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릿글
(1). 영화/문화상품 수출 대표품목기대
(2). [문화 인프라 공연 2002] ‘문화상품' 세계무대서도 통한다
(3). [또 하나의 일본문화] 라면과 일본인
(4). 세계인의 맛으로 인정받은 문화상품 김치. (과연 우리는 우리 문화 상품을 지키고 있는가...?)
(5). 그 밖의 우리나라 전통 문화 상품들...
▷▶ 맺음말
(1). 영화/문화상품 수출 대표품목기대
(2). [문화 인프라 공연 2002] ‘문화상품' 세계무대서도 통한다
(3). [또 하나의 일본문화] 라면과 일본인
(4). 세계인의 맛으로 인정받은 문화상품 김치. (과연 우리는 우리 문화 상품을 지키고 있는가...?)
(5). 그 밖의 우리나라 전통 문화 상품들...
▷▶ 맺음말
본문내용
아 있는 생활문화가 되기 위해서는 긴 안목의 적극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김치의 우수성과 과학성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와 교육이 필요하며 후진도 양성해야 한다. 우리 전통음식을 전수하여 그 맛과 멋을 오늘에 알맞게 되살려 발전시키고 널리 세계에 알린다면 한국은 김치 종주국으로서의 위상을 펼쳐 나갈 수 있을 것이다.
(5). 그 밖의 우리나라 전통 문화 상품들...
전통향
향로품, 향세트, 가루향. 도구, 탑향.향꽂이, 장식용 청자 향로
차다기식품
녹차, 한방차, 다기(생활명품), 식품(굴비, 한과, 고추장)
문구사무용품
명함함, 필함, 서류함, 문진, 책갈피, 편지칼, 연적(청자), 열쇠고리
장식용품
나전칠기 (보석함, 반짇고리, 구절함, 경대, 노리개(옥), 조각보, 벽걸이),
한지공예 (한복인형), 문화재 재현품(다보탑석가탑, 하회탈, 백제 금동대향로, 천마총 금관 미니어쳐 제품), 생활소품(손거울, 손수건)
자연화장품 (한방 화장품, 식물성 화장품)
생활용품 (대자리, 숯베개, 숯방석, 숯매트, 생활소품, 소목공예품)
주방용품 (반상기, 접시, 다식접시, 과반. 쟁반잔. 컵. 주병 국수.냉면기 종 지. 수저. 받침, 제기)
도자기 (청자, 분청사기, 백자, 고급다기)
회화
민화(송학도, 청룡, 백록도, 일월오봉도 등), 회화영인본
▷▶ 맺음말
우리에게는 개발할 수 있는 전통 문화 상품이 엄청나다. 하지만 정작 그것을 제대로 개발해 내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김치를 일본이 기무치로 외국에 수출하고 있고 라면 또한 점유율을 빼앗기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무용을 전공하는 내가 보기에는 한국무용 또한 엄청난 부가 가치를 창조 할 수 있는 무형의 전통문화 상품이다. 외국에 나가서 공연을 하면 모두들 감탄을 금치 못한다.
외국에서는 환영받는 한국무용이 왜 우리나라에서는 무시를 당하고 소외당해야만 하는지...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맞춘 오페라는 상류층의 고급문화이고 사물음악에 맞춰 추는 탈춤은 저급문화 인가...? 여튼 우리나라 사람들은 우리 것의 소중함을 모른다.
과연 우리나라 사람 중에 우리의 전통문화를 한가지라도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생각이 든다. 그러므로 앞으로 우리의 것을 소중히 여기며 그것을 어떻게 개발, 발전 시켜야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그것을 감싸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 전통문화의 상업화를 위해서도 힘써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5). 그 밖의 우리나라 전통 문화 상품들...
전통향
향로품, 향세트, 가루향. 도구, 탑향.향꽂이, 장식용 청자 향로
차다기식품
녹차, 한방차, 다기(생활명품), 식품(굴비, 한과, 고추장)
문구사무용품
명함함, 필함, 서류함, 문진, 책갈피, 편지칼, 연적(청자), 열쇠고리
장식용품
나전칠기 (보석함, 반짇고리, 구절함, 경대, 노리개(옥), 조각보, 벽걸이),
한지공예 (한복인형), 문화재 재현품(다보탑석가탑, 하회탈, 백제 금동대향로, 천마총 금관 미니어쳐 제품), 생활소품(손거울, 손수건)
자연화장품 (한방 화장품, 식물성 화장품)
생활용품 (대자리, 숯베개, 숯방석, 숯매트, 생활소품, 소목공예품)
주방용품 (반상기, 접시, 다식접시, 과반. 쟁반잔. 컵. 주병 국수.냉면기 종 지. 수저. 받침, 제기)
도자기 (청자, 분청사기, 백자, 고급다기)
회화
민화(송학도, 청룡, 백록도, 일월오봉도 등), 회화영인본
▷▶ 맺음말
우리에게는 개발할 수 있는 전통 문화 상품이 엄청나다. 하지만 정작 그것을 제대로 개발해 내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김치를 일본이 기무치로 외국에 수출하고 있고 라면 또한 점유율을 빼앗기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무용을 전공하는 내가 보기에는 한국무용 또한 엄청난 부가 가치를 창조 할 수 있는 무형의 전통문화 상품이다. 외국에 나가서 공연을 하면 모두들 감탄을 금치 못한다.
외국에서는 환영받는 한국무용이 왜 우리나라에서는 무시를 당하고 소외당해야만 하는지...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맞춘 오페라는 상류층의 고급문화이고 사물음악에 맞춰 추는 탈춤은 저급문화 인가...? 여튼 우리나라 사람들은 우리 것의 소중함을 모른다.
과연 우리나라 사람 중에 우리의 전통문화를 한가지라도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생각이 든다. 그러므로 앞으로 우리의 것을 소중히 여기며 그것을 어떻게 개발, 발전 시켜야 할 것인지 고민해야 할 시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또한 그것을 감싸고 있는 것이 아니라 한국 전통문화의 상업화를 위해서도 힘써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다.
추천자료
일본의 정원 (일본문화의 이해)
한국 청소년 문화와 일본문화이 수용
[방송문화교류]일본방송 개방에 따른 일본과 그 방송에 대한 올바른 이해
한일간의 의생활 문화비교를 통한 일본문화의 이해
일본[관광지,축제,일본인,도시소개,문화]
일본의 근·현대 정치사를 통해 본 일본 무사도 문화의 영향.hwp
일본의 근·현대 정치사를 통해 본 일본 무사도 문화의 영향
다문화 국제사회의 이해 - 일본의 다문화 이해
한국의 자동차 문화와 일본의 자동차 문화의 비교관찰
일본인의 패션스타일로 알아보는 [일본문화] (쥬니히토에 조사)
[1920년대,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1920년대의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1920년대의 문화통치, 1...
일본학개론 - 일본의 라멘 (ラ_メン)문화 조사
일본기업 형성, 일본재벌 해체, 기업 문화 특징
[일본어로 찾아가는 일본문화탐방] 다음의 5개의 추천도서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1)∼3)을 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