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성 요실금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린넨류를 보관 장소나 린넨 통에 넣어 정리한다.
- 사용하고 남은 물품이나 기구 등을 제자리에 넣는다.
- 순환간호사와 소독간호사는 수술 중 발생한 사건이나 문제점을 수간호사나 주임간호사에게 보고한다.
* 마취간호사의 업무
- 모든 흡입마취제의 투여를 중지하고 순 산소를 조절 호흡을 시행
- 환자의 이름을 부른다든지 눈을 뜨게하거나 심호흡을 시킨다.
- 자발호흡, 출혈 유무를 확인한다.
- 눈을 뜨는 증후가 보이면 비탈분극성 근 이완제의 길항제를 투여한다.
- 순 산소를 2-3분 흡입시키고 나서 잠시 공기를 흡인시켜 본다.
* 회복실 간호사의 업무
회복실은 수술 및 마취에 의한 생리장애로부터 충분히 회복될 때까지의 환자를 처치하는 곳이다. 회복실 간호사는 수술직후 환자가 마취와 수술에서 빠르게 회복하도록 간호하기 위하여 특별한 기술을 가져야 한다. 환자를 철저히 monitoring하여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신장계의 기능을 유지시키며, 기능장애 발생시 변화를 즉시 알아내고 그 정도를 파악하여야 함은 물론 신속한 처치를 할 수 있어야 한다.
- 수술직후 수술 팀으로부터 환자의 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인계 받아 계속적인 간호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pulse oxymetry, EKG, NIBP등 monitoring을 시행한다.
- 수술부위 출혈유무, 각종 Catheter 및 tube, drain의 상태를 확인한다.
- 마취에서 회복되는 시간은 마취제의 종류, 용량, 마취에 대한 개인의 반응에 따라 다르므로 환자의 의식상태, 활력징후를 10분 간격으로 계속 Check하면서 확인한다.
- 환자의 행위나 지남력을 관찰함으로써 의식의 단계를 사정한다.
- 환자가 회복되어 정상적인 의식상태가 판단되면, 심호흡 및 효과적인 기침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여주고, 직접 실시하도록 격려하며, 병실에서도 계속하여야만 하는 필요성에 대해 설명한다.
- 마취 후 회복 점수표에 의해 평가하여 마취로부터 충분히 회복되었다고 판단되면 중환자실이나 병실로 이송하게 된다.
4) 결론
① 총 평가: 스트레스성 요실금을 가지고 있는 주명숙님은 웃거나 재채기를 할 때 실금을 호소하면서 수술을 받게 되었고, TOT를 하게 되었다. 수술은 무사히 마치게 되었고, 퇴실 시 유치 도뇨관은 가지고 회복실로 이동하였으며, 성함을 물었을 때 대답하면서 마취에서 회복이 잘 이루어졌다. 회복실에서는 혈압과 맥박 등을 측정하였고, 호흡은 자가 호흡이 가능하였으며, 수술 부위에 대한 통증을 호소하였다. 수술 전과 동인하게 H/S를 맞고 있었다. 혈압과 맥박 등이 안정되어 대상자는 41W으로 이동되었다.
② 참고문헌
전시자(2005년), 제 4판 성인간호학 하, 현문사, p.122~171
변영순(2004년), 최신수술환자간호, 수문사, p.134~439
http://blog.naver.com/ms5450?Redirect=Log&logNo=80018357949
황옥남(2002년), 심화학습 성인간호학 실습지침서(II), 현문사, p.27~36
2. 마취환자의 회복상태 관찰기록
Post-anesthetic Recovery Score
환자
점수
Activity
(3점)
Able to Move 4 extremities voluntary or commend
Able to Move 2 extremities voluntary or commend
Able to Move 0 extremities voluntary or commend
2
1
0
1
Respiration
(3점)
Able to deep breath and cough freely
Dyspnea or limited breathing
Apnea
2
1
0
2
Circulation
(3점)
BP+20% of preanesthetic level
BP+20-50% of preanesthetic level
BP+50% of preanesthetic level
2
1
0
2
Consciouseness
(3점)
Fully awake
Arousable on calling
Not responding
2
1
0
2
Color
(3점)
pink
Pale dusky, blotchy, jaundice, other
Cyanotic
2
1
0
2
total
15
9
환 자 성 명: 주**
의학적 진단명: Stress incontinence
3. 수술실 간호 기록지
이름: 주** 성별: F 나이: 49세 날짜: 2007년 10월 01일
수술 전 간호사정
환자의 상태: 명료
정 맥 확 보: 예
금 식: 예
수술 전 투약: 아니오
피부이식상태: 아니오
의치, 의안, 콘택트렌즈, 장신구 제거: 예
화장, 매니큐어 제거상태: 예
피부준비: 예
수술 전 검사: ECG, Chest X-ray(W.N.L: 정상)
수술 중 간호 기록
진단명: Stress incontinence
예정 수술명: TOT(Tension free trans-Obturator vaginal Tape)
마취종류: IV/A
환자도착시간: AM 9:53 절개시간: AM 10:20 봉합시간: AM 10:30
환자나간시간: AM 10:45
수술후 환자위치: 회복실
수술체위: Lithotomy
피부소독제: Betadine Solution, Hibitan 0.5%
유치도뇨: Fr.16 10cc
수술기록지
수술 후 진단: Stress incontinence
수 술 명: TOT(Tension free trans-Obturator vaginal Tape)
수 술 과 정: 피부 준비 & 소독 -> 방포 -> 유치도뇨관 연결 -> 부분마취(Lidocaine, epinephrine) -> 질 위벽과 양쪽 쿠퍼인대 절개 -> 질 위벽과 양쪽 쿠퍼인대를 테이프로 연결 -> 유치 도뇨 관으로 소변 유출 확인-> Suture-> 소독-> 바세린 거즈로 만든 콘을 질 안으로 삽입-> 드레싱-> 회복실로 퇴실.
count:
종 류
수량
종류
수량
Knife Blade 11
1
Urine Bag
1
Chromic 3-0
2
Glove 6, 6 1/2, 7
5
Nylon 4-0
1
Epinephrine
1
Foley catheter
1
Lidocaine
1
작성자 *** 간호사 선생님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4.12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5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