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신 기간별 임부의 사회 심리적 감정표현
1) 임신초기
2) 임신중기
3) 임신말기
2. 사례연구
1) 면담 및 설문
2) 사례연구 중 임부의 사회 심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3. 임부와 가족의 사회 심리적 적응 tip
1) 임부의 적응
2) 아버지의 적응
3) 형제의 적응
4) 조부모의 적응
4. 임부에게 흔한 사회 심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1) 임신우울증
2) 임신스트레스
5. 임산부의 건강을 위한 tip
1) 임산부에게 좋은 식이요법
2) 임산부에게 좋은 운동
6. 참 고
7. 출 처
1) 임신초기
2) 임신중기
3) 임신말기
2. 사례연구
1) 면담 및 설문
2) 사례연구 중 임부의 사회 심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3. 임부와 가족의 사회 심리적 적응 tip
1) 임부의 적응
2) 아버지의 적응
3) 형제의 적응
4) 조부모의 적응
4. 임부에게 흔한 사회 심리적 문제와 해결방안
1) 임신우울증
2) 임신스트레스
5. 임산부의 건강을 위한 tip
1) 임산부에게 좋은 식이요법
2) 임산부에게 좋은 운동
6. 참 고
7. 출 처
본문내용
열량도 높기 때문이다. 간식도 식사의 일부라고 생각하고 양보다 질이 높은 저열량 영양 간식을 먹는다. 우유와 유제품, 감자, 고구마 등이 적당하다.
⑦ 단백질 섭취에 만전을 기하자
임신 중에는 열량 소비가 많아지기 때문에 평소보다 칼로리 섭취를 늘리는 것이 원칙이다. 기본적으로 임신 중 필요한 하루 열량은 2500kcal. 하지만 영양가 없는 음식으로 칼로리만 늘려서는 안 된다. 무조건 많이 먹어서는 안 되며 양보다 질을 생각하자. 적절한 양의 식사를 균형 있게 여러 번 나누어 먹는 습관을 들인다. 전체적인 섭취량은 임신 전보다 약 20% 정도 늘린 양이 적당하다. 특히 단백질, 철분, 칼슘은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간혹 밥 먹은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도 돌아서면 배가 고프다는 임신부도 있는데 이는 식사시간에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섭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백질은 태아의 성장과 엄마의 건강을 위해 중요한 영양소다. 육류, 생선, 달걀, 콩 등을 섭취하며 질 높은 단백질을 보충하자.
⑧ 엄마 스스로 식단을 짜는 습관을 들인다
폭식을 하지 않고 균형 잡힌 식단을 제때 섭취하려면 평소 식단 짜는 습관을 들인다. 그리고 조금씩 여러 번에 거쳐 식사를 하는 것이 태아와 엄마 모두에게 바람직하다. 식단을 짤 때는 다음 예시처럼 구체적으로 적도록 한다.
⑨ 다양한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자
임신부라면 단백질·칼슘·무기질·비타민·지방 5가지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해야 한다. 어떤 식품군을 얼마만큼 잘 섭취하고 있는지 식사일지를 쓰면서 영양 밸런스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체중이 급격히 늘고 있다면 지방을 과다 섭취했을 가능성이 크다. 먹어도 배가 허하다면 단백질 섭취량이 부족한 탓이며, 변비가 심하다면 무기질과 식이섬유를 조금 섭취한 것이다. 간혹 살이 찐다고 주식인 밥을 전혀 먹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 주식은 한 끼 식단에서 밥이 50~60%를 차지하도록 섭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나머지 40~50%는 육류나 생선을 위주로 채소를 곁들여 먹으면 균형 잡힌 식사가 된다.
