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 고령사회 기본계획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저출산 · 고령화 관련 총괄
1. 현황 및 전망
2. 2007년 정책 추진실적
3. 2008년 정책 추진방향

Ⅱ. 분야별 시행계획
1. 출산과 양육에 유리한 환경조성
2. 건강하고 행복한 고령친화도시 구현
3. 저출산 · 고령사회의 성장동력 확보

Ⅲ. 저출산 · 고령사회 대응 사회적 분위기 조성
1. 전략적 교육 · 홍보
2. 정책공동체 구축 및 사회적 합의 유도
3. 정책 효과성 제고를 위한 추진체계 구축

본문내용

Ⅰ. 저출산 · 고령화 관련 총괄
1. 현황 및 전망
□ 저출산 현황
○ 부산지역 출산율은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으로 ’97년
초저출산 사회에 진입 (우리나라는 2001년에 진입)
○ 2005년 합계출산율이 0.88명으로 최저 수준을 기록한
후 2006년에는 0.91명으로 0.03명 증가
(전국 : 2006년도 1.13명)
○ 2000년 40,877명에서 2006년도 25,673명으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있음
○ 결혼건수는
▷ 2005년 18,973건에서 2006년 20,107건으로
5.5%가 증가되어 합계출산율과 출생아수 증가
추세로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
○ 다만 출생아수의 지속 감소로 부산의 학생수는 계속
감소 예상
□ 고령화 현황
○ 부산은 2003년 7.4%의 고령화사회 진입이후
2014년 14.0%의 고령사회, 2021년 20.1%의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예정
▷ 전국 : 고령화사회(2000년), 고령사회(2018년),
초고령사회(2026년)
○ 부산은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 추세
▷ 노인인구수
- 2000년 227천명( 6.1%), 2015년 488천명(14.7%)
2023년 607천명(19.0%), 2030년 861천명(29.7%)
  • 가격3,000
  • 페이지수42페이지
  • 등록일2009.04.13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529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