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목차
Ⅰ. 저출산 · 고령화 관련 총괄
1. 현황 및 전망
2. 2007년 정책 추진실적
3. 2008년 정책 추진방향
Ⅱ. 분야별 시행계획
1. 출산과 양육에 유리한 환경조성
2. 건강하고 행복한 고령친화도시 구현
3. 저출산 · 고령사회의 성장동력 확보
Ⅲ. 저출산 · 고령사회 대응 사회적 분위기 조성
1. 전략적 교육 · 홍보
2. 정책공동체 구축 및 사회적 합의 유도
3. 정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추진체계 구축
1. 현황 및 전망
2. 2007년 정책 추진실적
3. 2008년 정책 추진방향
Ⅱ. 분야별 시행계획
1. 출산과 양육에 유리한 환경조성
2. 건강하고 행복한 고령친화도시 구현
3. 저출산 · 고령사회의 성장동력 확보
Ⅲ. 저출산 · 고령사회 대응 사회적 분위기 조성
1. 전략적 교육 · 홍보
2. 정책공동체 구축 및 사회적 합의 유도
3. 정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추진체계 구축
본문내용
Ⅰ. 저출산 · 고령화 관련 총괄
1. 현황 및 전망
□ 저출산 현황
○ 부산지역 출산율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97년
초저출산 사회에 진입 (우리나라는 2001년에 진입)
○ 2005년 합계출산율이 0.88명으로 최저 수준을 기록한
후 2006년에는 0.91명으로 0.03명 증가
(전국 : 2006년도 1.13명)
○ 2000년 40,877명에서 2006년도 25,673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음
○ 결혼건수는
▷ 2005년 18,973건에서 2006년 20,107건으로
5.5%가 증가되어 합계출산율과 출생아수 증가
추세로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
○ 다만 출생아수의 지속 감소로 부산의 학생수는 계속
감소 예상
□ 고령화 현황
○ 부산은 2003년 7.4%의 고령화사회 진입이후
2014년 14.0%의 고령사회, 2021년 20.1%의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예정
▷ 전국 : 고령화사회(2000년), 고령사회(2018년),
초고령사회(2026년)
○ 부산은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 추세
▷ 노인인구수
- 2000년 227천명( 6.1%), 2015년 488천명(14.7%)
2023년 607천명(19.0%), 2030년 861천명(29.7%)
1. 현황 및 전망
□ 저출산 현황
○ 부산지역 출산율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97년
초저출산 사회에 진입 (우리나라는 2001년에 진입)
○ 2005년 합계출산율이 0.88명으로 최저 수준을 기록한
후 2006년에는 0.91명으로 0.03명 증가
(전국 : 2006년도 1.13명)
○ 2000년 40,877명에서 2006년도 25,673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음
○ 결혼건수는
▷ 2005년 18,973건에서 2006년 20,107건으로
5.5%가 증가되어 합계출산율과 출생아수 증가
추세로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
○ 다만 출생아수의 지속 감소로 부산의 학생수는 계속
감소 예상
□ 고령화 현황
○ 부산은 2003년 7.4%의 고령화사회 진입이후
2014년 14.0%의 고령사회, 2021년 20.1%의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예정
▷ 전국 : 고령화사회(2000년), 고령사회(2018년),
초고령사회(2026년)
○ 부산은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 추세
▷ 노인인구수
- 2000년 227천명( 6.1%), 2015년 488천명(14.7%)
2023년 607천명(19.0%), 2030년 861천명(29.7%)
추천자료
저출산,고령화 문제의 원인과 현황 그리고 대응방안
저출산 고령화
인구고령화와 노인문제 및 저출산, 고령사회 개념, 현황 분석
인구의 저출산과 고령화에 대한 분석
저출산,고령화 현상
고령화 및 저출산으로 인한 경제 산업의 변화
저출산, 고령화의 문제점
저출산・고령화의 문제해결을 위한 대책 방안
우리나라 저출산 및 고령화문제
저출산문제,고령화사회,사회이슈,사회문제,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
출산율 저하와 인구고령화 문제에 대해 어떠한 가족복지정책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한...
[저출산 고령화사회] “일가족 양립정책” 감상문.
[저출산고령화와 다문화] 중간고사 자료
저출산, 고령화시대 라는 한국사회의 사회문제에 대한 다양한 사회 복지적 노력이 이루어지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