⑩ 임신 시기별 좋은 음식을 공략해 섭취하자
임신 과정에 따라 몸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시기별에 맞는 영양소를 적절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 초기에는 대부분 입덧을 하는 탓에 충분한 영양 섭취를 하기 어렵다. 다행히 이 시기의 영양 섭취는 태아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아기가 알아서 엄마의 영양을 나눠가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적은 양을 먹더라도 입맛에 맞는 음식을 먹는 것이 중요하다. 신 음식이 당긴다면 신 음식을 먹고 수분이 당긴다면 생과일주스를 마시며 수분과 영양소를 충분히 보충한다. 더불어 이 시기에는 단백질과 칼슘 섭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이제 막 자라기 시작하는 태아의 이와 뼈가 형성되는 데 도움을 주는 식단을 짜도록 하자. 임신 중기와 후기에는 아기가 몰라보게 자라고 두뇌 형성이 폭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신체·두뇌 발달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균형 있게 섭취하자. 단백질, 비타민이 풍부한 육류, 어패류, 콩, 견과류, 녹황색 채소 등이 대표 식품이다.
2) 임산부에게 좋은 운동
<임신초기>
1. 발목 돌리기 신체의 전 체중을 받쳐주는 발목.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된다.
① 양발을 멀리 뻗고 어깨 넓이만큼 벌린다.
② 크고 둥글게 원을 그리면서 발목을 돌린다.
2. 발목 멀리 밀기 발목관절 울혈 제거와 소화가 잘 된다.
① 두 발을 편한 자세로 모으고 발끝을 몸 쪽으로 바짝 당긴다.
② 발끝을 몸 쪽으로 당길 때 숨을 들이마시고 내릴 때 길게 내쉰다.
3. 무릎 운동하기 다리의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
① 양 손을 뒤로 하여 바닥을 짚고 양 무릎을 어깨만큼 벌린다.
② 무릎을 바닥에 대고 발뒤꿈치는 힙 가까이에, 고개는 뒤로 돌린다
<임신중기>
1. 목 자극하기 목의 혈행을 자극한다.
①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머리 뒤로 깍지를 끼고 시선을 아래로 하여 고개를 약간 숙인다.
② 팔꿈치를 서서히 좁히면서 목을 한쪽으로 45˚ 각도로 숙여준다.
2. 두뇌 자극하기 두뇌에 혈액과 산소가 충분하게 공급된다.
① 머리 뒤로 깍지를 끼고 팔꿈치를 좁히면서 숨을 천천히 마신다.
② 숨을 내쉬면서 고개를 정면으로 숙여준다.
3. 옆구리 운동하기 옆구리 신경과 근육을 부드럽게 해준다.
① 오른발 뒷꿈치를 몸의 가운데로 오게 한다.
② 왼발을 멀리 뻗고 상체를 최대한 숙여준다.
.
<임신후기>
1.고양이 자세 골반을 자극하고 허리 힘을 길러준다.
① 양팔과 다리를 어깨넓이만큼 벌린다. 숨을 마시면서 배가 바닥에 닿듯이 허리힘을 뺀다.
② 숨을 내쉬면서 등을 높이 들고, 머리는 숙인다.
2.척추 자극하기 척추 중간부에 자극을 주면 태아의 활동이 활발해진다.
① 무릎을 꿇고 양팔은 바닥을 짚은 후 양 무릎을 붙이고 숨을 들이마신다.
② 머리는 들고 허리는 낮추며, 엉덩이를 한쪽으로 기울인다.
6. 참 고
임부들이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갖도록 돕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임부가 어머니 역할에 대한 자신의 관심을 표현하게 하고 어머니로서 무엇을 할 것인가 이야기하게 한다.
(2) 그룹 활동에 참여하게 한다.
(3) 어머니 역할에 대한 책을 읽게 한다.
(4) 임신 전에 하던 역할 중 포기하는 것이 있어서 그것 때문에 힘들어하면 그것을 말하게 하고, 슬퍼하면 슬퍼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말해 준다.
(5) 임부가 어떻게 하건 그 표현에 대해 비판을 가하지 않는다.
(6) 정상 임신 과정에 대한 교육을 한다.
(7) 신앙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얻게 돕는다.
(8) 남편과 가족이 적극적으로 지지하게 한다.
