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유교사상][경전내용][진보주의][사회윤리][도덕교육]유교(유교사상)의 개념, 유교(유교사상)의 경전내용, 유교(유교사상)의 진보주의, 유교(유교사상)의 사회윤리, 유교(유교사상)의 도덕교육 심층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교][유교사상][경전내용][진보주의][사회윤리][도덕교육]유교(유교사상)의 개념, 유교(유교사상)의 경전내용, 유교(유교사상)의 진보주의, 유교(유교사상)의 사회윤리, 유교(유교사상)의 도덕교육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교(유교사상)의 개념

Ⅲ. 유교(유교사상)의 경전내용
1. 우주론
2. 인생론
3. 정치론
4. 교육론
5. 역사론

Ⅳ. 유교(유교사상)의 진보주의
1. 합리주의
2. 중용사상(中庸思想)
3. 대동세계(大同世界)

Ⅴ. 유교(유교사상)의 사회윤리

Ⅵ. 유교(유교사상)의 도덕교육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왕양명은 선천적 양지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므로 선천적 양지를 밝힐 수 있는 것은 그 근본사상이 지행합일설의 필연적인 결론으로 볼 수 있다. 하였다. 그러므로 격물치지를 통하여 악행을 버리고 선행으로 나아가 이치의 궁극에 이르는 것이 유교의 도덕교육 방법론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성의 정심에서 성이란 스스로를 속이지 않으며 겸손한 것이다. 대학에는 소인은 한가하게 있을 때 착하지 않아 이르지 않은바가 없으며, 군자를 본 후에 복종하게 된다. 착하지 못한 점을 가리고 착하지 못한 점을 드러내어 사람들이 자기 보기를 간과 폐를 보듯이 하는데 무엇을 더 할 수 있는가라고 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선행자나 덕행자를 보고 따르게 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그 원리는 바로 바른 마음을 갖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인의 참된 가치는 바른 마음을 찾아 정심을 유지한 것을 추구하는 방법이라고 본다.
이상의 유교가 추구하는 도덕교육의 방법을 요약하면, 첫째, 마음으로부터 명덕을 밝히고 인을 구비하여 본성을 쉼 없는 작용으로 부각시켜 진실무망한 성 으로 나아가게하며 둘째, 몸으로는 친민의 예를 실천함으로써 군자의 도를 이루게 하였고 셋째, 생애의 주기에 알맞도록 점진적으로 교육하며, 자발적인 교육이 되도록 하였으며 넷째, 모범을 보이는 교육이며, 말 보다는 실천 행을 중시하는 지행합일의 교육방법 이라고 본다.
Ⅶ. 결론
우리의 전통사회는 전형적인 유교사회였다. 하지만 근대화 그리고 현대화되면서 유교는 그다지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오늘날에도 부모를 공경하고 제사를 모시는 모습에서 우리가 유교적 생활습관을 완전히 벗어나 있는 것은 아니다. 사실 동양에서 수천 년 동안 사상적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유교사상이다. 유교는 공자에 의해 창시되었으며 인(仁)사상을 기초로 하여 인도주의를 주장하였다. 이후 맹자 순자와 같은 유학자들이 이를 이어옴으로써 크게 발전하였다. 유교의 경전인 사서오경을 비롯하여 수많은 유학서를 통해 그 영역은 방대하다고 하겠지만 그 성격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교사상은 현세적 삶, 그 자체를 가장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유교에서는 사람 각 개개인의 주체적 역량을 실천이론의 기본으로 삼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유교에서는 인륜도덕성의 확충을 한결같은 궁극적 과제로 간주하고 있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유교사상은 개인의 인생문제에서부터 정치사회의 국가문제에 이르기까지 유기적 연계성의 논리로 전개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유교에서 인간이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란 질문에 대해서는 인간이 동식물과 구별되는 것이 인간의 도덕적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고 해서 이런 도덕성이 없다면 인간이 동물과 다를게 없다고 보고 있다. 따라서 인간이 인간다워지려면 이 도덕성을 자각하고 또 그를 실현하는 것이다. 이를 행하기 위해 유교에서는 인륜을 가르쳤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오륜(五倫)이다. 결국 가정에서거나 사회에서나 결국 우리 인간은 만남의 관계에 있고 이러한 연계성, 관계성 속에서 좋은 관계, 맛나는 관계가 되는 것이 인간이 인간다워지는 길이라 본 것이다. 오늘날 우린 서양의 개인주의와 물질만능주의에 길들여 우리의 사회가 많이 병들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 인간은 과거도 그랬고 현재, 미래도 마찬가지로 혼자는 살아갈 수 없다. 그리고 우리는 작게는 가족에서부터 학교, 사회, 그리고 국가, 등 크고 작은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살아가는 것이다. 이런 여러 관계 속에서 유교의 보편적 도덕성인 인간과 인간의 만남 즉,(도(道))의 가르침은 여전히 우리들에게 큰 교훈이 된다.
참고문헌
◇ 가지신행, 김태준 역, 유교의 종교성, 유교란 무엇인가, 지영사, pp.35-47, 1990
◇ 신구현, 민족문화연구소 편, 한말 영남유학계의 유교종교성 운동, 한말영남유학계의 동향, 영남대학교출판부, p.401-475
◇ 이기동, 유교의 종교철학, 종교철학연구, 원광대학교출판부, 1996
◇ 송항용, 서울대학교종교문화연구실 편, 유교, 전환기의 한국종교, 집문당, 1986
◇ 최재목, 오늘날 한국에 유교는 있는가, 유교는 철학인가 종교인가, 나의 유교 읽기, 소강, pp.43-119, 1997
◇ 최근덕, 유교는 종교인가, 유교의 현대화 4대원칙 유학강의, 성균관대학교출판부, p.75-89, 1995
◇ 최영성, 유교계의 분화와 유교부흥운동, 유교의 개혁과 종교화운동, 한국유학사상사 5, 아세아문화사, pp.170-204, 1997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4.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8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