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해의 길잡이 전환기의 북한사회, 박영사
◇ 박완신(2002), 신 북한행정론, 지구문화사
◇ 석현덕·정정길(1998), 통일대비 북한의 산림관리방안
◇ 와다하루키·다카사키소지(2003), 북한을 읽는다, 녹두
◇ 이현영(2000), 한국의 기후
◇ 최진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자원 I
〔동〕⇒〔혜산광산 /8월광산〕
• 총알,포탄등의 군사적목적으로 쓰이는 동
• 양강도 운흥군 /갑산군
• 월남자의 가족, 정치범의 친척들
≪ … 중 략 … ≫
Part 2. 북한의 기후
I북한의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06.1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자원 I
〔철광석〕➜〔무광광산〕
• 함경북도 무산군 철산리
• 북한 내 최대 규모의 철 생산지(15억톤)
• 40%의 광석품위의 세계적 광산
≪ … 중 략 … ≫
Part 2. 북한의 기후
I북한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12.08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심으로 하는 북부탄전지대와 평안남도의 안주탄전에서 주로 생산
참고문헌 ------------------------------------------------------
1. 통일부,「2000북한개요」. pp.37~45. 1. 위치와 면적
2. 북한의 지형
3. 북한의 기후
4. 북한의 지하자원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4.05.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장 적은 633mm로서 지역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다.
북한의 지대별 강수량 분포를 보면 대체로 원산지방을 비롯하여 마식령산맥과 광주산맥 사이 및 북쪽의 적유령산맥 등지가 연 1,400mm 내외로 가장 많고 평안북도 와 평안남도 의 북부 내륙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