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질실험 - 비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토질실험 - 비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이론

3) 실험기구

4) 실험방법

5)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높이를 맞추고 벽의 물기를 제거할 때 휴지조각이 물에 닿는 등 많은 실수를 했다.
③ 피크노미터에 물을 채울 때에는 stoper에 모세관현상으로 물이 끝까지 올라오게 한다.
실험장비사용의 미숙함으로 많은 실수를 했다.
④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온도와 무게를 계량하는 데 있어 극히 조심해야한다. 무게를 잴 때의 약간의 오차는 비중측정에 큰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오차의 일부는 동일한 저울을 사용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⑤ 피크노미터를 손으로 잡으면 체온에 의해서 증류수나 병이 팽창해서 올바른 측정이 되지 않으므로 병의 끝을 손가락으로 잡는다.
간단한 실험을 통해 흙의 비중을 직접 구해보았다.
비중은 흙의 단위중량을 계산하는 데 쓰인다. 비중은 흙의 기본적인 성질인 공극비와 포화도를 아는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견고한 정도나 유기질토에 있어서의 유기물 함유량을 구하는 데에 이용되는 중요한 실험이다. 비중실험을 하면서의 오차의 원인을 다시 한 번 새겨보고 다음에 기회가 되면 더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겠다.
※기타
◎ 기구 및 재료
° 시료 : #10 체를 통과한 노건조 시료 약 80g
- 시료는 자연함수 상태 또는 노건조한 것으로 플라스크를 사용할 경우에는 25g 이상, 스톱퍼가 있는 병을 사용할 경우에는 10g이상 있어야 한다.
- 자연함수 상태의 시료는 시험이 끝난 후 110±5℃의 건조로에서 함량이 될 때까지 건조시킨후 노건조(w0)을 구한다. 점토질인 경우에는 KSF 2302에 규정한 방법에 따라 증류수에서 충분히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 노건조 시료는 110±5℃의 건조로에서 함량이 될 때까지 또는 적어도 12시간 건조시킨 후 중량을 단다. 그 후 12시간 이상 증류수에 담궈 둔다.
° 비중병(용량 100 cc 정도, 뚜껑포함)
- KS F 2308 규정의 비중병(Pycnometer)이나 잔골재 비중시험(KS F 2504)용과 비슷한 플라스크를 쓴다. 이들은 흙속의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이 다를 뿐 원리는 같다. Flask type은 굴리거나 흔들어서 시료의 공극사이에 있는 기포를 떠오르게 해서 뷰렛으로 빨아들여 제거하지만, Pycnometer는 끓여서 공기를 제거하므로 시험오차가 더 적다.
7) 참고문헌
「토질역학」, 박영태 편저, 한국고시회
「기본토질역학」, 서흥석, 오토테크
「토질역학의 원리」, 이인모, 도서출판 새론
「토질역학 - 이론과 응용」, 김상규, 청문각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1.28
  • 저작시기2012.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09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