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윤리)매춘과 여성의 성 상품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과윤리)매춘과 여성의 성 상품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매춘(賣春)의 정의 및 용어
2)성(性)상품화의 산물 매춘
3) 매춘의 실태
4)매매춘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
5)올바른 성문화

3. 결론

※참고※

본문내용

아닌 대상으로서의 여성과 이루어지는 남자들의 성도 소외를 경험하게 된다. 남성지배의 문화에서는 성을 통한 남녀간의 대등한 인격교류가 이루어지지 못 하고 성기 중심적인 교류에 머물게 된다.
하지만 우리가 지향해야 할 진정한 성의 모습은 어떤 것이어야 하나? 우리는 흔히 사랑을 정신적인 사랑인 '플라토닉러브'와 성적인 사랑으로 나타내는 '에로스'로 분리하여 이해하곤 한다. 이때 에로스는 쾌락과 동일한 개념으로 인식되어 왔지만 본래는 이보다 훨씬 넓은 개념이었다. 「향연」에 나타난 에로스는 '세계의 모든 것을 결합시키는 힘'으로서의 사랑 그 자체를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성적 사랑뿐만이 아니라 영혼에의 사랑(정신적 사랑)도 포함되는 포괄적 개념이다. 즉 성과 사랑은 분리되는 것이다. 에로스에 대한 새로운 개념정리를 통해 성이 육체적 결합에만 국한되지 않고 인격적 유대관계 속에서 이루어는 성으로 확대되는 가능성을 보게 된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사랑 없이 쾌락만을 위한 성이 가능하며 그 반대의 경우도 존재한다. 그러나 바람직한 성의 모습은 사랑과 성, 정신과 육체, 감정과 이성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하나로 합일되는 체험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남녀가 성과 사랑의 대등한 주체가 되어야 한다. 두 사람이 만나 이루는 성적 사랑은 자신의 본래 모습과 독립성을 그대로 유지한 채 다른 사람과 하나가 되고자 하는 추구이며 체험이다. 여기에는 상대방에 대한 인격존중과 깊은 이해와 관심이 요구되며 책임감이 수반된다. 이러한 관계가 이루어질 때 비로소 인격적인 유대관계를 이루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3. 결론
-지금까지 매춘의 정의와 함께 성상품화가 매춘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제 사회는 자본주의의 절정기를 맞이하고 있는 듯하다. 이러한 자본주의에 편승하여 각종의 새로운, 그리고 흥미를 끄는 섹스 산업들이 번창하고 있다. 사람들은 매춘이란 청량리의 588이나 미아리에 사는 여자들이나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은 천만에 말씀. 어느 누구도 매춘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 다시 한번 매춘의 정의를 생각해 보자. "금전적 보상이나 이에 상응하는 대가를 기대하고 (실제적 수수에 관계없이), 이에 대한 반대급부로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면 그가 무엇이라고 변명을 하든 그는 매춘을 하고 있는 것이다. 매춘 그 자체를 단지 서로의 조건이 맞는 사람들끼리 몇 푼의 돈 을 주고, 그저 그런 성행위를 하는 정도로 생각할 수 있으나, 그것은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이러한 행위 속에서 그들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그들의 성을 수단화하게 되고, 이러한 생각은 더 나아가서 그들 자신을 수단화하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을 수단화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진정 우리가 두려워해야 하고 경계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인간의 수단화가 매춘을 낳았는지 아니면 매춘이 인간의 수단화를 조장하였는지는 알 수 없는 일이다. 인간 최초의 직업이 매춘이 는 근거 없는 간단한 말로 본다면 결국 인간은 매춘을 통하여 인간을 수단화하는 방법을 최초로 터득하였는지도 모를 일이다.
매춘의 긍극적인 해결을 위해서 위의 본문에서 제시한 정책제안은 정말로 매매춘 문제의 해결을 위해 꼭 필요한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사회복귀방안을 제시해봐야 그것이 실시되도록 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그리고 나의 제안은 위의 정책제안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여성운동의 몫이고 이를 위하여 지금부터 노력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즉 여성계의 힘을 모아 위와 같은 좋은 제안들 중에서 우선 가능한 것부터 시작하는 것, 그리고 이를 정부가 실행하도록 여론형성작업을 하는 일이다.
사실 한국의 여성운동은 지금까지 많은 것을 이루어냈고 세계에 자랑할 만할 정도로 저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많은 여성관련 법들을 제정해 냈고, 여성의 차별적인 위치를 바꾸기 위한 노력을 부단히 해 왔다. 그러나 매매춘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문제의 심각성과 어려움 때문에 이에 뛰어들 용기를 별로 내지 못하고, 열성적인 일부 활동가들의 운동에 의존해 왔다. 매매춘 문제의 해결을 여성운동의 주요과제의 하나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매춘과 함께 성상품화에 대한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은 바로, 올바른 성의식의 확립을 통한 올바른 성문화의 형성이라고 봐야겠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렸을 때의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성(性)문제가 심각하게 드러나고 있는 이유가 바로 성(性)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올바른 교육을 위해서는 사람들 개인의 노력도 중요하겠지만 정부는 제도적 차원에서의 지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사회에 있어서 성은 가장 본능적인 부분 일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이러한 부분에서 문화라는 옷을 입혀 동물사회의 성과는 확연히 구별되도록 하였다. 역사가 그 두께를 더하면서 그 옷에는 여러 가지 장식이 필요하게 되었고, 낡은 부분은 새로운 헝겊조각으로 꿰매졌으며, 옷의 형태도 조금씩 달라지게 되었다. 그렇지만 옷을 여미는 부분은 첫 단추가 잘못 채워졌던 탓에 오랫동안 비뚤어져 있었다. 이제 오른손과 왼손은 서로 협력하여 잘못 채워진 단추를 풀고 다시 단추를 채우려한다. 새롭게 단추를 채울 때는 옷의 길이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하였으면 하는 바램으로 이 글을 마치려 한다.
※참고※
*김명혜 외, “성미디어문화”(나남출판,1994)
*케디 콘보이 외,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한울출판,2001)
*http://210.99.184.1/왜일어나.htm
*http://kr.yahoo.com/야후백과사전
*http://chunma.yeungnam.ac.kr/~m0012036/yumain.html
*http://www.koreabase.com/newsletter/Vol10/case.htm
*http://woman.iansan.net/sub04/sub02_02_03.asp
*http://cjhotline.or.kr/intro_body03.htm
*http://www.hwagae.ms.kr/sexedu19.htm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4.24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1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