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수요지향적 인력양성 시스템 구축
- KAIST, 충남대, 정보통신대 등 대학별로 특화 인력 양성
○ 전문연구요원 우대 추천 등 우수 연구인력 확보 지원
○ 사업화 및 기술경영 전문인력 양성
- 사업화및 기술경영 관련 교재개발, 교육과정 운영 등
○ 인력의 유동성 제고
- 인력DB 구축 및 중개 활성화, 초빙겸임 연구원제도 등 활성화
마케팅 및 경영서비스 지원
○ 특구 마케팅 전담기관 지정운영
- KOTRA, 해외 전문기관 등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 지원
○ 대전시,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해외 마케팅 활동 지원
- 해외 Buyer초청사업, 특구 브랜드(BI : Brand Identity) 개발
- 특구 사이버 마케팅 센터 구축 등
○ 입주기업의 마케팅 능력제고 지원
- 전문 마케터 양성 프로그램 운영, 해외 연수 등 지원
○ 컨설팅 회사, 법무법인, 회계법인, 헤드헌터 등 전문기관 Pool을 구성하여 경영서비스 지원
3
글로벌 환경구축
외국기업 경영환경 조성
○ 외국인 투자기업을 위한 입주용지의 확보, 지원
-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사업환경을 마련하여 지원
○ 외국인 기업에 대한 인력채용 보조 및 세제지원
○ 외국인기업 애로해소 옴부즈만 운영 : 특구지원본부 내
- 외국인 투자자의 경영 및 생활애로 해소 지원
○ 특구지원본부 내 외국인 투자기관 유치 지원기구 운영
- 대전광역시, 국제과기협력재단 등과 연계 운영
정주여건의 개선
○ 대전국제학교 등 외국인학교 확충을 통하여 외국인 자녀들의 교육여건을 개선
○ 외국인진료병원 지정운영 등 외국인을 위한 의료서비스 체계 개선
○ 외국인 주거편의시설의 확충
- 단기체류자를 위한 게스트 하우스 건립, 주거편의 단지 조성
○ 특구 내 One-Stop Service 기구 운영
- 대전시, 특구지원본부 등 관련기관이 공동 운영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 공간 확충
- 과학기술창조의 전당 운영, 우수제품기술의 전시공간 마련 등
○ 특구의 국제홍보 및 교류협력의 확대
- 해외 로드쇼 정기 개최, 국제기구(IASP)와의 협력 추진 등
○ 특구 해외 협력거점 확보 및 해외 클러스터와의 협력체계 구축
생활문화 인프라 확충
○ 대덕 내 과학문화클러스터를 구축
-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공원 중심으로 첨단과학문화 벨트조성
○ 연구개발특구의 상징성에 부합하는 과학영재교육 체계 마련
-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 운영, 과학영재학급영재교육원 등
○ 특구내 연구원 등 종사자를 위한 영유아 보육시설 확충
- “대덕연구단지 어린이집” 확대 개편 등
○ 환경친화적 교통시스템 구축
- 셔틀버스 운영, 특구 순환 자전거 전용도로 설치 등
4
타 지역과의 연계 및 성과 확산
○ 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테크노파크 등을 포괄하는 「전국 혁신클러스터협의회」를 구성운영
○ 타 지역과의 기술분야별 연구모임 운영 지원
- 공동연구과제 도출, 기술 및 정보 공유
○ 특구 지식정보 활용시스템 구축
- 연구장비, 연구성과 및 기술개발 정보, 제품정보를 DB화
○ 특구운영백서(白書) 발간 등을 통해 특구운영 모델제시
4. 소요재원 및 조달방안
가. 소요재원
□ 계획기간(2006~2010년)중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육성을 위하여 필요한 소요재원은 약 6,600여 억원으로 전망
□ 분야별 지원사업은 소관 부처별로 계획의 기본방향에 따라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에서 관련 계획사업과 연계 추진토록 투자계획을 수립
<부문별 재원소요>
(단위 : 백만원)
구분
‘06
‘07
‘08
‘09
‘10
합계
연구성과의 사업화 촉진
20,130
29,030
29,830
31,230
32,230
142,450
벤처생태계 조성
62,000
78,190
67,840
58,090
57,640
