수술 전 간호
4. 수술 후 간호
1) 적절한 심박출량 유지
2) 가스교환과 호흡의 증진
3) 기도유지 증진
4) 통증과 불편감 제거
5) 상지의 기능증진
6) 적절한 체액유지와 영양
7) 상처치유증진
8) 환자교육과 자가간호
5. 수술 후 합병증
1) 호흡부전(respiratory failure)
2) 출혈(hemorrhage)
3) 저혈압(hypotension)
4) 무기폐(atelectasis)
5) 감염(infection)
6) 기관지늑막누공(bronchopleural fistula)
7) 긴장성 기흉(tensional pneumothorax)
8) 피하기종(subcutaneous emphysema)
9) 농흉(empyema)
10) 심부정맥(cardiac dysrhythmia)
11) 혈전성정맥염(thrombophlebitis)
12) 지속적인 공기누출(persistent air leak)
13) 폐부종(Pulmonary edema)
14) 잔여 늑막강(residual pleural space)
15)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
Ⅲ. 폐암(Lung cancer)의 문헌고찰
1. 원인
2. 선별검사
3. 병태생리
4. 임상증상
5. 진단
6. 폐암의 병기
7. 치료방법
1) 수술요법
(1) 전폐 절제술(Pneumonectomy)
(2) 폐엽 절제술 (lobectomy)
(3) 양엽 절제술
(4) 쐐기 절제술 및 분절 절제술(Segmentectomy)
2) 방사선치료
3) 화학요법
4) 면역요법
5) 레이저요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술은 암의 진행단계와 환자의 전체적 건강상태와 기능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종
양을 제거하기위해 흉곽 절개술(thoracotomy)을 하여 폐분절 절제술이나 폐엽 절제술
(lobectomy) 또는 전폐 절제술(Pneumonectomy)을 할 수 있다.
(1) 전폐 절제술(Pneumonectomy)
한쪽 폐 전체를 절제해야 폐암을 전부 제거 할 수 있을 때는 한쪽 폐 전부를 절제해 내는 전폐 절제술을 시행한다. 많은 사람들이 한쪽 폐 전부를 절제하면 숨을 쉬기에 힘들지 않을까 걱정하는데, 폐기능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남은 한쪽 폐만으로도 충분히 호흡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2) 폐엽 절제술 (lobectomy)
엽 절제술이란, 폐의 한 엽을 제거하는 수술 방법입니다. 이 수술은 암종이 폐의 한 엽에 국한되어 있을 때 시행할 수 있는 수술 방법이다.
(3) 양엽 절제술
양엽 절제술이란, 엽 절제술의 일종이며, 폐의 두 엽을 한번에 제거하는 수술로 우측 폐에서만 가능하다. 이 수술은 암종이 폐의 두 엽에 걸쳐 있거나, 양엽으로 통하는 기관지나 혈관에 암이 있을 때 시 행할 수 있는 수술 방법이다.
(4) 쐐기 절제술 및 분절 절제술(Segmentectomy)
쐐기 절제술은 암이 매우 작은 부분에 있고 폐기능이 좋지 않을 때 암종을 제거하는 수술법이다. 이러한 수술은 폐암이 아주 초기인 경우이거나, 아주 적은 부분에만 암이 있을 때 시행한다.
2) 방사선치료
폐암이 흉곽 내 있거나 국소적일 때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방사선 치료는 수술이나 화학요
법과 병행할 때 가장 효과적이다. 어떤 경우는 수술 전에 방사선 치료를 하여 종양의 크기
를 줄이거나 수술 부위를 적게하기 위해 수행한다. 방사선 치료는 보통 5~6주간 시행한다.
주요 부작용은 피부자극, 피부 벗겨짐, 피로, 오심, 미각변화가 있다. 치료받는 동안 식도염
이 생기거나 후기 합병증으로 식도협착이 발생한다. 방사선 치료부위의 피부간호가 필요하
다.
