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ast <석고 붕대>
1. cast 목적
2. cast 종류와 시술법.
3. cast 대상자 간호
splint < 부 목>
1. splint 정의
2. splint 목적
3. splint의 유형 및 적용
4. splint 종류와 시술법.
5. splint 대상자 간호
1. cast 목적
2. cast 종류와 시술법.
3. cast 대상자 간호
splint < 부 목>
1. splint 정의
2. splint 목적
3. splint의 유형 및 적용
4. splint 종류와 시술법.
5. splint 대상자 간호
본문내용
모세혈관의 투과성의 증가로 세포외액과 혈장 단백질 같은 물질들이 모세혈관 벽 을 통과하여 부종을 초래 또는 기존의 부종을 증가.
2. 냉적용의 국소적 효과
: 출혈이 있거나 운동 후 상처(삠, 염좌, 골절)의 부종을 예방하기 위해 48시간 이내에 적 용!
장점 - 피부와 피하조직의 온도를 낮추고 혈관을 수축시킴.
혈관 수축으로 그 부위의 혈류가 감소되어 산소공급과 대사산물이 줄어들고, 노 폐물 제거도 감소하고 피부는 창백하고 차가워짐.
단점 - 장기간 노출 시 순환장애 , 세포박탈, 산소 및 영양소 결핍으로 조직의 손상 초래.
3. 열과 냉의 전신 효과
: 국소부위, 특히 넓은 신체부위에 열을 적용하면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떨어뜨리 고, 심하면 실신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심질환이나 폐질환이 있는 대상자, 동맥경화증 같 은 순환장애를 지닌 대상자들에게 나타나기 쉽다, 광범위한 냉적용과 혈관 수축은 혈액 이 피부순환에서 내부순환으로 바꿔지기 때문에 혈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지속적으로 추웠을 때 떨림이 나타나는 것은 신체가 스스로 따뜻해지려고 하는 정상반응이다.
4. 열과 냉의 생리적 효과
열
냉
혈관 확장
혈관 수축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모세혈관 투과성 감소
세포대사 증가
세포대사 감소
근육이완
근육이완
염증 증가 : 혈류 증가
세균 성장 지연, 염증 감소
근육이완으로 인하여 통증 감소
무감각하고 통증 자극 전도 늦추고 통증 역치를 높여서 통증 감소
진정 효과
국소 마취 효과
활액 점성도를 낮추어 관절 강직을 감소
출혈 감소
5. 반동 현상
: 반동 현상( rebound phenomenon)은 온·냉 적용의 효과가 최고조에 이르러 반대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할 때에 일어난다. 즉, 열적용 후 20~30분 이내에 최대로 혈관이 확장되 고 30~45분 이상 열을 계속 적용하면 울혈이 생기고, 혈관은 수축된다.
냉 적용으로 인한 혈관수축은 피부온도가 섭씨 15℃에 도달할 때 까지 일어난다. 15℃ 이하에서 혈관 확장이 일어나는데 이런 현상은 정상적인 방어기전으로, 일반적으로 추위 에 노출되는 코와 귀 같은 신체 조직이 동결되는 것을 막아준다. 추운 날씨에 걸어왔던 사람의 피부가 더운 환경에 노출되면 빨갛게 되는 것도 반동현상이다. 간호사는 이러한 반동현상을 충분히 이해하여 온·냉요법 적용 시 반동현상이 나타나기 전에 중단할 수 있 어야 한다.
6. 온·냉 적용 대상자 간호
온열요법을 견딜 수 있는 대상자의 능력을 파악한다.
출혈, 순환장애와 같은 금기가 있는지 확인한다.
대상자에게 해당요법에 대해 설명한다.
온열요법을 적용할 피부를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불편감이 있으면 보고하도록 한다.
온열요법 적용 후 15분 후 발적 같은 국소 징후를 관찰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는 중단한 다.
적용시간이 끝나면 기구를 정리한다.
적용한 부위를 조사하고 대상자의 반응을 기록한다.
진 단 명
기관지 폐렴 = bronchopneumonia
급성 세기관지염 = acute bronchiolitis
위장염 = gastroenteritis
대장염 = colitis
급성 인두염 = acute pharyngitis
tibia & fibular distal Fx. Lt. = 왼쪽 경골과 비골 말단의 골절
acute SDH(급성,만성) = 급성 경막하 출혈
타박상 = bruise
관절염 = arthritis
척추 협착증 = spinal canal stenosis
chronic compression Fx = 만성 압박 골절
T-SAH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basal skull Fx = 두개저 골절
pneumocephalus = 공기배증
ASO-arteriosclerosis obliterans-폐쇄성 동맥경화증
ONFH-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대퇴골두 괴사
OA-osteoarthsitis-골관절염
OM-osteomyelitis-골수염
RA-rhumatoid arthritis-류마티스성 관절염
Kyphosis -척추 후만증
LBP-Low back Pain-허리통증
Neurofibroma- 신경섬유종
Osteochondroma-골연골종
Ankylosing spondylitis-강직성 척추염
Spinal stenosis-척추협착
Spondylitis-척추염
Spondylolisthesis-척추전위증
Neurofibroma - 신경섬유종
Osteochondroma- 골연골증
2. 냉적용의 국소적 효과
: 출혈이 있거나 운동 후 상처(삠, 염좌, 골절)의 부종을 예방하기 위해 48시간 이내에 적 용!
