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Cast 환자 간호>>
*Cast의 목적:
*종류:
1. 상지의 석고붕대
2. 하지의 석고붕대
3. Spica cast
4. 체간의 석고붕대
*감는 과정에서의 간호
*환자준비
*필요한 물품
*건조
*합병증 예방 간호
*간호중재
<<Traction환자 간호>>
*목적
*종류:
1) 피부견인
*피부 견인 시 간호
2) 골격견인
*골격견인 시 간호
<<부동 환자 간호>>
♣ 부동의 합병증과 간호
1. 심맥관계
2. 호흡기계
3. 근골격계
4. 대사계
5. 소화기계
6. 비뇨기계
7. 피부
8. 사회심리적인 문제
*Cast의 목적:
*종류:
1. 상지의 석고붕대
2. 하지의 석고붕대
3. Spica cast
4. 체간의 석고붕대
*감는 과정에서의 간호
*환자준비
*필요한 물품
*건조
*합병증 예방 간호
*간호중재
<<Traction환자 간호>>
*목적
*종류:
1) 피부견인
*피부 견인 시 간호
2) 골격견인
*골격견인 시 간호
<<부동 환자 간호>>
♣ 부동의 합병증과 간호
1. 심맥관계
2. 호흡기계
3. 근골격계
4. 대사계
5. 소화기계
6. 비뇨기계
7. 피부
8. 사회심리적인 문제
본문내용
*종류:
1. 상지의 석고붕대(upper extremity cast)
-압박 받기 쉬운 부분은 요골, 척골, 주두 및 측와부위이며 욕창의 발생에 주의한다.
(1) 정상지 석고붕대(long arm cast)
-손에서 상완부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주관절의 손상이나 상완골의 골절, 전박골의 골절, 손목 인대의 손상, 수근골의 경미한 골절 시 쓰인다.
(2) 단상지 석고붕대(short arm cast)
-손바닥에서 팔꿈치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손의 뼈와 요골하부의 골절이나 손목골절을 치료할 때 쓰인다.
2. 하지의 석고붕대(lower extremity cast)
-압박 받기 쉬운 부분은 내측외과와 발뒤꿈치이며 욕창의 발생에 주의한다
-하지 석고붕대 적용 시 비골 신경(peroneal nerve)에 압박을 많이 받으면 수족(foot drop)의 원 인이 된다.
(1) 장하지 석고붕대(long leg cast)
-발끝에서 대퇴부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경골 및 비골의 골절, 무릎 관절이나 대퇴하부의 골 절, 슬 관절 수술 후에 사용한다.
(2) 단 하지 석고붕대(short leg cast)
-발끝에서 무릎 아래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발목이나 발의 골절, 근육이식 후에 사용한다. 관 절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체중부하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행용 뒤축(walking heal)을 달아준다.
3. Spica cast
-둔부나 어깨부위, 엄지손가락에 적용한다. 몸체나 사지의 주요부분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사용한 다.
(1) 견관절 석고붕대(shoulder spica cast)
-상완골이나 어깨관절의 골절, 주관절 손상, 어깨관절의 탈구 치료 시 사용한다. 장상지 석고 붕대와 체간 석고붕대를 연결하여 견관절 고정한다.
(2) 고관절 석고붕대(hip spica cast)
-유두선 아래에서 손상 받은 쪽 하지의 전체 길이를 석고 붕대로 감는다. 선천성 고관절 탈 구나 고관절 및 슬 관절의 수술 후 사용한다.
(3) 엄지 석지 석고붕대(thumb spica cast)
-수근 골의 골절, 손바닥의 뼈 골절, 인대와 관절손상 시 사용한다.
4. 체간의 석고붕대(body cast)
-외과적인 척추융합술, 척추골절의 고정, 척추의 기형이나 척추손상의 치유를 위해 사용한다. 체간 부 석고는 흉곽상부에서 치골 부까지 몸통부분을 석고로 고정하므로 머리와 어깨, 사지가 자유롭다. 장골 능을 덮으나 둔부와 치골부위가 노출된다. 때에 따라서는 대퇴부와 골반 부와 경추를 포함하기도 한다. 체간 부 석고를 할 때는 호흡과 소화를 돕기 위해서 가슴과 복부에 공간을 여유 있게 하며 압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고 전면에 창구를 만든다.
*감는 과정에서의 간호:
1. 환자에게 석고붕대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석고붕대를 감기 전 면으로 된 stockinet로 환부를 넉넉히 싸고 스폰지나 솜 등을 뼈 돌출부위 에 대준다.
3. 석고붕대를 감고 있는 동안 환자의 체위를 편안하게 잡아주며 불필요하게 노출 된 환자의 신체부위를 보호해 준다.
4. 석고가 젖어 있는 동안 손가락 끝으로 석고를 누르지 말고 손바닥으로 다룬다.