7. 출 처
1. 대한 가족계획 협회
2. 블로그 동생 본 첫째 아이 보듬기|작성자 유신사랑
3. 국가고시대비 참고교재 Ⅲ 모성간호학(1999)
- 대한간호학회 모성간호학회 편 / 대한간호협회
- 여성건강간호학Ⅰ(2005) / 정문숙 외 / 정담미디어
- 여성건강간호학Ⅰ(2007)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 수문사
4. 건강한 임신부를 위한 식사 지침 | 작성자콩반쪽 -
5. 금줄산모도우미site
⑦ 단백질 섭취에 만전을 기하자
임신 중에는 열량 소비가 많아지기 때문에 평소보다 칼로리 섭취를 늘리는 것이 원칙이다. 기본적으로 임신 중 필요한 하루 열량은 2500kcal. 하지만 영양가 없는 음식으로 칼로리만 늘려서는 안 된다. 무조건 많이 먹어서는 안 되며 양보다 질을 생각하자. 적절한 양의 식사를 균형 있게 여러 번 나누어 먹는 습관을 들인다. 전체적인 섭취량은 임신 전보다 약 20% 정도 늘린 양이 적당하다. 특히 단백질, 철분, 칼슘은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간혹 밥 먹은 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도 돌아서면 배가 고프다는 임신부도 있는데 이는 식사시간에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섭취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단백질은 태아의 성장과 엄마의 건강을 위해 중요한 영양소다. 육류, 생선, 달걀, 콩 등을 섭취하며 질 높은 단백질을 보충하자.
⑧ 엄마 스스로 식단을 짜는 습관을 들인다
폭식을 하지 않고 균형 잡힌 식단을 제때 섭취하려면 평소 식단 짜는 습관을 들인다. 그리고 조금씩 여러 번에 거쳐 식사를 하는 것이 태아와 엄마 모두에게 바람직하다. 식단을 짤 때는 다음 예시처럼 구체적으로 적도록 한다.
⑨ 다양한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하자
임신부라면 단백질·칼슘·무기질·비타민·지방 5가지 식품군을 골고루 섭취해야 한다. 어떤 식품군을 얼마만큼 잘 섭취하고 있는지 식사일지를 쓰면서 영양 밸런스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체중이 급격히 늘고 있다면 지방을 과다 섭취했을 가능성이 크다. 먹어도 배가 허하다면 단백질 섭취량이 부족한 탓이며, 변비가 심하다면 무기질과 식이섬유를 조금 섭취한 것이다. 간혹 살이 찐다고 주식인 밥을 전혀 먹지 않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 주식은 한 끼 식단에서 밥이 50~60%를 차지하도록 섭취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나머지 40~50%는 육류나 생선을 위주로 채소를 곁들여 먹으면 균형 잡힌 식사가 된다.
⑩ 임신 시기별 좋은 음식을 공략해 섭취하자
임신 과정에 따라 몸이 필요로 하는 영양소는 조금씩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시기별에 맞는 영양소를 적절히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 초기에는 대부분 입덧을 하는 탓에 충분한 영양 섭취를 하기 어렵다. 다행히 이 시기의 영양 섭취는 태아에게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아기가 알아서 엄마의 영양을 나눠가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적은 양을 먹더라도 입맛에 맞는 음식을 먹는 것이 중요하다. 신 음식이 당긴다면 신 음식을 먹고 수분이 당긴다면 생과일주스를 마시며 수분과 영양소를 충분히 보충한다. 더불어 이 시기에는 단백질과 칼슘 섭취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이제 막 자라기 시작하는 태아의 이와 뼈가 형성되는 데 도움을 주는 식단을 짜도록 하자. 임신 중기와 후기에는 아기가 몰라보게 자라고 두뇌 형성이 폭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이므로 신체·두뇌 발달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균형 있게 섭취하자. 단백질, 비타민이 풍부한 육류, 어패류, 콩, 견과류, 녹황색 채소 등이 대표 식품이다.
2) 임산부에게 좋은 운동
<임신초기>
1. 발목 돌리기 신체의 전 체중을 받쳐주는 발목.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된다.
① 양발을 멀리 뻗고 어깨 넓이만큼 벌린다.
② 크고 둥글게 원을 그리면서 발목을 돌린다.
2. 발목 멀리 밀기 발목관절 울혈 제거와 소화가 잘 된다.
① 두 발을 편한 자세로 모으고 발끝을 몸 쪽으로 바짝 당긴다.