323,760
글로벌 환경구축
17,300
37,460
40,050
44,355
50,805
189,970
타 지역과의 연계 및 성과 확산
600
1,100
1,100
1,100
1,100
5,000
합계
100,030
145,780
138,820
134,775
141,775
661,180
나. 재원조달 방안
○ 국비지원은 국가재정여건, 지자체의 재원분담, 추진사업의 타당성 등을 감안하여 국가재정운용계획에 적정 소요 반영
○ 중장기적인 자본투자적인 성격의 사업은 해당 지자체에서 일정 비율의 비용을 분담
○ 사업의 특성에 따라 수익자 부담 원칙을 적용하여 운영
Ⅳ. 사업변화
□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개편
○ ’06년도 추진실적에 따라 사업을 조정하고 사업목적과 특성별로 재분류 및 통합
’06년도 사업
’07년도 사업
분 야
사 업 명
세 부 사 업
분 야
사 업 명
세 부 사 업
특구
연구개발
특구연구개발
보유기술사업화개발사업
연구성과
사업화
특구연구개발사업
기술사업화연구개발사업
연구기획관리평가
기술
사업화
지원사업
기술사업화기반조성사업
기업창업
성장지원
연구성과
사업화
연구소기업설립지원
특허자산실사사업
기술거래활성화사업
특구테크노마트
벤처생태계
조성
기술경영지원사업
기술창업경영지원사업
기술거래포탈사이트운영
사업타당성평가기술보증
기술마케팅지원사업
첨단기술사업화시범사업
전문인력양성공급사업
벤처
생태계
조성
특구기술금융활성화
비즈니스정보센터구축
전문클러스터육성사업
유망상품마케팅지원
대덕커넥트프로그램
대덕하이업(High-up)프로그램
전문전시회참가지원
경영회계기술컨설팅
기술사업화교류협력사업
특허정보활용지원
글로벌
환경구축
글로벌역량강화사업
국제클러스터협력사업
대덕High-up프로그램
첨단기술기업지정지원
특구국제화지원사업
특구전문인력양성
글로벌기반구축사업
비즈니스허브센터구축사업
대덕
커넥트
프로그램
기술사업화교류활성화
타지역클러스터교류
특구보육시설개선사업
글로벌
환경구축
해외자금연구소유치촉진
특구관리운영지원
대덕특구지원본부운영지원
대덕특구지원본부운영지원
해외클러스터교류협력
비즈니스허브센 건립
연구관리
연구기획관리평가사업
연구기획관리평가사업
지원본부운영
지원본부운영지원
대덕특구지원본부운영지원
※ ’06년도의 경우 분야별로 2개의 총괄협약(특구연구개발, 기업창업성장지원 및 지원본부운영)을 체결하였으나,
’07년도는 분야단위(필요시 사업단위)로 협약을 체결하여 체계적효율적인 사업추진 및 성과관리 강화
- KAIST, 충남대, 정보통신대 등 대학별로 특화 인력 양성
○ 전문연구요원 우대 추천 등 우수 연구인력 확보 지원
○ 사업화 및 기술경영 전문인력 양성
- 사업화및 기술경영 관련 교재개발, 교육과정 운영 등
○ 인력의 유동성 제고
- 인력DB 구축 및 중개 활성화, 초빙겸임 연구원제도 등 활성화
마케팅 및 경영서비스 지원
○ 특구 마케팅 전담기관 지정운영
- KOTRA, 해외 전문기관 등을 통해 해외시장 진출 지원
○ 대전시,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해외 마케팅 활동 지원
- 해외 Buyer초청사업, 특구 브랜드(BI : Brand Identity) 개발
- 특구 사이버 마케팅 센터 구축 등
○ 입주기업의 마케팅 능력제고 지원
- 전문 마케터 양성 프로그램 운영, 해외 연수 등 지원
○ 컨설팅 회사, 법무법인, 회계법인, 헤드헌터 등 전문기관 Pool을 구성하여 경영서비스 지원
3
글로벌 환경구축
외국기업 경영환경 조성
○ 외국인 투자기업을 위한 입주용지의 확보, 지원
- 외국인 투자유치를 위한 사업환경을 마련하여 지원
○ 외국인 기업에 대한 인력채용 보조 및 세제지원
○ 외국인기업 애로해소 옴부즈만 운영 : 특구지원본부 내
- 외국인 투자자의 경영 및 생활애로 해소 지원
○ 특구지원본부 내 외국인 투자기관 유치 지원기구 운영
- 대전광역시, 국제과기협력재단 등과 연계 운영
정주여건의 개선
○ 대전국제학교 등 외국인학교 확충을 통하여 외국인 자녀들의 교육여건을 개선
○ 외국인진료병원 지정운영 등 외국인을 위한 의료서비스 체계 개선
○ 외국인 주거편의시설의 확충
- 단기체류자를 위한 게스트 하우스 건립, 주거편의 단지 조성
○ 특구 내 One-Stop Service 기구 운영
- 대전시, 특구지원본부 등 관련기관이 공동 운영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 글로벌 비즈니스 허브 공간 확충
