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Ⅰ. 은둔형 외톨이의 정의와 특징 및
원인과 현실태.
1. 은둔형 외톨이의 정의와 특징
2. 히키코모리(ひきこもり)의 정의
3. 은둔형 외톨이와 히키코모리의 차이점
4. 은둔형 외톨이의 현황
5. 은둔형 외톨이의 원인 및 사례
Ⅱ. 은둔형 외톨이의 해결방안 및 감별진단.
1. 은둔형 외톨이 해결방안.
2. 은둔형 외톨이 진단방법(검사표)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Ⅱ. 본 론
Ⅰ. 은둔형 외톨이의 정의와 특징 및
원인과 현실태.
1. 은둔형 외톨이의 정의와 특징
2. 히키코모리(ひきこもり)의 정의
3. 은둔형 외톨이와 히키코모리의 차이점
4. 은둔형 외톨이의 현황
5. 은둔형 외톨이의 원인 및 사례
Ⅱ. 은둔형 외톨이의 해결방안 및 감별진단.
1. 은둔형 외톨이 해결방안.
2. 은둔형 외톨이 진단방법(검사표)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활 하는데 있어서 집단 내에서의 일반적인 가치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이 생겨나고 이는 집단 따돌림 즉 왕따 현상의 사회문제를 야기 시켰다. 또 경제위기, 취업난 등의 사회적 원인으로 우리나라는 학교를 졸업하고도 진학이나 취업을 하지 않는 니트족이 증가하고 있으며 청년실업자도 늘어가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 보급률과 인터넷 사용자의 비율이 최고 수준에 이르게 되었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굳이 집안에서 나가지 않고도 사는데 지장이 없는 여건이 만들어져 인터넷 중독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이 은둔형 외톨이가 증가하는 원인이라고 볼 수 있겠다.
다음으로 우리는 이러한 은둔형 외톨이의 해결 방안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을 생각해 보았다. 우선 사회의 가장 기본적이며 최소단위인 가정이 사랑과 보살핌으로 따뜻함을 느끼게 해서 은둔형 외톨이의 마음의 문을 열도록 하는 가정에서의 해결책이다. 두 번째는 사회 전반적인 지각이 될 수 있도록 대중매체나 그 밖의 사회적인 소통방법을 통해서 대중에게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은둔형 외톨이들이 사회로 나올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주는 사회적 민간차원에서의 해결책이다. 마지막으로 은둔형 외톨이가 그 생활에 익숙해지면 사회로 나가려는 의지를 상실해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국가적 차원의 해결책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해결책이 각각 따로 나누어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간의 상호 보완적이고 통합적인 관계 속에서 해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누구나 은둔형 외톨이가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많은 은둔형 외톨이들이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것에 비해 그에 대한 인식이 너무 약한 것이 다소 아쉬운 것 같다. 그리고 일본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에서부터 사회, 시민단체들이 은둔형 외톨이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선 반면 우리나라는 실태조차 파악하지 않는 현실이 걱정이 되며 더욱 아쉬움이 남는다. 이제부터라도 가정에서, 사회 및 민간차원에서, 나아가서 국가차원에서 해결책을 간구하여 현대사회에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은둔형 외톨이 문제를 예방하며 해결해 나가도록 노력하여야 하겠다.
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는 유기체론적 유추에 근거를 두고, “아프다”, “병들었다”는 개념을 사용하며 바람직한 사회의 조건과 조직은 “건강한”것이고, 도덕적 기대에 벗어난 사람이나 상황은 “병든” 것으로 간주하는 사회병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사회문제의 궁극적 원인은 사회화의 실패라고 하는 이러한 사회병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때 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는 외부와의 소통을 전혀 하지 않고 홀로 밀폐되고 폐쇄된 공간에서만 지속적으로 생활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사회화의 실패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말해서 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가 사회의 유기적 구조와 사회 유기체의 정상적인 운용을 방해하거나 해를 끼치게 되는 사회문제라고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문제의 해결책을 사회병리학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는 병든 사회제도를 치료하는 것에서부터 찾아야 하겠다.
