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제주시(제주지역)의 자연환경
Ⅱ. 제주시(제주지역)의 전통주거
1. 올레
2. 마당
3. 안뒤
4. 눌굽
5. 통시
6. 우영
Ⅲ. 제주시(제주지역)의 식생활
Ⅳ. 제주시(제주지역)의 종교사
Ⅴ. 제주시(제주지역)의 하천
1. 산지천
2. 효돈천
3. 천미천
Ⅵ. 제주시(제주지역)의 외국인 표류
1. 웰터브레(한국 이름 박연)
2. 하멜의 표류기
1) 저술과정
2) 표류의 경위
3) 제주에서의 표류 생활
Ⅶ. 제주시(제주지역)의 대외교류 - 탐라국을 중심으로
1. 대일교류
2. 대중교류
Ⅷ. 제주시(제주지역)의 관광지
1. 삼굼부리 분화구
2. 정석 항공관
3. 성읍 민속마을
4. 섭지코지
5. 성산일출봉
참고문헌
Ⅱ. 제주시(제주지역)의 전통주거
1. 올레
2. 마당
3. 안뒤
4. 눌굽
5. 통시
6. 우영
Ⅲ. 제주시(제주지역)의 식생활
Ⅳ. 제주시(제주지역)의 종교사
Ⅴ. 제주시(제주지역)의 하천
1. 산지천
2. 효돈천
3. 천미천
Ⅵ. 제주시(제주지역)의 외국인 표류
1. 웰터브레(한국 이름 박연)
2. 하멜의 표류기
1) 저술과정
2) 표류의 경위
3) 제주에서의 표류 생활
Ⅶ. 제주시(제주지역)의 대외교류 - 탐라국을 중심으로
1. 대일교류
2. 대중교류
Ⅷ. 제주시(제주지역)의 관광지
1. 삼굼부리 분화구
2. 정석 항공관
3. 성읍 민속마을
4. 섭지코지
5. 성산일출봉
참고문헌
본문내용
제주시(제주지역)의 하천
1. 산지천
2. 효돈천
3. 천미천
Ⅵ. 제주시(제주지역)의 외국인 표류
1. 웰터브레(한국 이름 박연)
2. 하멜의 표류기
1) 저술과정
2) 표류의 경위
3) 제주에서의 표류 생활
Ⅶ. 제주시(제주지역)의 대외교류 - 탐라국을 중심으로
1. 대일교류
2. 대중교류
Ⅷ. 제주시(제주지역)의 관광지
1. 삼굼부리 분화구
2. 정석 항공관
3. 성읍 민속마을
4. 섭지코지
5. 성산일출봉
참고문헌
Ⅰ. 제주시(제주지역)의 자연환경
제주도는 한국으로서는 최남단의 되어 기후가 온난할 뿐만 아니라 1950 미터의 높은 산이 섬의 한복판에 솟아 있고, 네 둘레가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서 각종 동 식물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식물로 말하자면 남제주군 해안선을 중심으로 한 아열대 식물에서부터 한라산 절정의 고산식물에 이르기까지 전도에 무려 2,000 수백종의 식물이 분포되어 있다고 하니, 가히 제주도는 식물의 보고라고 할만하다. 동물에 있어서도 기후가 온난하고 산야에 먹이가 풍부하므로 수많은 동물이 분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풍부한 야생의 동 식물은 제주도 개벽신화인 삼성 신인의 시대부터 채집되어 왔을 뿐 아니라 진시황 시대에 이 곳 한라산(일명 영주산)에 불로초를 캐기 위한 사산을 보내 왔었다는 전설이 있음도 제주도의 야생 동 식물에 대한 채집은 벌써 아득한 옛날의 신화 전설에서도 나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렇듯 제주도 개벽신화에서부터 인간은 야생동 식물을 채집하여 우리의 생활의 자료로 해 왔거니와, 그 신화시대부터 자연에서 채집해 온 야생의 동식물은 역사시대 문화시대로 내려오면서도 줄곧 도민의 생활의 자료로 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문명시대인 오늘에 와서도 도민의 생활과 떨어질 수 없는 야생 동 식물이 많으니, 여기서는 그 주요한 동식물들이 도민의 식생활의 배경적 측면에서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제주도는 둘레 253km의 해안선을 가진 조그마한 섬이면서도 또한 이에 부속된 49개의 잘잘한 섬들로 이루어진 따스한 고장이다. 화산암이 바다 밑까지 뻗쳐 들어가 좋은 항구는 없어 유감스러우나, 그런대로 제주항을 비롯한 북제주군의 한림항 남제주군을 중심한 서귀포항, 화순항, 성산항, 그리고 추자도의 추자항 등이 있어서 지역별 어업의 중심지는 물론, 선박의 대피항으로서도 주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어종군은 이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해류를 볼 때, 북 쪽에서 내려 미는 차가운 리만해류와 따뜻한 남쪽에서 올라가는 황하해류가 있어, 이들이 서로 교류되는 제주근해의 어장에서는 회유어족과 정착어족이 섞여 있음을 비롯한 해물이 풍요하여, 이들 고깃떼만도 무려 86종류에 이른다고 한다. 