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서론
1.1 개 요
1.2 목 적
1.3 정 의
2. 본론
2.1 시험 기구
2.2 시험 방법
2.3 시험시 주의 사항
3. 결언
3.1 DATA SHEET
3.2 실험 값 계산 과정
4. 참고 문헌
5. 고찰
1. 서론
1.1 개 요
1.2 목 적
1.3 정 의
2. 본론
2.1 시험 기구
2.2 시험 방법
2.3 시험시 주의 사항
3. 결언
3.1 DATA SHEET
3.2 실험 값 계산 과정
4. 참고 문헌
5. 고찰
본문내용
구조물의 침하량을 줄이고 투수성을 감소시키며 제방 등의 경사면에 대한 안정도를 증가시킨다. 다시 말하면, 다짐의 목적은 그 구조물을 외력이나 자중에 대해 충분히 안정시키는 것으로서 적재물 등의 하중에 견디게 하고 풍우 등 기상조건에 좌우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장의 실내 다짐 시험목적은 다음과 같다.
- 흙을 다졌을 때의 건조밀도()와 함수량()과의 관계를 도식한다.
- 흙의 최적 함수비(OMC)와 최대 건조밀도()를 구한다.
2. 시험의 오차
1) 분무기로 시료에 물을 뿌려 혼합하는데 있어서 시험을 하면서 충분히 첨가하였다고 생각 하였는데 6회 동안의 시험의 함수비를 측정하여보니 뚜렷하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전 체적인 시험에 있어서 확실한 시험을 하지 못하였을 것 같다.
2) 3층 25회 다짐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였고 그리고 시험과정이 꽤 길어 다른 조원과 함께 번갈아 가며 실시하였는데 여기서 객관적인 판단에 의해 시료를 균등하게 다지거나 3층을 분류하는 정도에 있어 차이를 보여 다짐의 정도에 차이를 나타 내었을 것이다.
3) 다짐시험에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니 원래는 6회 동안의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 충분한 시료를 준비하여 한 회가 끝난 시료는 다짐이 되었기 때문에 다시 쓰지 않고 새로운 시료 를 이용하여 다짐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여 다짐정도에 큰 영향을 끼 쳤을 것이다.
4) 모든 시험이 기계가 아닌 사람이 실시하기 때문에 다짐을 마치고 칼라를 제거하는 과정 에서 매끈하게 떨어지지 않고 스페츌러를 이용하여 편평하게 깍아내는 정도에도 6회 동 안의 시험 전부가 많은 차이를 보였었다. 최대한 균등하게 한다고 했지만 여기서 무게 측 정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3. 느낀점
시험을 하는 내내 균등하게 다지는 작업이나 칼라를 제거하는 과정, 그리고 표면을 편평하게 해주는 데에 있어서 너무 힘들었던 것 같다. 그리고 함수비가 그다지 크게 변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리고 늘 토질 실험을 하면서 하는 작업이지만 엑셀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리는데 있어서 이번에 감을 못 잡아 많이 힘들었던 것 같다. 하지만 어설프게 나오긴 했지만 그래프 모양이 비슷하게 나와서 다행이었다.
다짐 시험을 하면서 현장에서 직접 다짐을 하는데 있어서 흙의 함수비를 파악하여 함수비의 정도에 따라 다짐의 양 및 다짐기계의 종류 등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 흙을 다졌을 때의 건조밀도()와 함수량()과의 관계를 도식한다.
- 흙의 최적 함수비(OMC)와 최대 건조밀도()를 구한다.
2. 시험의 오차
1) 분무기로 시료에 물을 뿌려 혼합하는데 있어서 시험을 하면서 충분히 첨가하였다고 생각 하였는데 6회 동안의 시험의 함수비를 측정하여보니 뚜렷하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전 체적인 시험에 있어서 확실한 시험을 하지 못하였을 것 같다.
2) 3층 25회 다짐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기계가 아닌 사람이 하였고 그리고 시험과정이 꽤 길어 다른 조원과 함께 번갈아 가며 실시하였는데 여기서 객관적인 판단에 의해 시료를 균등하게 다지거나 3층을 분류하는 정도에 있어 차이를 보여 다짐의 정도에 차이를 나타 내었을 것이다.
3) 다짐시험에 관련된 자료를 찾아보니 원래는 6회 동안의 시험을 실시하기 위해 충분한 시료를 준비하여 한 회가 끝난 시료는 다짐이 되었기 때문에 다시 쓰지 않고 새로운 시료 를 이용하여 다짐시험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여 다짐정도에 큰 영향을 끼 쳤을 것이다.
4) 모든 시험이 기계가 아닌 사람이 실시하기 때문에 다짐을 마치고 칼라를 제거하는 과정 에서 매끈하게 떨어지지 않고 스페츌러를 이용하여 편평하게 깍아내는 정도에도 6회 동 안의 시험 전부가 많은 차이를 보였었다. 최대한 균등하게 한다고 했지만 여기서 무게 측 정에 오차가 발생하였을 것이다.
3. 느낀점
시험을 하는 내내 균등하게 다지는 작업이나 칼라를 제거하는 과정, 그리고 표면을 편평하게 해주는 데에 있어서 너무 힘들었던 것 같다. 그리고 함수비가 그다지 크게 변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리고 늘 토질 실험을 하면서 하는 작업이지만 엑셀을 이용하여 그래프를 그리는데 있어서 이번에 감을 못 잡아 많이 힘들었던 것 같다. 하지만 어설프게 나오긴 했지만 그래프 모양이 비슷하게 나와서 다행이었다.
다짐 시험을 하면서 현장에서 직접 다짐을 하는데 있어서 흙의 함수비를 파악하여 함수비의 정도에 따라 다짐의 양 및 다짐기계의 종류 등을 선정하는 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