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문학으로서의 교훈시조의 가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교훈시조의 발생과 작가층
2.교훈시조의 특징
오륜가,훈민가

본문내용

순수한 우리말로 지어서 백성들의 이해와 접근이 용이하게 하였으며, 말을 청유형이나 명령형으로 하여 사대부 계층의 선험적인 가치체계를 일방적으로 따르도록 명령하지 않고 백성들이 몸소 체험하는 인간관계를 설정하여 쉽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또한 젊은이와 늙인이와의 대조를 통하여 주제를 선명하게 하고 있다.
작품의 내용
◆선거권유문(仙居勸諭文)'의내용제1수-부의모자(父義母慈):부생모육의은혜제2수-군신(君臣):임금과백성의관계와부모님의배려제3수-형우제공(兄友弟恭):형제간의반목을금하고,우애있게지내기를권함제4수-자효(子孝):부모님에대한효도권유제5수-부부유은(夫婦有恩):부부는일심동체,상호간의존경제6수-남녀유별(男女有別):남녀관계가문란해짐을경계제7수-자제유학(子弟有學):자녀들에게학문권장제8수-향려유례(鄕閭有禮):올바른행동권유제9수-장유유서(長幼有序):어른공경하는태도제10수-붕우유신(朋友有信):벗의관계제11수-빈궁우환(貧窮憂患)친척상구(親戚相救):상부상조의정신제12수-혼인사상인리상조(婚姻死喪隣里相助):애경사시에서로도울것제13수-무타농상(無惰農桑):농사일에상부상조의정신제14수-무작도적(無作盜賊):남의물건을탐내지말것제15수-무학도박(無學賭博).무호쟁송(無好爭訟):도박과송사를금함제16수-반백자불부대(班白者不負戴):노인에대한공경의마음
훈민가(訓民歌)'의특성①윤리(倫理)도덕(道德)의실천궁행(實踐躬行)을목적으로하였다.②백성들을교화하기위한계몽적이며교훈적인성격의노래이다.③문학적인운치나창의성은적지만.평이한말속에인정의기미를곁들여감동을일으키 고있다.④고유어를사용하여백성들의이해와접근이용이하도록만들어놓았다.⑤청유어법을활용하여설득하는힘이강하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4.29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2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