그러나 예로부터 어업을 천시하는 경향이 짙었고, 또한 농업을 주로 하며 부업 삼아 일해 온 까닭에 어업에 대한 투자가 없었으니, 어업발전에는 지장이 적지 않았음이 사실이나, 오늘날 도민의 자각과 당국의 지원에서 점차 어업이 새로운 기업으로 각광을 받기 비롯하였으며, 이제 발전의 궤도에 오르고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잠수의 활약이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제주도의 해안부락에 거주하는 부녀자들은 옛부터 거의 잠수업을 하여 오고 있는 실정인데, 그 수익은 도민의 경제를 크게 뒷받침해 주고 있다. 앞으로 제주도의 수산업은 어항의 개축과 어법의 개혁을 비롯한 잠수의 생산능률을 높여 준다면 머지않은 앞날에 세계적인 수산왕국으로 각광을 받을 전망이 밝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해안마을 사람들의 식생활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Ⅱ. 제주시(제주지역)의 전통주거
제주초가는 주위 지형보다 낮은 곳에 돌담을 두르고 건물을 별동으로 배치한다. 안거리 한 채와 부속채로 이루어진 집을 외거리 집이라 하며, 안밖거리를 갖춘 두 채의 집을 두거리집이라 한다. 안거리와 밖거리는 마당을 중심으로 二자로 마주보기도 하고, 때로는 튼 자로 배치되기도 한다. 초가가 규모를 갖추게 되면 안거리와 밖거기 및 부속채의 목거리를 포함하여 세 채 혹은 네 채로 이루어져서, 안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밖거리, 목거리 등은 마당을 중심으로 튼 자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치는 무속신앙과 풍수지리, 기후, 가족제도 등 여러 가지 문화적 요인이 깔려 있다. 집 외부와 내부 공간은 기능에 따라, 거릿길, 올레, 올레목, 마당, 안뒤 순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완급과 폐쇄와 트임으로 공간체험의 충실도를 높였다.
1. 올레
거릿길에서 집으로 출입하기 위한 긴 골목이다. 외부로부터 시선을 차단하여 독립성 있는 공간을 가지려는 영역성, 경제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올레가 짧거나 직선으로 안거리와 마주할 때에는 시선을 차단하고 바람을 피할 수 있도록 밖거리 또는 부속채를 설치한다.
2. 마당
농작업 외에 각종 가정의례가 행해지는 의식적 공간으로, 집 전체가 하나의 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된다. 안거리와 밖거리 사이의 마당은 78m 범위로 정해진다. 이것은 일조, 통풍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거리이기도 하며 안거리와 밖거리의 거리는 서로 난간에 앉은 채 일상적인 음성으로 가족들 간의 대화가 가능하고 얼굴 표정을 통하여 서로 공감할 수 있는 척도의 범위라고 한다. 마당 폭과 건물 높이의 비는 2:1 정도여서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어 쾌적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3. 안뒤
안거리 뒤쪽에 구성된 공간으로, 안거리 뒷벽 한 쪽 끝에서 다른 쪽으로 담을 쌓아서 외부와는 통하지 못하도록 만든 폐쇄적인 공간이다. 이 곳에 출입하려면 반드시 안거리 상방의 뒷문을 이용하거나 정지 뒷문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안뒤를 에워싸는 담은 주위의 울타리보다 높아서 타인에게 비공개되는 공간으로, 그 집의 상징이 될만한 , 동백나무, 감나무, 밀감나무 등을 심어 후원의 역할을 한다. 또한 이곳에는 무속신앙의 대상인 칠성눌이 놓이고, 장항굽 등도 놓인다.
