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면서 - 역사에 사로잡힌 영혼들 -
2. 김소월이 가진 역사
3. 김소월의 살풀이, 과연 민족의 한?
4. 한과 역사
5. 나오며 - 역사의 그림자를 벗기며 -
2. 김소월이 가진 역사
3. 김소월의 살풀이, 과연 민족의 한?
4. 한과 역사
5. 나오며 - 역사의 그림자를 벗기며 -
본문내용
더 이상 한은 김소월이 일구어 놓은 한국 고유의 정서가 아닌 것이다.
5. 나오며 - 역사의 그림자를 벗기며 -
간혹 역사의 흐름은 우리에게 많은 부분 현 상황에 순응하도록 만든다. 혹은 그 흐름이 너무 빨라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 채 흘러가기도 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우리는 역사의 줄기를 놓을 수 없다. 불행하게도 역사는 이미 여러 문화 콘텐츠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나는 이번 글쓰기를 통해 역사 속에서 우리가 행여나 잘못된 인식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 우리가 너무 잘 알고 있듯이 왜곡된 역사가 정당한 처벌도 받지 않은 채 수없이 반복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진정한 역사, '사소한 개인'의 삶이란 무엇인지 우리는 고민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처벌받지 않은 역사, 정치·경제적 억압이 반복되는 역사 속에서, 김소월이 가졌을 불안감도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작가는 역사에 대응해야한다. 낭만적인 과거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현재를 파악해야 한다. 역사는 과거가 아니다. 미래도 아니다. 우리는 분명히 역사적 문제의식을 '현재형'으로 바라보아야 하는 것이다. 설령 그것이 극심한 고문을 야기하는 일이라고 해도 말이다.
5. 나오며 - 역사의 그림자를 벗기며 -
간혹 역사의 흐름은 우리에게 많은 부분 현 상황에 순응하도록 만든다. 혹은 그 흐름이 너무 빨라 우리가 인식하지 못한 채 흘러가기도 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우리는 역사의 줄기를 놓을 수 없다. 불행하게도 역사는 이미 여러 문화 콘텐츠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만 나는 이번 글쓰기를 통해 역사 속에서 우리가 행여나 잘못된 인식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 우리가 너무 잘 알고 있듯이 왜곡된 역사가 정당한 처벌도 받지 않은 채 수없이 반복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진정한 역사, '사소한 개인'의 삶이란 무엇인지 우리는 고민해 보지 않을 수 없다. 처벌받지 않은 역사, 정치·경제적 억압이 반복되는 역사 속에서, 김소월이 가졌을 불안감도 충분히 이해한다. 하지만 그럼에도 작가는 역사에 대응해야한다. 낭만적인 과거에 얽매이는 것이 아니라 철저하게 현재를 파악해야 한다. 역사는 과거가 아니다. 미래도 아니다. 우리는 분명히 역사적 문제의식을 '현재형'으로 바라보아야 하는 것이다. 설령 그것이 극심한 고문을 야기하는 일이라고 해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