- 과학기술창조의 전당 운영, 우수제품기술의 전시공간 마련 등
○ 특구의 국제홍보 및 교류협력의 확대
- 해외 로드쇼 정기 개최, 국제기구(IASP)와의 협력 추진 등
○ 특구 해외 협력거점 확보 및 해외 클러스터와의 협력체계 구축
생활문화 인프라 확충
○ 대덕 내 과학문화클러스터를 구축
- 국립중앙과학관, 과학공원 중심으로 첨단과학문화 벨트조성
○ 연구개발특구의 상징성에 부합하는 과학영재교육 체계 마련
-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 운영, 과학영재학급영재교육원 등
○ 특구내 연구원 등 종사자를 위한 영유아 보육시설 확충
- “대덕연구단지 어린이집” 확대 개편 등
○ 환경친화적 교통시스템 구축
- 셔틀버스 운영, 특구 순환 자전거 전용도로 설치 등
4
타 지역과의 연계 및 성과 확산
○ 산업단지, 경제자유구역, 테크노파크 등을 포괄하는 「전국 혁신클러스터협의회」를 구성운영
○ 타 지역과의 기술분야별 연구모임 운영 지원
- 공동연구과제 도출, 기술 및 정보 공유
○ 특구 지식정보 활용시스템 구축
- 연구장비, 연구성과 및 기술개발 정보, 제품정보를 DB화
○ 특구운영백서(白書) 발간 등을 통해 특구운영 모델제시
4. 소요재원 및 조달방안
가. 소요재원
□ 계획기간(2006~2010년)중 대덕연구개발특구의 육성을 위하여 필요한 소요재원은 약 6,600여 억원으로 전망
□ 분야별 지원사업은 소관 부처별로 계획의 기본방향에 따라 성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향에서 관련 계획사업과 연계 추진토록 투자계획을 수립
<부문별 재원소요>
(단위 : 백만원)
구분
‘06
‘07
‘08
‘09
‘10
합계
연구성과의 사업화 촉진
20,130
29,030
29,830
31,230
32,230
142,450
벤처생태계 조성
62,000
78,190
67,840
58,090
57,640
323,760
글로벌 환경구축
17,300
37,460
40,050
44,355
50,805
189,970
타 지역과의 연계 및 성과 확산
600
1,100
1,100
1,100
1,100
5,000
합계
100,030
145,780
138,820
134,775
141,775
661,180
나. 재원조달 방안
○ 국비지원은 국가재정여건, 지자체의 재원분담, 추진사업의 타당성 등을 감안하여 국가재정운용계획에 적정 소요 반영
○ 중장기적인 자본투자적인 성격의 사업은 해당 지자체에서 일정 비율의 비용을 분담
○ 사업의 특성에 따라 수익자 부담 원칙을 적용하여 운영
Ⅳ. 사업변화
□ 연구개발특구육성사업 개편
○ ’06년도 추진실적에 따라 사업을 조정하고 사업목적과 특성별로 재분류 및 통합
’06년도 사업
’07년도 사업
분 야
사 업 명
세 부 사 업
분 야
사 업 명
세 부 사 업
특구
연구개발
특구연구개발
보유기술사업화개발사업
연구성과
사업화
특구연구개발사업
기술사업화연구개발사업
연구기획관리평가
기술
사업화
지원사업
기술사업화기반조성사업
기업창업
성장지원
연구성과
사업화
연구소기업설립지원
특허자산실사사업
기술거래활성화사업
특구테크노마트
벤처생태계
조성
기술경영지원사업
기술창업경영지원사업
기술거래포탈사이트운영
사업타당성평가기술보증
기술마케팅지원사업
첨단기술사업화시범사업
전문인력양성공급사업
벤처
생태계
조성
특구기술금융활성화
비즈니스정보센터구축
전문클러스터육성사업
유망상품마케팅지원
대덕커넥트프로그램
대덕하이업(High-up)프로그램
전문전시회참가지원
경영회계기술컨설팅
기술사업화교류협력사업
특허정보활용지원
글로벌
환경구축
글로벌역량강화사업
국제클러스터협력사업
대덕High-up프로그램
첨단기술기업지정지원
특구국제화지원사업
특구전문인력양성
글로벌기반구축사업
비즈니스허브센터구축사업
대덕
커넥트
프로그램
기술사업화교류활성화
타지역클러스터교류
특구보육시설개선사업
글로벌
환경구축
해외자금연구소유치촉진
특구관리운영지원
대덕특구지원본부운영지원
대덕특구지원본부운영지원
해외클러스터교류협력
비즈니스허브센 건립
연구관리
연구기획관리평가사업
연구기획관리평가사업
지원본부운영
지원본부운영지원
대덕특구지원본부운영지원
※ ’06년도의 경우 분야별로 2개의 총괄협약(특구연구개발, 기업창업성장지원 및 지원본부운영)을 체결하였으나,
’07년도는 분야단위(필요시 사업단위)로 협약을 체결하여 체계적효율적인 사업추진 및 성과관리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