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관련 법 규정
2. 제103조의 의의
3. 사회질서 위반의 구체적 내용
4. 반사회적 법률행위의 효과
2. 제103조의 의의
3. 사회질서 위반의 구체적 내용
4. 반사회적 법률행위의 효과
본문내용
수 없고, 또한 도박채무는 법적인 채무가 아니지만 이를 변제하면 그 반환청구를 할 수 없게 된다. 급여의 원인이 반사회적이므로, 그 반환청구를 법이 도와 줄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예외적으로 불법원인이 수익자에게만 있는 경우에 한해서는 반환청구가 허용된다.
2) 반사회적인 부동산의 이중양도와 채권자대위권
부동산의 이중양도(배임적 처분행위)가 제2의 매수인의 적극 가담 하에 이루어졌다면 반사회적 행위로서 무효이다. 그러나 이는 불법원인급여에 해당되므로 매도인의 반환청구권(말소등기청구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판례는, 그 채권자(제1의 매수인)는 매도인을 대위하여 이전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다는 특수한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 관련판례 ]
대판 80.5.27, 80다565 (판례요지) A가 B에게 매도한 후 C에게 이중매도(C의 적극가담으로 무효의 요건을 충족)한 경우, A가 C에게 부동산을 급부한 것은 불법원인급여이므로 반환청구할 수 없으나, 제1매수인 B는 매도인 A를 대위하여, 이중매수인 C 앞으로 경료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이와 함께 B는 A에 대하여 자기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
이 판례에 대하여 이영준 244면은 「제746조가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배제하는 이유는 불법원인으로 급여된 것을 급여자와 수익자 중 어느 일방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법질서에 반하여, 현상을 고정하려는 데 있는 것이므로, 급여가 위 판례처럼 원래 귀속되어야 할 제3자(제1매수인)에게 자동적으로 귀속되는 경우에는 제746조의 적용을 부정하여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2) 반사회적인 부동산의 이중양도와 채권자대위권
부동산의 이중양도(배임적 처분행위)가 제2의 매수인의 적극 가담 하에 이루어졌다면 반사회적 행위로서 무효이다. 그러나 이는 불법원인급여에 해당되므로 매도인의 반환청구권(말소등기청구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판례는, 그 채권자(제1의 매수인)는 매도인을 대위하여 이전등기의 말소를 구할 수 있다는 특수한 이론을 전개하고 있다.
[ 관련판례 ]
대판 80.5.27, 80다565 (판례요지) A가 B에게 매도한 후 C에게 이중매도(C의 적극가담으로 무효의 요건을 충족)한 경우, A가 C에게 부동산을 급부한 것은 불법원인급여이므로 반환청구할 수 없으나, 제1매수인 B는 매도인 A를 대위하여, 이중매수인 C 앞으로 경료된 소유권이전등기의 말소를 청구할 수 있다(이와 함께 B는 A에 대하여 자기 앞으로 소유권이전등기의 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
이 판례에 대하여 이영준 244면은 「제746조가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배제하는 이유는 불법원인으로 급여된 것을 급여자와 수익자 중 어느 일방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 법질서에 반하여, 현상을 고정하려는 데 있는 것이므로, 급여가 위 판례처럼 원래 귀속되어야 할 제3자(제1매수인)에게 자동적으로 귀속되는 경우에는 제746조의 적용을 부정하여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추천자료
독일민법과 우리나라민법상 불법행위
비행청소년과 비행청소년가족의 사회복지
가정폭력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민법상 법인의 본질과 불법행위 책임
범죄와 형벌에 관한 일반이론
쌍무계약의 효력
민법상 행위무능력자의 상대방 보호
폭력사범 수사의 이해
[헌법][헌법철학][헌법보호][대한민국헌법][한국헌법][법][법률][법치]헌법의 개념, 헌법의 ...
민법상 불법행위 책임에 대한 손해배상액의 산정에 대한 법적 검토
민법상 의사능력과 책임능력 및 행위능력과 무능력자 제도
범죄문제와 해결방안
법학통론 기말 범위 요약
[생활과 법률] 『성매매 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