인간은 사회를 만들고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회적 동물이다. 사회 속에서 주변 사람들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으며 자아실현을 하는 삶이 진정한 가치가 있는 삶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은 완벽할 수 없듯이 우리 모두도 고쳐야 할 부분이 있고 다만 히키코모리는 우리보다 고쳐야 할 부분이 눈에 띄게 드러나는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그 부분을 이해하고 고치도록 도움을 줘야 하겠다. 이를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일 것이다. 그들이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지, 얼마나 많은지, 그렇게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치료방법은 무엇 인지 등 많은 부분에 대한 이해가 필요 하겠다.
앞에서 살펴본 제도적인 의식적인 해결책보다 현실에서 행할 수 있는 사소한 것부터 차근차근 시작해야 할 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단계는 따뜻한 말 한마디와 관심어린 시선일 것이다. 따뜻한 말 한마디와 시선이 그들을 양지로 이끌어 줄 방법이 된다. 그런 마음가짐의 바탕 하에서 여러 해결책이 제시되고, 해결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무심코 했던 말이나 행동이 다른 이에게 커다란 상처를 주고 있지 않은가?” 하고 생각해야할 것이다. 그래서 상처를 주기보다는 보듬어 주어서 함께 나아갈 수 있는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은둔형 외톨이 히키코모리>
지은이 : 여인중
출판사 : 지혜문학(프리칭아카데미)
<인터넷 윤리>
지은이 : 정보통신윤리위원회.KIPS IT인증원 지음
출판사 : 이한출판사
<은둔형외톨이 검사표>
출처 :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사회병리학적 관점의 출처: <알기 쉬운 사회학>
http://dic.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dic&sm=tab_hty&query=%B0%A1%C1%B7&hw=1&x=21&y=22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hty&query=%C0%BA%B5%D0%C7%FC%BF%DC%C5%E7%C0%CC&hw=1&x=15&y=9
KBS 2TV 추적60분중 은둔형 외톨이 가족관련 내용
관련 TV방송보기 : KBS 2TV 추적60분 - 은둔형 외톨이 실태보고 1 , 은둔형 외톨이 실태보고 2
http://www.khj-h.com/gaido.htm
http://www.nhk.or.jp/hikikomori/index.html
http://www.mhlw.go.jp/topics/2003/07/tp0728-1.html
http://www.injaejeil.co.kr/special/special01.jsp?uid=736&se=1400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97&article_id=0000006614§ion_id=102&menu_id=102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90&article_id=0000010849§ion_id=102&menu_id=102
다음으로 우리는 이러한 은둔형 외톨이의 해결 방안으로 크게 세 가지 측면을 생각해 보았다. 우선 사회의 가장 기본적이며 최소단위인 가정이 사랑과 보살핌으로 따뜻함을 느끼게 해서 은둔형 외톨이의 마음의 문을 열도록 하는 가정에서의 해결책이다. 두 번째는 사회 전반적인 지각이 될 수 있도록 대중매체나 그 밖의 사회적인 소통방법을 통해서 대중에게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 은둔형 외톨이들이 사회로 나올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주는 사회적 민간차원에서의 해결책이다. 마지막으로 은둔형 외톨이가 그 생활에 익숙해지면 사회로 나가려는 의지를 상실해 버릴 수 있기 때문에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주는 국가적 차원의 해결책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해결책이 각각 따로 나누어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간의 상호 보완적이고 통합적인 관계 속에서 해결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누구나 은둔형 외톨이가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많은 은둔형 외톨이들이 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것에 비해 그에 대한 인식이 너무 약한 것이 다소 아쉬운 것 같다. 그리고 일본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에서부터 사회, 시민단체들이 은둔형 외톨이 문제에 적극적으로 나선 반면 우리나라는 실태조차 파악하지 않는 현실이 걱정이 되며 더욱 아쉬움이 남는다. 이제부터라도 가정에서, 사회 및 민간차원에서, 나아가서 국가차원에서 해결책을 간구하여 현대사회에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은둔형 외톨이 문제를 예방하며 해결해 나가도록 노력하여야 하겠다.
