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5개 질환-
수두
홍역
풍진
돌발진
이하선염
일본뇌염
헤르페스성 질환
소아마비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성홍열
A형 감염
수막염
Guillian-Barre 증후군
-각 질환별로-
원인균
전파양식
감염원
잠복기
전염기간
병태생리
증상
치료
간호
수두
홍역
풍진
돌발진
이하선염
일본뇌염
헤르페스성 질환
소아마비
디프테리아
파상풍
백일해
성홍열
A형 감염
수막염
Guillian-Barre 증후군
-각 질환별로-
원인균
전파양식
감염원
잠복기
전염기간
병태생리
증상
치료
간호
본문내용
구 간접 접촉시.
잠복기
5~21일(대부분 10일)
전염기간
발작 후 4주까지, 카타르기가 제일 전염성 강함(격리 요함)
병태생리
백일해 균이 기관, 기관지, 모세 기관지 등에 침투, 특유 경련성 발작과 흡 기 천명 발생.
증상
(1) 카타르기 : 상기도 감염(재채기, 콧물, 미열,1~2주간 마른 기침 등)
(2) 발작기
- 짧고 발작적인 기침(밤, 이른아침), 흡기시 Whoop 소리남, 연달아 10회
넘는 기침
- 발작시 안면 홍조, 울혈, 창백해짐
- 발작 후 다량의 진하고 끈끈한 점액성 구토(밤, 이른 아침에 심함)
(3) 회복기
-4~6주 후, 발작 약해지며 횟수나 강도가 감소, 증상 소실
치료
-항생제(EM=erythromycin)
-백일해 면역 글로불린 투여
-카타르기에 erythromycin 또는 ampicillin 투여
간호
-카타르기 시 격리, 입원시 호흡기 전파 주의
-발열시 안정
-발작 유발인자 제거, 정신적 및 신체적 안정 제공하여 자극을 최소화.
-산소요법, 가습으로 따뜻하고 충분한 습기 제공.
-소량씩 자주 수분 섭취.
-분비물 흡인, 기도 폐쇄 징후 관찰.
성홍열 (Scarlet Fever)
원인균
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i (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원
감염자나 보균자의 비인두 분비물
전파양식
직접 접촉, 비말 감염, 분비물로 오염된 물건에 의한 간접 전염,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염
잠복기
2~4일
전염기간
잠복기와 임상증상 출현기, 약 10일 정도
증상
(1) 전구기: 갑작스런 고열, 빈맥, 구토, 두통, 오한, 불안, 복통
(2) 발진기
- 발열, 심한 두통, 인두통, 구토, 연구개 점상 출혈.
- 편도선 증대, 붉은 반점, 부종.
- 1~2일 째: 혀가 부어서 흰 딸기 모양
- 4~5일 째: 백태 벗겨지며 붉은 딸기 모양
- 얼굴을 제외한 전신에 바늘크기의 붉은 반점 (얼굴 제외)
- 홍조(겨드랑이, 서혜부 등의 접히는 부위에 심하게 나타남)
- 7일 후 벗겨지며, 3주 이상 진행됨
(3) 낙설기: 피부낙설 1주 말경 안면에서 시작하여 3주가지 전신피부 낙설.
치료
-페니실린 투여(매우 효과적임), 과민성시 erythromycin투여
-치료 시작 하루 내에 열이 감소
간호
-호흡기 감염 예방
-발열시 안정 및 해열제 투여
-수분섭취 권장, 연식 및 유동식 제공, 급성기시 자극성 음식 제한
-피부발진이 사라져도 전염력이 있을 수 있음
-경부에 온습포
-따뜻한 식염수 함수
A형 감염 (Hipatitis A)
원인균
바이러스
전파양식
주로 대변-구강 분비물과 우염돈 음식, 모유, 물을 통해. 혈액을 통한 전파
는 드물며, 바이러스는 임신 3기에 태반 장벽을 통과한다.
잠복기
25~30일
전염기간
발병 후 한달 혹은 그 이상
병태생리
주로 간의 실질 세포에서 일어나며, 단핵 세포에 의한 간세포의 종창, 침윤,
퇴화, 괴사, 자기분해 등이 일어남.
증상
-갑작스러우며 경증에서 중증까지 있음
-미열,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부팽만, 황달, 혼수, 사망
치료
면역 글로블린을 노출전이나 노출 후 초기 잠복기 동안에 투여하면 A형간염
예방에 효과적.
간호
-대증요법
-절대 안정
-고단백, 고탄수화물, 저지방, 고열량 식이로 소량씩 자주 섭취.
-수분 권장, 수액요법
-격리하며 변기 따로 사용, 분변처리시 주의
-분변처리 후 모두 손씻기 교육
수막염 (Meningitis) -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
원인균
S. pneumonia, N. meningitidis, H. influenzae type B
증상
-발열, 식욕부진, 상기도 감염증, 근육통, 관절통, 빈맥, 저혈압과 자반증
점상출혈 또는 홍반성 발진과 같은 다양한 피부증상
-수막자극은 경부강직, 요통, Kernig sign, Brudzinski sign으로 나타남
-뇌압상승, 유두부종, 두개내 농양, 경막하 축농, 경막 정맥동의 폐색
-의식상태의 변화와 의식수준의 저하
치료
및 간호
-활력증상 자주 측정, 동공반사, 의식수전 정도, 운동강도, 중추신경 징후 및 경련의 평가 등 신경학적 평가 자주.
