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직물, 천종류의 화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천연섬유

2. 섬유로부터 짜여진 직물

3. 합성섬유

4. 가죽

본문내용

되므로 반드시 무두질이 필요하다. 무두질할 때는 우선 원피를 물로 씻고, 지방이나 살조각을 제거하고 유제를 작용시켜서 각각 사용목적에 따라 알맞게 가공한다. 아울러 부패 ·취약화 ·충해, 곰팡이의 발생을 방지하는 작업도 병행한다. 무두질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타닌(tannin)을 사용하는 타닌 무두질과 크롬화합물(collagen)을 주성분으로 용액을 사용하는 크롬 무두질이 있다.
① 식물성 원료를 사용하는 무두질
식물성 탄닌은 분자량이 500~3000 정도인 커다란 폴리페놀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탄닌은 호주산 아카시아, 열대 홍수림, 떡갈나무, 소나무, 버드나무, 밤나무, 포플러나무의 껍질이나 뿌리 그리고 잎에서 추출된다. 동물의 껍질이 탄닌과 같은 약한 산용액에 놓이게 되면 비결정질이면서 극성을 갖는 아교질부분 속으로 산이 침투하여 들어간다. 따라서 이 부분의 단백질 속에 있는 아미드결합이 산과 반응하여 강한 분자간 결합을 더 이상 이루지 못하는 형태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아교질부분은 딱딱한 상태에서 물에 부풀은 상태로 바뀌고 탄닌성분이 쉽게 내부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탄닌성분 속의 페놀은 단백질 속의 아미드결합보다 더 낮은 pH에서 산과 반응하기 때문에 용액의 산성을 잘 조절하면 아미드결합만 산과 반응하도록 하여 탄닌성분이 대신 아교질단백질과 수소결합을 이루면서 일종의 가교화 반응을 일으킨다. 이 반응은 무게의 약 50%에 해당하는 탄닌이 흡수되면 완결되는데, 동물의 껍질은 이런 반응을 통해 세균에 의해 잘 부패되지 않고, 훨씬 강하고 부드러우면서, 물에 잘 젖지 않는 가죽으로 바뀌게 된다. 그러나 열에 안정한 성질은 얻어지지 못한다.
② 크롬시약을 사용하는 무두질
크롬 무두질은 염기성 용액에서 이루어진다. 이 제법으로 만든 가죽은 세균의 침입에 강하고, 끓는 물에 넣어도 줄어들지 않지만 물이 쉽게 침투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왁스를 먹여 물이 잘 스며들지 못하게 다시 처리하여 사용한다.
③ 화학적 무두질
가장 많이 쓰이는 화학적인 무두질시약은 포름알데히드와 다음 화합물을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것들이다 : 나프탈렌 황산, 페놀, 황산화 페놀, 디아릴 술폰, 우레아, 멜라민, 디시아노디아민. 이들 물질은 1920년경에 알려졌고 2차 세계대전중에 아주 많이 개발되었다. 요즘은 거의 모든 무두질이 화학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4.07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