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진화의 의미
Ⅲ. 진화론의 시작
Ⅳ. 진화론의 증거
1. 화석기록
2. 비교 해부학적 증거(구조적 유사성)
3. 발생학적 증거
4. 분자 생물학적 증거
Ⅴ. 라마르크의 진화론
1. 첫 번째 실험
2. 두 번째 실험
Ⅵ. 다윈의 진화론
Ⅶ. 이마니시의 진화론
1. 서식역 분할이란
2. 격리설과의 차이
Ⅷ. 결론
참고문헌
Ⅱ. 진화의 의미
Ⅲ. 진화론의 시작
Ⅳ. 진화론의 증거
1. 화석기록
2. 비교 해부학적 증거(구조적 유사성)
3. 발생학적 증거
4. 분자 생물학적 증거
Ⅴ. 라마르크의 진화론
1. 첫 번째 실험
2. 두 번째 실험
Ⅵ. 다윈의 진화론
Ⅶ. 이마니시의 진화론
1. 서식역 분할이란
2. 격리설과의 차이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식역 분할이란 것은 하루살이 유충이 각각 개체로서 서식역을 분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종으로서 분할하고 있는 것이라 하여 그렇게 서식역분할을 하고 있는 종을 종사회하고 불렀다.
2. 격리설과의 차이
서식역 분할의 개념은 19세기 후반 독일 생물학자 바그너의 격리설과 유사하다. 바그너의 격리설이란, 동일종에 속하는 생물이 절대로 넘나들 수 없을 정도의 지형적인 장벽으로 인해 2개 집단으로 분리 되어졌을 때, 새로운 종이 형성된다는 논리이다. 그러나 서식역 분할 개념과 격리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분명히 유사한 2종 사이에는 서로 넘나들 수 없는 무엇인가의 한계가 존재한다고 보는 점에 있어서는 두 개념은 동일하다. 바그너는 이와 같이 유사한 종 사이에는 산이나 바다와 같은 절대로 넘나들 수 없는 장벽이 존재하므로 집단간의 교배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2 개의 종으로 갈라진다고 한다. 그러나 서식역 분할 개념에서 말하는 유사한 종 사이에는 경계는 있다 하더라도, 서로가 함께 서식하고 있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하루살이의 경우와 같이 강물흐름의 속도가 경계를 이룬다 해도 , 2개의 집단은 같은 강에서 생활하고 있으므로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장벽이 존재한다고는 말 할 수 없다. 이런 점이 격리설과의 큰 차이점이다.
잠자리의 일종인 왕잠자리를 예를 들어 보자. 일본에는 왕잠자리와 먹줄왕잠자리라는 유사한 종의 잠자리가 여러 지역에 공존하고 있다. 이 2종 사이의 공존이 어떻게 조절되는가 하면, 양자의 우화(羽化) 시기가 어긋나기 때문이다. 즉 먹줄왕잠자리는 왕잠자리보다 이른 초여름에 우화하므로 양자간에는 절대로 교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것도 일종의 서식역 분할이다. 같은 종에 속하는 2개의 집단간에 무슨 이유로든 간에 번식기가 어긋나면 그것이 계기가 되어 종의 분화가 생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하루살이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존재한다. 우에노하루살이와 에스큐러스하루살이는 가모 강의 중류부와 상류부를 구분하여 서식역으로 삼고 있다. 이 2종의 하루살이는 지역적인 서식역과 동시에 우화시기에 있어서도 계절적으로 서식역을 분할하고 있다. 에스큐러스하루살이는 먹줄왕잠자리처럼 초여름에 우화하는데 우에노하루살이는 왕잠자리같이 나중에 우화한다. 이마니시는 생물세계는 다수의 종사회로 형성되며 각각의 종사회는 지구상에 서식역을 분할하고 있으므로 서로 공존 한다고 한다. 이러한 서식역 분할이 어떻게 해서 형성되어 있는가를 설명하려는 것이 \'이마니시 진화론\' 인 것이다.
Ⅷ. 결론
한 단계를 해결한 듯하면 그 다음 단계가 막히고 또한 해결했다 하더라도 다른 학자들에 의해 반론과 의문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또한 화학적 진화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들은 오파린과 밀러와 폭스의 실험에 문제점을 제기한다. 오파린의 가설에 대해 원시지구는 누가 만들었는가? 원시대기를 형성하는 무기물은 어디에서 왔으며 누가 만들었는가? 등의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고 폭스의 실험에서는 실험 중에 온도가 아주 높아지거나 반응시간이 길면 아미노산은 종합반응보다 분해 파괴되는 역반응이 일어난다는 등의 반론이 제기된다. 이러한 반론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며 이러한 점들로 미루어 보아 생명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끝없이 계속 될 것이며 끊임없이 새로운 난제에 부딪히게 될 것 같다.
참고문헌
박인원(1996), 생명의 기원,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새드릭 그리무, 이병훈·이수지 역(2004), 진화론 300년 탐험, 다른세상
스코트 휴즈, 진화론이 무너지고 있다
조정일 외(1994), 신비한 생물창조 섭리, 국민일보사
한국창조과학회 편, 진화는 과학적 사실인가?