장점 - 피부와 피하조직의 온도를 낮추고 혈관을 수축시킴.
혈관 수축으로 그 부위의 혈류가 감소되어 산소공급과 대사산물이 줄어들고, 노 폐물 제거도 감소하고 피부는 창백하고 차가워짐.
단점 - 장기간 노출 시 순환장애 , 세포박탈, 산소 및 영양소 결핍으로 조직의 손상 초래.
3. 열과 냉의 전신 효과
: 국소부위, 특히 넓은 신체부위에 열을 적용하면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떨어뜨리 고, 심하면 실신 할 수도 있는데 이는 심질환이나 폐질환이 있는 대상자, 동맥경화증 같 은 순환장애를 지닌 대상자들에게 나타나기 쉽다, 광범위한 냉적용과 혈관 수축은 혈액 이 피부순환에서 내부순환으로 바꿔지기 때문에 혈압을 증가시킬 수 있다. 지속적으로 추웠을 때 떨림이 나타나는 것은 신체가 스스로 따뜻해지려고 하는 정상반응이다.
4. 열과 냉의 생리적 효과
열
냉
혈관 확장
혈관 수축
모세혈관 투과성 증가
모세혈관 투과성 감소
세포대사 증가
세포대사 감소
근육이완
근육이완
염증 증가 : 혈류 증가
세균 성장 지연, 염증 감소
근육이완으로 인하여 통증 감소
무감각하고 통증 자극 전도 늦추고 통증 역치를 높여서 통증 감소
진정 효과
국소 마취 효과
활액 점성도를 낮추어 관절 강직을 감소
출혈 감소
5. 반동 현상
: 반동 현상( rebound phenomenon)은 온·냉 적용의 효과가 최고조에 이르러 반대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할 때에 일어난다. 즉, 열적용 후 20~30분 이내에 최대로 혈관이 확장되 고 30~45분 이상 열을 계속 적용하면 울혈이 생기고, 혈관은 수축된다.
냉 적용으로 인한 혈관수축은 피부온도가 섭씨 15℃에 도달할 때 까지 일어난다. 15℃ 이하에서 혈관 확장이 일어나는데 이런 현상은 정상적인 방어기전으로, 일반적으로 추위 에 노출되는 코와 귀 같은 신체 조직이 동결되는 것을 막아준다. 추운 날씨에 걸어왔던 사람의 피부가 더운 환경에 노출되면 빨갛게 되는 것도 반동현상이다. 간호사는 이러한 반동현상을 충분히 이해하여 온·냉요법 적용 시 반동현상이 나타나기 전에 중단할 수 있 어야 한다.
6. 온·냉 적용 대상자 간호
온열요법을 견딜 수 있는 대상자의 능력을 파악한다.
출혈, 순환장애와 같은 금기가 있는지 확인한다.
대상자에게 해당요법에 대해 설명한다.
온열요법을 적용할 피부를 사정한다.
대상자에게 불편감이 있으면 보고하도록 한다.
온열요법 적용 후 15분 후 발적 같은 국소 징후를 관찰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는 중단한 다.
적용시간이 끝나면 기구를 정리한다.
적용한 부위를 조사하고 대상자의 반응을 기록한다.
진 단 명
기관지 폐렴 = bronchopneumonia
급성 세기관지염 = acute bronchiolitis
위장염 = gastroenteritis
대장염 = colitis
급성 인두염 = acute pharyngitis
tibia & fibular distal Fx. Lt. = 왼쪽 경골과 비골 말단의 골절
acute SDH(급성,만성) = 급성 경막하 출혈
타박상 = bruise
관절염 = arthritis
척추 협착증 = spinal canal stenosis
chronic compression Fx = 만성 압박 골절
T-SAH (traumatic subarachnoid hemorrhage) = 외상성 지주막하 출혈
basal skull Fx = 두개저 골절
pneumocephalus = 공기배증
ASO-arteriosclerosis obliterans-폐쇄성 동맥경화증
ONFH- osteonecrosis of the femoral head-대퇴골두 괴사
OA-osteoarthsitis-골관절염
OM-osteomyelitis-골수염
RA-rhumatoid arthritis-류마티스성 관절염
Kyphosis -척추 후만증
LBP-Low back Pain-허리통증
Neurofibroma- 신경섬유종
Osteochondroma-골연골종
Ankylosing spondylitis-강직성 척추염
Spinal stenosis-척추협착
Spondylitis-척추염
Spondylolisthesis-척추전위증
Neurofibroma - 신경섬유종
Osteochondroma- 골연골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