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는 유기체론적 유추에 근거를 두고, “아프다”, “병들었다”는 개념을 사용하며 바람직한 사회의 조건과 조직은 “건강한”것이고, 도덕적 기대에 벗어난 사람이나 상황은 “병든” 것으로 간주하는 사회병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다.
사회문제의 궁극적 원인은 사회화의 실패라고 하는 이러한 사회병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때 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는 외부와의 소통을 전혀 하지 않고 홀로 밀폐되고 폐쇄된 공간에서만 지속적으로 생활한다는 점에서 일종의 사회화의 실패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말해서 은둔형 외톨이(히키코모리)가 사회의 유기적 구조와 사회 유기체의 정상적인 운용을 방해하거나 해를 끼치게 되는 사회문제라고 규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문제의 해결책을 사회병리학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있는 병든 사회제도를 치료하는 것에서부터 찾아야 하겠다.
인간은 사회를 만들고 사회에서 살아가는 사회적 동물이다. 사회 속에서 주변 사람들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맺으며 자아실현을 하는 삶이 진정한 가치가 있는 삶이라고 생각한다. 사람은 완벽할 수 없듯이 우리 모두도 고쳐야 할 부분이 있고 다만 히키코모리는 우리보다 고쳐야 할 부분이 눈에 띄게 드러나는 것일 뿐이다. 그러므로 우리가 그 부분을 이해하고 고치도록 도움을 줘야 하겠다. 이를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은 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일 것이다. 그들이 어떤 문제를 겪고 있는지, 얼마나 많은지, 그렇게 되는 이유가 무엇인지, 치료방법은 무엇 인지 등 많은 부분에 대한 이해가 필요 하겠다.
앞에서 살펴본 제도적인 의식적인 해결책보다 현실에서 행할 수 있는 사소한 것부터 차근차근 시작해야 할 것이다. 가장 기본적인 단계는 따뜻한 말 한마디와 관심어린 시선일 것이다. 따뜻한 말 한마디와 시선이 그들을 양지로 이끌어 줄 방법이 된다. 그런 마음가짐의 바탕 하에서 여러 해결책이 제시되고, 해결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우리가 모르는 사이에 무심코 했던 말이나 행동이 다른 이에게 커다란 상처를 주고 있지 않은가?” 하고 생각해야할 것이다. 그래서 상처를 주기보다는 보듬어 주어서 함께 나아갈 수 있는 건강한 사회를 만드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은둔형 외톨이 히키코모리>
지은이 : 여인중
출판사 : 지혜문학(프리칭아카데미)
<인터넷 윤리>
지은이 : 정보통신윤리위원회.KIPS IT인증원 지음
출판사 : 이한출판사
<은둔형외톨이 검사표>
출처 :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사회병리학적 관점의 출처: <알기 쉬운 사회학>
http://dic.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dic&sm=tab_hty&query=%B0%A1%C1%B7&hw=1&x=21&y=22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sm=tab_hty&query=%C0%BA%B5%D0%C7%FC%BF%DC%C5%E7%C0%CC&hw=1&x=15&y=9
KBS 2TV 추적60분중 은둔형 외톨이 가족관련 내용
관련 TV방송보기 : KBS 2TV 추적60분 - 은둔형 외톨이 실태보고 1 , 은둔형 외톨이 실태보고 2
http://www.khj-h.com/gaido.htm
http://www.nhk.or.jp/hikikomori/index.html
http://www.mhlw.go.jp/topics/2003/07/tp0728-1.html
http://www.injaejeil.co.kr/special/special01.jsp?uid=736&se=1400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97&article_id=0000006614§ion_id=102&menu_id=102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90&article_id=0000010849§ion_id=102&menu_id=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