H.모리스, 진화냐 창조냐, 선구자 말씀사
2. 격리설과의 차이
서식역 분할의 개념은 19세기 후반 독일 생물학자 바그너의 격리설과 유사하다. 바그너의 격리설이란, 동일종에 속하는 생물이 절대로 넘나들 수 없을 정도의 지형적인 장벽으로 인해 2개 집단으로 분리 되어졌을 때, 새로운 종이 형성된다는 논리이다. 그러나 서식역 분할 개념과 격리설 사이에는 큰 차이가 있다. 분명히 유사한 2종 사이에는 서로 넘나들 수 없는 무엇인가의 한계가 존재한다고 보는 점에 있어서는 두 개념은 동일하다. 바그너는 이와 같이 유사한 종 사이에는 산이나 바다와 같은 절대로 넘나들 수 없는 장벽이 존재하므로 집단간의 교배가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에 2 개의 종으로 갈라진다고 한다. 그러나 서식역 분할 개념에서 말하는 유사한 종 사이에는 경계는 있다 하더라도, 서로가 함께 서식하고 있다고 보아도 좋을 것이다. 하루살이의 경우와 같이 강물흐름의 속도가 경계를 이룬다 해도 , 2개의 집단은 같은 강에서 생활하고 있으므로 절대로 넘을 수 없는 장벽이 존재한다고는 말 할 수 없다. 이런 점이 격리설과의 큰 차이점이다.
잠자리의 일종인 왕잠자리를 예를 들어 보자. 일본에는 왕잠자리와 먹줄왕잠자리라는 유사한 종의 잠자리가 여러 지역에 공존하고 있다. 이 2종 사이의 공존이 어떻게 조절되는가 하면, 양자의 우화(羽化) 시기가 어긋나기 때문이다. 즉 먹줄왕잠자리는 왕잠자리보다 이른 초여름에 우화하므로 양자간에는 절대로 교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것도 일종의 서식역 분할이다. 같은 종에 속하는 2개의 집단간에 무슨 이유로든 간에 번식기가 어긋나면 그것이 계기가 되어 종의 분화가 생길 수도 있을 것이다.
하루살이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존재한다. 우에노하루살이와 에스큐러스하루살이는 가모 강의 중류부와 상류부를 구분하여 서식역으로 삼고 있다. 이 2종의 하루살이는 지역적인 서식역과 동시에 우화시기에 있어서도 계절적으로 서식역을 분할하고 있다. 에스큐러스하루살이는 먹줄왕잠자리처럼 초여름에 우화하는데 우에노하루살이는 왕잠자리같이 나중에 우화한다. 이마니시는 생물세계는 다수의 종사회로 형성되며 각각의 종사회는 지구상에 서식역을 분할하고 있으므로 서로 공존 한다고 한다. 이러한 서식역 분할이 어떻게 해서 형성되어 있는가를 설명하려는 것이 \'이마니시 진화론\' 인 것이다.
Ⅷ. 결론
한 단계를 해결한 듯하면 그 다음 단계가 막히고 또한 해결했다 하더라도 다른 학자들에 의해 반론과 의문이 제기되기 때문이다. 또한 화학적 진화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들은 오파린과 밀러와 폭스의 실험에 문제점을 제기한다. 오파린의 가설에 대해 원시지구는 누가 만들었는가? 원시대기를 형성하는 무기물은 어디에서 왔으며 누가 만들었는가? 등의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고 폭스의 실험에서는 실험 중에 온도가 아주 높아지거나 반응시간이 길면 아미노산은 종합반응보다 분해 파괴되는 역반응이 일어난다는 등의 반론이 제기된다. 이러한 반론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것이며 이러한 점들로 미루어 보아 생명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끝없이 계속 될 것이며 끊임없이 새로운 난제에 부딪히게 될 것 같다.
참고문헌
박인원(1996), 생명의 기원,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새드릭 그리무, 이병훈·이수지 역(2004), 진화론 300년 탐험, 다른세상
스코트 휴즈, 진화론이 무너지고 있다
조정일 외(1994), 신비한 생물창조 섭리, 국민일보사
한국창조과학회 편, 진화는 과학적 사실인가?
H.모리스, 진화냐 창조냐, 선구자 말씀사
추천자료
신고전파 합리성 비판 : 진화론적 제도이론의 관점에서
진화론적 자유주의와 자생적 시장 사회의 유토피아
진화론 부정의 근거
창조론과 진화론
진화론적 합리주의와 구성주의적 합리주의에 관하여
[독후감, 비평문] 진화론자 스티븐 제이 굴드 풀하우스 평가문, 독후감
한국근현대 경제의 전개과정에서 사회진화론적 발전원리를 비판적 고찰
진화론적 경제학에서의 기술혁신이론) 신슘페터주의의 접근방법
2강_ 행동의 생물학적, 진화론적 바탕(3장)
이기적 유전자와 진화론
[화석][창조론][진화론][해양생물][공룡화석][진주층]화석의 중요성, 화석의 종류, 화석과 창...
[독후감] 웹 진화론1 _ 우메다 모치오(梅田望夫) 저
스토리텔링 진화론
테마도시의 7단계 진화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