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환사채
1) 전환사채 (CB : Conversion Bond)의 정의
2) 전환사채와 관련된 기초 개념
3) 전환사채의 가치
2. 우리나라의 전환사채
1) 최근 우리나라 전환사채 현황
(1) 2000년 이후 전환사채 발행 추이
(2) 2003년 월별 전환사채 발행 추이
2) 우리나라 전환사채 시장 현황
(1) 발행시장의 현황
(2) 유통시장의 현황
1) 전환사채 (CB : Conversion Bond)의 정의
2) 전환사채와 관련된 기초 개념
3) 전환사채의 가치
2. 우리나라의 전환사채
1) 최근 우리나라 전환사채 현황
(1) 2000년 이후 전환사채 발행 추이
(2) 2003년 월별 전환사채 발행 추이
2) 우리나라 전환사채 시장 현황
(1) 발행시장의 현황
(2) 유통시장의 현황
본문내용
, 결제방법, 수수료 등을 정비하였다. 장외시장이 비대해짐에 따라 체계적인 장외거래 공시제도의 도입을 위해 1993년 5월 1일부터는 증권전산 단말기를 통해 장외거래수익률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채권 거래실적을 살펴보면, 1989년의 40조9,292억원에서 1995년의 246조3,982억원으로 비약적인 증가를 보였다. 1990년 이후부터 1993년까지는 매년 평균적으로 35% 정도의 증가세를 나타내었으며, 1994년과 1995년도의 거래량은 평균 20% 이상 증가하였고, 1993년도에는 약 7%의 성장을 보였다.
채권거래를 시장별로 살펴보면, 19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거래소 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1970년 후반부터 장외시장이 발달하여 현재는 장외거래가 장내거래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장외거래가 시작된 1977년 장내거래와 장외거래의 구성비는 45:55로 장내거래 비중이 적지 않았지만, 1984년에는 5:95로 장외거래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아졌다.
그러나 1984년 11월 환매체금지 이후 장외거래의 비중이 다소 낮아져, 1987년에는 장내외 거래의 비율이 37:63으로 장내거래의 비중이 다시 확대되었다. 90년대 이후부터는 다시 장외거래의 비중이 높아졌고, 1996년에는 장내외 거래의 비율이 1:99를 나타내는 등 장내거래는 극히 저조한 상황이다. 1994년 3월부터 상장 전환사채의 거래가 1995년 10월부터는 소액국공채의 거래가 거래소시장으로 집중 의무화되면서 장내거래의 절대규모는 다소 증가하였다.
1990년 이후 채권유통시장이 상당히 발전하였다고는 하지만 주식시장에 비하여 아직 부진한 상태이다.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의 매매회전율을 비교하여 보면 주식시장총액회전율보다는 채권매매회전율이 훨씬 낮다. 채권의 매매회전율이 낮은 이유는 채권의 주요 수요처인 기관투자가들이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려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채권을 살펴보면, 1989년에 5,694종목, 상장잔액 46조원 수준에서 1996년에 14,570종목, 상장잔액이 175조원 수준으로 종목면에서 약 2.5배, 상장잔액면에서는 약 4배 정도 성장하였다. 1990년 이후부터는 무역수지 적자로 인한 통화조절용채권 발행축소로 국공채시장의 규모가 다소 정체를 보이고 있으며, 주식시장 침체에 따른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증가와 새로운 채권관련 금융상품의 출현으로 회사채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채권 거래실적을 살펴보면, 1989년의 40조9,292억원에서 1995년의 246조3,982억원으로 비약적인 증가를 보였다. 1990년 이후부터 1993년까지는 매년 평균적으로 35% 정도의 증가세를 나타내었으며, 1994년과 1995년도의 거래량은 평균 20% 이상 증가하였고, 1993년도에는 약 7%의 성장을 보였다.
채권거래를 시장별로 살펴보면, 197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거래소 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1970년 후반부터 장외시장이 발달하여 현재는 장외거래가 장내거래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장외거래가 시작된 1977년 장내거래와 장외거래의 구성비는 45:55로 장내거래 비중이 적지 않았지만, 1984년에는 5:95로 장외거래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아졌다.
그러나 1984년 11월 환매체금지 이후 장외거래의 비중이 다소 낮아져, 1987년에는 장내외 거래의 비율이 37:63으로 장내거래의 비중이 다시 확대되었다. 90년대 이후부터는 다시 장외거래의 비중이 높아졌고, 1996년에는 장내외 거래의 비율이 1:99를 나타내는 등 장내거래는 극히 저조한 상황이다. 1994년 3월부터 상장 전환사채의 거래가 1995년 10월부터는 소액국공채의 거래가 거래소시장으로 집중 의무화되면서 장내거래의 절대규모는 다소 증가하였다.
1990년 이후 채권유통시장이 상당히 발전하였다고는 하지만 주식시장에 비하여 아직 부진한 상태이다.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의 매매회전율을 비교하여 보면 주식시장총액회전율보다는 채권매매회전율이 훨씬 낮다. 채권의 매매회전율이 낮은 이유는 채권의 주요 수요처인 기관투자가들이 채권을 만기까지 보유하려 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이다.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채권을 살펴보면, 1989년에 5,694종목, 상장잔액 46조원 수준에서 1996년에 14,570종목, 상장잔액이 175조원 수준으로 종목면에서 약 2.5배, 상장잔액면에서는 약 4배 정도 성장하였다. 1990년 이후부터는 무역수지 적자로 인한 통화조절용채권 발행축소로 국공채시장의 규모가 다소 정체를 보이고 있으며, 주식시장 침체에 따른 기업들의 회사채 발행증가와 새로운 채권관련 금융상품의 출현으로 회사채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벤처정책의 평가및 전환방향
시장경제로의 전환 : 공기업과 민영화
프랑스혁명의 해석을 통한 역사인식틀의 발상 전환 - 세계체제이론
전환기를 이끈 17인의 명암 (김부식)
고령화 사회로의 전환에 대비한 노후대책[개인과 국가차원에서의 분석]
주주 중심주의-한국형 경영으로의 전환
낙태를 통한 다양한 인식전환
[산별노조][산업별노동조합]산별노조(산업별노동조합) 고찰과 건설 방향 및 정세 전망(산별노...
장애인문제에 대한 사회현실과 의식전환 필요성
이어령 교수의 젊음의 탄생을 읽고 - 창조적 지성으로의 패러다임 전환
[민족문학의 근대적 전환] 요약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한반도 안보
생각의 전환으로 독도를 알리자!
[한국경제의 이해 A형] 광복 이후 1950년대 한국경제에 관해 논하시오 (해방과 분단, 195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