5. 석고가 굳는 동안 열 감을 느끼게 되며, 10~15분 후면 없어짐을 설명한다.
6. 석고붕대를 다 감은 후에는 환자의 피부에 묻어 있는 석고부스러기들을 깨끗이 한다
1. 상지의 석고붕대(upper extremity cast)
-압박 받기 쉬운 부분은 요골, 척골, 주두 및 측와부위이며 욕창의 발생에 주의한다.
(1) 정상지 석고붕대(long arm cast)
-손에서 상완부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주관절의 손상이나 상완골의 골절, 전박골의 골절, 손목 인대의 손상, 수근골의 경미한 골절 시 쓰인다.
(2) 단상지 석고붕대(short arm cast)
-손바닥에서 팔꿈치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손의 뼈와 요골하부의 골절이나 손목골절을 치료할 때 쓰인다.
2. 하지의 석고붕대(lower extremity cast)
-압박 받기 쉬운 부분은 내측외과와 발뒤꿈치이며 욕창의 발생에 주의한다
-하지 석고붕대 적용 시 비골 신경(peroneal nerve)에 압박을 많이 받으면 수족(foot drop)의 원 인이 된다.
(1) 장하지 석고붕대(long leg cast)
-발끝에서 대퇴부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경골 및 비골의 골절, 무릎 관절이나 대퇴하부의 골 절, 슬 관절 수술 후에 사용한다.
(2) 단 하지 석고붕대(short leg cast)
-발끝에서 무릎 아래까지 감는 석고붕대로 발목이나 발의 골절, 근육이식 후에 사용한다. 관 절을 자유롭게 움직이며 체중부하가 필요한 경우에는 보행용 뒤축(walking heal)을 달아준다.
3. Spica cast
-둔부나 어깨부위, 엄지손가락에 적용한다. 몸체나 사지의 주요부분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사용한 다.
(1) 견관절 석고붕대(shoulder spica cast)
-상완골이나 어깨관절의 골절, 주관절 손상, 어깨관절의 탈구 치료 시 사용한다. 장상지 석고 붕대와 체간 석고붕대를 연결하여 견관절 고정한다.
(2) 고관절 석고붕대(hip spica cast)
-유두선 아래에서 손상 받은 쪽 하지의 전체 길이를 석고 붕대로 감는다. 선천성 고관절 탈 구나 고관절 및 슬 관절의 수술 후 사용한다.
(3) 엄지 석지 석고붕대(thumb spica cast)
-수근 골의 골절, 손바닥의 뼈 골절, 인대와 관절손상 시 사용한다.
4. 체간의 석고붕대(body cast)
-외과적인 척추융합술, 척추골절의 고정, 척추의 기형이나 척추손상의 치유를 위해 사용한다. 체간 부 석고는 흉곽상부에서 치골 부까지 몸통부분을 석고로 고정하므로 머리와 어깨, 사지가 자유롭다. 장골 능을 덮으나 둔부와 치골부위가 노출된다. 때에 따라서는 대퇴부와 골반 부와 경추를 포함하기도 한다. 체간 부 석고를 할 때는 호흡과 소화를 돕기 위해서 가슴과 복부에 공간을 여유 있게 하며 압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석고 전면에 창구를 만든다.
*감는 과정에서의 간호:
1. 환자에게 석고붕대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한다.
2. 석고붕대를 감기 전 면으로 된 stockinet로 환부를 넉넉히 싸고 스폰지나 솜 등을 뼈 돌출부위 에 대준다.
3. 석고붕대를 감고 있는 동안 환자의 체위를 편안하게 잡아주며 불필요하게 노출 된 환자의 신체부위를 보호해 준다.
4. 석고가 젖어 있는 동안 손가락 끝으로 석고를 누르지 말고 손바닥으로 다룬다.
5. 석고가 굳는 동안 열 감을 느끼게 되며, 10~15분 후면 없어짐을 설명한다.
6. 석고붕대를 다 감은 후에는 환자의 피부에 묻어 있는 석고부스러기들을 깨끗이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신경외과case
내과적 무균술과 외과적 무균술
일반외과 위암case
흉부외과 caod 케이스사례연구
일반외과(GS) case sstudy, stomach cancer, Laparoscopic Gastrectomy
시청자권익보호, 노인권익보호, 장애인권익보호, 비정형노동자권익보호, 외국인근로자권익보...
신경외과 case (추간판 탈출증)
신경외과 중환자실
뇌출혈 케이스스터디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 경막외출혈 케이스 문헌고찰 뇌출혈간호과정 뇌출...
[신경외과 케이스 스터디] 척추관협착증(spinal stenosis)
1. 결장암으로 외과적 수술과 함께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와 회복기 간...
결장으로 외과적 수술과 함께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
[성인간호학] 신경외과 케이스 스터디 : clonic hemifacial spasm(반얼굴경련)
신경외과(NS) 케이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