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북한의기후][북한의위치][북한의면적][북한의산림자원][북한의광물자원][북한의행정구역]북한의 기후, 북한의 위치와 면적, 북한의 산림자원, 북한의 광물자원, 북한의 행정구역 분석(북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북한의기후][북한의위치][북한의면적][북한의산림자원][북한의광물자원][북한의행정구역]북한의 기후, 북한의 위치와 면적, 북한의 산림자원, 북한의 광물자원, 북한의 행정구역 분석(북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북한의 기후

Ⅱ. 북한의 위치와 면적

Ⅲ. 북한의 산림자원

Ⅳ. 북한의 광물자원

Ⅴ. 북한의 행정구역

참고문헌

본문내용

원산시 승리(勝利)동 등이 그것이다.
셋째, 곱고 순수한 우리 말 표현도 심심찮게 만나게 된다. 평양 만경대구역 웃고개동, 자강도 희천시 솔모루동, 황남 과일군, 황북 송림시 꽃핀동, 황남 장연군 샘물리, 함남 금야군 솔밭리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넷째, 김일성 우상화 차원의 개명사례와 사람이름을 지명으로 차용한 것도 적지 않다. 함북 은덕(경흥)·새별(경원)군, 함남 영광(오로)·낙원(퇴조)군, 강원도 원산시 개선동 등은 전자에 해당한다. 황남 재령군 김제원(金濟院)리, 함북 김책(金策)시와 은덕군 안길(安吉)리, 강원도 평강군 이수덕(李壽德)리 등은 후자에 속한다. 량강도 김형직(金亨稷, 김일성 부)·김정숙(金正淑, 처)·김형권(金亨權, 숙부)군 등은 양쪽에 다 걸친다.
참고문헌
◇ 김성철 외(2001), 북한이해의 길잡이 전환기의 북한사회, 박영사
◇ 박완신(2002), 신 북한행정론, 지구문화사
◇ 석현덕·정정길(1998), 통일대비 북한의 산림관리방안
◇ 와다하루키·다카사키소지(2003), 북한을 읽는다, 녹두
◇ 이현영(2000), 한국의 기후
◇ 최진욱(2002), 현대북한행정론, 인간사랑
◇ 홍성국(1998), 북한을 보는 눈, 북한
  • 가격5,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4.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2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