4. 눌굽
눌을 설치하는 자리를 눌굽이라 한다. 탈곡하기 전의 농작물을 단으로 묶어 쌓아 두거나, 탈곡하고 난 짚을 낟가리로 씌워 쌓아 놓은 조영물을 눌이라 하고, 이를 만드는 행위를 \'눌을 눈다\'고 한다. 이 눌을 누는 자리는 안거리와 밖거리의 마당 한 곁으로 우천시 침수를 피하기
1. 산지천
2. 효돈천
3. 천미천
Ⅵ. 제주시(제주지역)의 외국인 표류
1. 웰터브레(한국 이름 박연)
2. 하멜의 표류기
1) 저술과정
2) 표류의 경위
3) 제주에서의 표류 생활
Ⅶ. 제주시(제주지역)의 대외교류 - 탐라국을 중심으로
1. 대일교류
2. 대중교류
Ⅷ. 제주시(제주지역)의 관광지
1. 삼굼부리 분화구
2. 정석 항공관
3. 성읍 민속마을
4. 섭지코지
5. 성산일출봉
참고문헌
Ⅰ. 제주시(제주지역)의 자연환경
제주도는 한국으로서는 최남단의 되어 기후가 온난할 뿐만 아니라 1950 미터의 높은 산이 섬의 한복판에 솟아 있고, 네 둘레가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서 각종 동 식물들이 많이 분포되어 있다. 식물로 말하자면 남제주군 해안선을 중심으로 한 아열대 식물에서부터 한라산 절정의 고산식물에 이르기까지 전도에 무려 2,000 수백종의 식물이 분포되어 있다고 하니, 가히 제주도는 식물의 보고라고 할만하다. 동물에 있어서도 기후가 온난하고 산야에 먹이가 풍부하므로 수많은 동물이 분포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풍부한 야생의 동 식물은 제주도 개벽신화인 삼성 신인의 시대부터 채집되어 왔을 뿐 아니라 진시황 시대에 이 곳 한라산(일명 영주산)에 불로초를 캐기 위한 사산을 보내 왔었다는 전설이 있음도 제주도의 야생 동 식물에 대한 채집은 벌써 아득한 옛날의 신화 전설에서도 나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렇듯 제주도 개벽신화에서부터 인간은 야생동 식물을 채집하여 우리의 생활의 자료로 해 왔거니와, 그 신화시대부터 자연에서 채집해 온 야생의 동식물은 역사시대 문화시대로 내려오면서도 줄곧 도민의 생활의 자료로 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문명시대인 오늘에 와서도 도민의 생활과 떨어질 수 없는 야생 동 식물이 많으니, 여기서는 그 주요한 동식물들이 도민의 식생활의 배경적 측면에서 생각해 보자는 것이다. 제주도는 둘레 253km의 해안선을 가진 조그마한 섬이면서도 또한 이에 부속된 49개의 잘잘한 섬들로 이루어진 따스한 고장이다. 화산암이 바다 밑까지 뻗쳐 들어가 좋은 항구는 없어 유감스러우나, 그런대로 제주항을 비롯한 북제주군의 한림항 남제주군을 중심한 서귀포항, 화순항, 성산항, 그리고 추자도의 추자항 등이 있어서 지역별 어업의 중심지는 물론, 선박의 대피항으로서도 주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어종군은 이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해류를 볼 때, 북 쪽에서 내려 미는 차가운 리만해류와 따뜻한 남쪽에서 올라가는 황하해류가 있어, 이들이 서로 교류되는 제주근해의 어장에서는 회유어족과 정착어족이 섞여 있음을 비롯한 해물이 풍요하여, 이들 고깃떼만도 무려 86종류에 이른다고 한다. 그러나 예로부터 어업을 천시하는 경향이 짙었고, 또한 농업을 주로 하며 부업 삼아 일해 온 까닭에 어업에 대한 투자가 없었으니, 어업발전에는 지장이 적지 않았음이 사실이나, 오늘날 도민의 자각과 당국의 지원에서 점차 어업이 새로운 기업으로 각광을 받기 비롯하였으며, 이제 발전의 궤도에 오르고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잠수의 활약이 널리 알려져 있다시피 제주도의 해안부락에 거주하는 부녀자들은 옛부터 거의 잠수업을 하여 오고 있는 실정인데, 그 수익은 도민의 경제를 크게 뒷받침해 주고 있다. 앞으로 제주도의 수산업은 어항의 개축과 어법의 개혁을 비롯한 잠수의 생산능률을 높여 준다면 머지않은 앞날에 세계적인 수산왕국으로 각광을 받을 전망이 밝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해안마을 사람들의 식생활에 있어서도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Ⅱ. 제주시(제주지역)의 전통주거
제주초가는 주위 지형보다 낮은 곳에 돌담을 두르고 건물을 별동으로 배치한다. 안거리 한 채와 부속채로 이루어진 집을 외거리 집이라 하며, 안밖거리를 갖춘 두 채의 집을 두거리집이라 한다. 안거리와 밖거리는 마당을 중심으로 二자로 마주보기도 하고, 때로는 튼 자로 배치되기도 한다. 초가가 규모를 갖추게 되면 안거리와 밖거기 및 부속채의 목거리를 포함하여 세 채 혹은 네 채로 이루어져서, 안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밖거리, 목거리 등은 마당을 중심으로 튼 자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배치는 무속신앙과 풍수지리, 기후, 가족제도 등 여러 가지 문화적 요인이 깔려 있다. 집 외부와 내부 공간은 기능에 따라, 거릿길, 올레, 올레목, 마당, 안뒤 순으로 이동하는 사이에 완급과 폐쇄와 트임으로 공간체험의 충실도를 높였다.