② 발끝을 몸 쪽으로 당길 때 숨을 들이마시고 내릴 때 길게 내쉰다.
3. 무릎 운동하기 다리의 혈액순환에 도움이 된다.
① 양 손을 뒤로 하여 바닥을 짚고 양 무릎을 어깨만큼 벌린다.
② 무릎을 바닥에 대고 발뒤꿈치는 힙 가까이에, 고개는 뒤로 돌린다
<임신중기>
1. 목 자극하기 목의 혈행을 자극한다.
①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머리 뒤로 깍지를 끼고 시선을 아래로 하여 고개를 약간 숙인다.
② 팔꿈치를 서서히 좁히면서 목을 한쪽으로 45˚ 각도로 숙여준다.
2. 두뇌 자극하기 두뇌에 혈액과 산소가 충분하게 공급된다.
① 머리 뒤로 깍지를 끼고 팔꿈치를 좁히면서 숨을 천천히 마신다.
② 숨을 내쉬면서 고개를 정면으로 숙여준다.
3. 옆구리 운동하기 옆구리 신경과 근육을 부드럽게 해준다.
① 오른발 뒷꿈치를 몸의 가운데로 오게 한다.
② 왼발을 멀리 뻗고 상체를 최대한 숙여준다.
.
<임신후기>
1.고양이 자세 골반을 자극하고 허리 힘을 길러준다.
① 양팔과 다리를 어깨넓이만큼 벌린다. 숨을 마시면서 배가 바닥에 닿듯이 허리힘을 뺀다.
② 숨을 내쉬면서 등을 높이 들고, 머리는 숙인다.
2.척추 자극하기 척추 중간부에 자극을 주면 태아의 활동이 활발해진다.
① 무릎을 꿇고 양팔은 바닥을 짚은 후 양 무릎을 붙이고 숨을 들이마신다.
② 머리는 들고 허리는 낮추며, 엉덩이를 한쪽으로 기울인다.
6. 참 고
임부들이 긍정적인 자아 개념을 갖도록 돕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임부가 어머니 역할에 대한 자신의 관심을 표현하게 하고 어머니로서 무엇을 할 것인가 이야기하게 한다.
(2) 그룹 활동에 참여하게 한다.
(3) 어머니 역할에 대한 책을 읽게 한다.
(4) 임신 전에 하던 역할 중 포기하는 것이 있어서 그것 때문에 힘들어하면 그것을 말하게 하고, 슬퍼하면 슬퍼하는 것이 정상이라고 말해 준다.
(5) 임부가 어떻게 하건 그 표현에 대해 비판을 가하지 않는다.
(6) 정상 임신 과정에 대한 교육을 한다.
(7) 신앙을 통해 마음의 안정을 얻게 돕는다.
(8) 남편과 가족이 적극적으로 지지하게 한다.
7. 출 처
1. 대한 가족계획 협회
2. 블로그 동생 본 첫째 아이 보듬기|작성자 유신사랑
3. 국가고시대비 참고교재 Ⅲ 모성간호학(1999)
- 대한간호학회 모성간호학회 편 / 대한간호협회
- 여성건강간호학Ⅰ(2005) / 정문숙 외 / 정담미디어
- 여성건강간호학Ⅰ(2007) /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 수문사
4. 건강한 임신부를 위한 식사 지침 | 작성자콩반쪽 -
5. 금줄산모도우미site
추천자료
모성간호학 casestudy (LAVH)
모성간호학 전치태반 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
모성간호학실습
모성간호학 - C/S CASE STUDY
(모성간호학)분만실 case study -제왕절개분만
모성간호학 분만실 케이스
모성간호학) 정상분만 간호과정
모성간호학 레포트[나인먼쓰 감상] 임신관련 영화
[모성간호학][절박유산][Threatened abortion]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분만,산욕기,문헌...
[여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sarean section]
[여성간호학][C-SEC][제왕절개]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sarean section]
모성간호학 Case STudy - 제왕절개 (C-Sec)
[여성간호학] 다태임신과 임신오조증 문헌고찰 보고서
모성간호학실습 자궁경부암 cervix cancer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