-뇌압감소를 위한 치료, 경련에 대해 즉각적 치료,
수막염 (Meningitis) - 바이러스성 수막염
원인균
장바이러스(enterovirus)가 80%
전파양식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
잠복기
4~6일
전염기간
주로 여름과 가을에 발생.
증상
-연장아: 두통, 지각과민
-영유아: 두통,보채거나 다루기 힘듬.
-사춘기 어린이: 구후두통, 발열, 구역, 구토, 동통, 광성공포증.
치료
-대증요법, 안정, 진통제 사용.
-경련, 뇌부종, 심한 고열, 불충분한 호흡, 수분-전해질 균형의 이상, 흡인 과 질식, 중추신경계와 연관된 심장 및 호흡정지의 대처
Guillian-Barre 증후군
원인균
불명이나 흔히 바이러스.
감염원
독감 등의 바이러스 감염, 예방 접종 후 발병
전파양식
약65%에서 비특이성 바이러스 감염, 상기도 감염 등의 선행.
드물게 campylobacter 균주에 의한 위장감염, Mycoplasma pneumonia 감염을 앓은 후 3~6주
전염기간
2~4주
병태생리
림프구의 과민반응 및 감염의 독성 작용→림프구가 말초신경으로 이동 →수 초파괴→ 내장의 세포들이 국소 괴사
증상
-마비가 오기전 근육 피로나 근육통이 선행, 심부 건반사 초기에 소실
-Landry상행마비, 사지마비, 구마비 초래.
-구마비의 증상과 함께 연하곤란, 안면 근육 마비, 상지 삼두박 심부 건반 사 소실→호흡근 마비의 징후
-위치감각 장애, 진동, 통증 감각, 촉각장애의 빈도순
-2~4주경부터 차차 호전, 역방향으로 회복, 호흡부전, 상지마비 등이 먼저
회복, 하지의 심부건 반사가 가장 나중에 정상화
치료
-혈장 교환 치료법이 가장 효과적, 면역 글로불린 투여, steroid제재
-욕창의 방지, 감염 예방, 배뇨 장애에 대한 처치, 호흡 부전시 인공 호흡 기 사용, 물리치료 등
간호
-대증요법
-호흡기 장애시 체위 배액, 흡인, 기관절개술 장비 구비
-산소 공급
-심맥관계 손상시 활력징후 주의깊게 관찰
-피부간호, 체위변경
-연축 예방 위해 능동, 수동 운동 권장
잠복기
5~21일(대부분 10일)
전염기간
발작 후 4주까지, 카타르기가 제일 전염성 강함(격리 요함)
병태생리
백일해 균이 기관, 기관지, 모세 기관지 등에 침투, 특유 경련성 발작과 흡 기 천명 발생.
증상
(1) 카타르기 : 상기도 감염(재채기, 콧물, 미열,1~2주간 마른 기침 등)
(2) 발작기
- 짧고 발작적인 기침(밤, 이른아침), 흡기시 Whoop 소리남, 연달아 10회
넘는 기침
- 발작시 안면 홍조, 울혈, 창백해짐
- 발작 후 다량의 진하고 끈끈한 점액성 구토(밤, 이른 아침에 심함)
(3) 회복기
-4~6주 후, 발작 약해지며 횟수나 강도가 감소, 증상 소실
치료
-항생제(EM=erythromycin)
-백일해 면역 글로불린 투여
-카타르기에 erythromycin 또는 ampicillin 투여
간호
-카타르기 시 격리, 입원시 호흡기 전파 주의
-발열시 안정
-발작 유발인자 제거, 정신적 및 신체적 안정 제공하여 자극을 최소화.
-산소요법, 가습으로 따뜻하고 충분한 습기 제공.
-소량씩 자주 수분 섭취.
-분비물 흡인, 기도 폐쇄 징후 관찰.
성홍열 (Scarlet Fever)
원인균
Group A β-hemolytic streptococci (용혈성 연쇄상구균)
감염원
감염자나 보균자의 비인두 분비물
전파양식
직접 접촉, 비말 감염, 분비물로 오염된 물건에 의한 간접 전염, 동물로부터 사람에게 전염
잠복기
2~4일
전염기간
잠복기와 임상증상 출현기, 약 10일 정도
증상
(1) 전구기: 갑작스런 고열, 빈맥, 구토, 두통, 오한, 불안, 복통
(2) 발진기
- 발열, 심한 두통, 인두통, 구토, 연구개 점상 출혈.
- 편도선 증대, 붉은 반점, 부종.