3) 화학요법
폐암, 특히 소세포암의 치료방법으로 또는 수술과 병행하는 보조요법으로, 또는 비소세포암
이 전이되었을 때 선택되는 치료방법이다. 약물병용요법의 결과는 약물에 대한 암세포의 반
응과 환자의 전체적 건강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소세포폐암의 경우는 항암화학요법이 주된
치료 원칙이며 제한성 병기에서는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다. 비소세포폐암의 경우는 3기 이
후에 항암화학요법을 2기 또는 일부의 1기 폐암 환자에게 수술 후 재발 방지를 위해 보조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기도 한다. 항암화학요법은 생명을 연장하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치료 목표라고 할 수 있다. 반응이 좋은 일부 환자는 상당기간 동안 병이 안정
되어 일상 생활을 큰 문제없이 할 수도 있으며 그 중 일부는 장기 생존을 기대할 수 있다.
항암화학요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다 보면 암세포에 내성이 생겨 나중에는 잘 듣지 않는 경
우가 가장 큰 문제로 이럴 때는 다른 약제로 바꾸어 투여하게 된다. 비소세포폐암에는 시스
플라틴(Cisplatin), 비노렐빈(Vinorelbine), 탁솔(Taxol), 탁소터(Taxotere), 젬시타빈
(Gemcitabine), 알림타(Alimta) 등과 같은 항암제를 사용하고 있다. 소세포 폐암에 사용되
는 항암제의 종류로는 에토포사이드(Etoposide), 아드리아마이신(Adriamycin), 빈크리스틴
(Vincristine), 싸이톡산(Cyclophosphamide), 아이포스파마이드(Ifosphamide) 등이 있다
※ 폐암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화학요법의 부작용
약명
탈모증
오심/구토
골수억압
설사
독작용
Cisplatin
(platinol)
+
++++
+++
-
변비, 신독성, 귀의 독성, 저인산혈증
Cyclophosphamide
(Cytoxan, Procytox)
++
++
++
+
출혈성방광염, SIADH, 과색소증
Doxorubicin
(Adriamycin)
+++
++
+++
+
조직의 수포화, 심장독성, 점막염, 과색소증
Etoposide
(VP-16, VePesid)
+++
+++
++++
-
변비, 체위성저혈압
lfosfamide(IFEX)
++
++
++
+
출혈성방광염, 심장독성
Methotrexate(MTX)
+
++
+++
+
점막염
Mitomycin-C
(Mutamycin)
+++
++
+++
+
조직의 수포화, 폐손상
Procarbazine
(Matulane)
+
+++
+++
+++
체위성저혈압, 근육통, 관절통
Vinblastine
(VLB,Velban)
+
+++
+
-
조직의 수포화, 종양부위의 통증, 턱통증, 신경독성, 심부건반사소실
Vinorelbine
(Navelbine)
++
++
+++
+
조직의 수포화, 손.발가락의 무감각, 점막염, 무력증, 턱통증
* +=있음, ++=중정도, +++=강함, ++++=아주강함, -=없음
4) 면역요법
폐암환자는 면역이 억제된 경우가 많다. 효과적인 면역반응을 증진시켜 상태가 호전되도록
한다. 면역치료제로는 cytokines(성장요인, growth factors)이 가장 흔히 사용된다.
Cytokines은 호중구 감소증의 발병시기를 늦추어 화학요법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5) 레이저요법
레이저 사용은 수술할 수 없는 폐종양이 기관지를 폐쇄할 때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시행
한다. 이 치료법은 전신증상이나 독작용이 없어 환자가 견딜 수 있다. 그러나 레이저 치료
를 위해서는 기관지경으로 종양덩어리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기관지를 압박하는
종양은 레이저치료를 할 수 없다.
Ⅳ. 참고문헌
1. Lung Anatomy, Virtual Hospital(R), 2002년, B. Thompson M.D, William J. Lee, B.S., Jeffrey R. Galvin, M.D. and Jeffrey S. Wilson, M.D
2. 노인질환관리 I, 김귀분외, 2006, 현문사
3. 제4판 성인간호학(상), 전시자외, 2005, 현문사
4. 개정2판 수술실환자간호, 윤혜상, 2004, 청구문화사
5. 질병에 따른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임난영외, 2000, 현문사
  • 가격3,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13.09.02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67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