1. 올레
거릿길에서 집으로 출입하기 위한 긴 골목이다. 외부로부터 시선을 차단하여 독립성 있는 공간을 가지려는 영역성, 경제성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올레가 짧거나 직선으로 안거리와 마주할 때에는 시선을 차단하고 바람을 피할 수 있도록 밖거리 또는 부속채를 설치한다.
2. 마당
농작업 외에 각종 가정의례가 행해지는 의식적 공간으로, 집 전체가 하나의 마당을 중심으로 배치된다. 안거리와 밖거리 사이의 마당은 78m 범위로 정해진다. 이것은 일조, 통풍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거리이기도 하며 안거리와 밖거리의 거리는 서로 난간에 앉은 채 일상적인 음성으로 가족들 간의 대화가 가능하고 얼굴 표정을 통하여 서로 공감할 수 있는 척도의 범위라고 한다. 마당 폭과 건물 높이의 비는 2:1 정도여서 균형감과 안정감을 주어 쾌적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3. 안뒤
안거리 뒤쪽에 구성된 공간으로, 안거리 뒷벽 한 쪽 끝에서 다른 쪽으로 담을 쌓아서 외부와는 통하지 못하도록 만든 폐쇄적인 공간이다. 이 곳에 출입하려면 반드시 안거리 상방의 뒷문을 이용하거나 정지 뒷문을 이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안뒤를 에워싸는 담은 주위의 울타리보다 높아서 타인에게 비공개되는 공간으로, 그 집의 상징이 될만한 , 동백나무, 감나무, 밀감나무 등을 심어 후원의 역할을 한다. 또한 이곳에는 무속신앙의 대상인 칠성눌이 놓이고, 장항굽 등도 놓인다.
4. 눌굽
눌을 설치하는 자리를 눌굽이라 한다. 탈곡하기 전의 농작물을 단으로 묶어 쌓아 두거나, 탈곡하고 난 짚을 낟가리로 씌워 쌓아 놓은 조영물을 눌이라 하고, 이를 만드는 행위를 \'눌을 눈다\'고 한다. 이 눌을 누는 자리는 안거리와 밖거리의 마당 한 곁으로 우천시 침수를 피하기
추천자료
지방연구의 공간적 차원과 제주사를 통한 제주인의 정체성 모색
제주도 SWOT분석과 제주관광 활성화 방안
각 지방 및 세계의 지역축제에 관한 조사
인천 송도와 아일랜드의 경제자유지역(Free Economic Zone) 비교 및 조사
[관광시설][레저관련숙박시설][리조트시설][서비스시설][제주휴양시설][펜션시설][레스토랑시...
[기술혁신, 기술, 기업환경, 기업혁신]기술혁신과 기업환경, 기술혁신과 기업혁신, 기술혁신...
제주항공 jejuair 마케팅전략분석과 경영분석및 제주항공 성공요인분석 : 경쟁사 비교분석-진...
[관광개발][관광][개발][관광개발 동해북부권][관광개발 제주도]관광개발의 분류, 관광개발의...
제주항공 성공사례- 저가 항공 산업 제주항공,항공산업 제주항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
제주특별자치도 (濟州特別自治道) 제주특별자치도의 하는 일, 관광 추진과 현황, 현황 및 주...
MICE산업의 현황과 특성 & 지역마케팅
[간호학] 가족치료 지역사회 정신간호 개념 역사 현황과 과제
[간호학] 지역사회간호사의 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