- 1~2일 째: 혀가 부어서 흰 딸기 모양
- 4~5일 째: 백태 벗겨지며 붉은 딸기 모양
- 얼굴을 제외한 전신에 바늘크기의 붉은 반점 (얼굴 제외)
- 홍조(겨드랑이, 서혜부 등의 접히는 부위에 심하게 나타남)
- 7일 후 벗겨지며, 3주 이상 진행됨
(3) 낙설기: 피부낙설 1주 말경 안면에서 시작하여 3주가지 전신피부 낙설.
치료
-페니실린 투여(매우 효과적임), 과민성시 erythromycin투여
-치료 시작 하루 내에 열이 감소
간호
-호흡기 감염 예방
-발열시 안정 및 해열제 투여
-수분섭취 권장, 연식 및 유동식 제공, 급성기시 자극성 음식 제한
-피부발진이 사라져도 전염력이 있을 수 있음
-경부에 온습포
-따뜻한 식염수 함수
A형 감염 (Hipatitis A)
원인균
바이러스
전파양식
주로 대변-구강 분비물과 우염돈 음식, 모유, 물을 통해. 혈액을 통한 전파
는 드물며, 바이러스는 임신 3기에 태반 장벽을 통과한다.
잠복기
25~30일
전염기간
발병 후 한달 혹은 그 이상
병태생리
주로 간의 실질 세포에서 일어나며, 단핵 세포에 의한 간세포의 종창, 침윤,
퇴화, 괴사, 자기분해 등이 일어남.
증상
-갑작스러우며 경증에서 중증까지 있음
-미열,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부팽만, 황달, 혼수, 사망
치료
면역 글로블린을 노출전이나 노출 후 초기 잠복기 동안에 투여하면 A형간염
예방에 효과적.
간호
-대증요법
-절대 안정
-고단백, 고탄수화물, 저지방, 고열량 식이로 소량씩 자주 섭취.
-수분 권장, 수액요법
-격리하며 변기 따로 사용, 분변처리시 주의
-분변처리 후 모두 손씻기 교육
수막염 (Meningitis) - 신생아기 이후의 세균성 수막염
원인균
S. pneumonia, N. meningitidis, H. influenzae type B
증상
-발열, 식욕부진, 상기도 감염증, 근육통, 관절통, 빈맥, 저혈압과 자반증
점상출혈 또는 홍반성 발진과 같은 다양한 피부증상
-수막자극은 경부강직, 요통, Kernig sign, Brudzinski sign으로 나타남
-뇌압상승, 유두부종, 두개내 농양, 경막하 축농, 경막 정맥동의 폐색
-의식상태의 변화와 의식수준의 저하
치료
및 간호
-활력증상 자주 측정, 동공반사, 의식수전 정도, 운동강도, 중추신경 징후 및 경련의 평가 등 신경학적 평가 자주.
-뇌압감소를 위한 치료, 경련에 대해 즉각적 치료,
수막염 (Meningitis) - 바이러스성 수막염
원인균
장바이러스(enterovirus)가 80%
전파양식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
잠복기
4~6일
전염기간
주로 여름과 가을에 발생.
증상
-연장아: 두통, 지각과민
-영유아: 두통,보채거나 다루기 힘듬.
-사춘기 어린이: 구후두통, 발열, 구역, 구토, 동통, 광성공포증.
치료
-대증요법, 안정, 진통제 사용.
-경련, 뇌부종, 심한 고열, 불충분한 호흡, 수분-전해질 균형의 이상, 흡인 과 질식, 중추신경계와 연관된 심장 및 호흡정지의 대처
Guillian-Barre 증후군
원인균
불명이나 흔히 바이러스.
감염원
독감 등의 바이러스 감염, 예방 접종 후 발병
전파양식
약65%에서 비특이성 바이러스 감염, 상기도 감염 등의 선행.
드물게 campylobacter 균주에 의한 위장감염, Mycoplasma pneumonia 감염을 앓은 후 3~6주
전염기간
2~4주
병태생리
림프구의 과민반응 및 감염의 독성 작용→림프구가 말초신경으로 이동 →수 초파괴→ 내장의 세포들이 국소 괴사
증상
-마비가 오기전 근육 피로나 근육통이 선행, 심부 건반사 초기에 소실
-Landry상행마비, 사지마비, 구마비 초래.
-구마비의 증상과 함께 연하곤란, 안면 근육 마비, 상지 삼두박 심부 건반 사 소실→호흡근 마비의 징후
-위치감각 장애, 진동, 통증 감각, 촉각장애의 빈도순
-2~4주경부터 차차 호전, 역방향으로 회복, 호흡부전, 상지마비 등이 먼저
회복, 하지의 심부건 반사가 가장 나중에 정상화
치료
-혈장 교환 치료법이 가장 효과적, 면역 글로불린 투여, steroid제재
-욕창의 방지, 감염 예방, 배뇨 장애에 대한 처치, 호흡 부전시 인공 호흡 기 사용, 물리치료 등
간호
-대증요법
-호흡기 장애시 체위 배액, 흡인, 기관절개술 장비 구비
-산소 공급
-심맥관계 손상시 활력징후 주의깊게 관찰
-피부간호, 체위변경
-연축 예방 위해 능동, 수동 운동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