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학-화폐금융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목국민소득이 변한다는 것이다.
② 현금잔고방정식(A.Marshall)
- 소득의 수입시점과 지출시점이 일치하지 않고 채권의 매매에는 비용이 따르므로 사람들은 금융자산을 모두 채권으로 보유하지 않고 일부를 현금으로 보유한다.
MD(현금잔고) = kPY 또는 = kY
⇒ 실질통화수요(MD/P)는 실질소득(Y)의 일정비율(k)로 결정된다.
- 마샬의 k
k = , 명목국민소득 1원을 거래시키는 데 필요한 통화량 또는
명목국민소득 가운데 통화의 잔고로 보유하고자 하는 비율, 거래관습에 의해 결정(일정)
2) 케인스의 유동성선호설
- 사람들은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동성이 가장 큰 화폐를 수요한다.
*유동성 : 자산이 가치의 손실 없이 얼마나 빨리 교환의 매개수단으로 교환될 수 있는가 하는 정도
거래적 화폐수요 : 일상의 거래를 위하여 어느 정도의 화폐를 보유하고자 하는 것 (소득의 증가함수)
예비적 화폐수요 : 장래에 돌발적으로 일어날지 모르는 지출을 위하여
어느정도의 화폐를 예비적으로 보유하고자 하는 것 (소득의 증가함수)
투기적 화폐수요 : 기회를 보아 채권을 살 목적으로 화폐를 보유하는 것 (이자율의 감소함수)
활성잔고 : 사람들이 일상생활에 필요하기 때문에 보유하는 화폐
(즉 거래적 용도와 예비적용도에 필요한 화폐)
유휴잔고 : 활성잔고 이외에 더 보유하고 있는 화폐
유동성함정 : 이자율이 최저수준인 r1일 때는 유휴자금의 증가분이 모두 투기적 화폐수요로 흡수되어, 투기적화폐수요가 이자율에 대하여 무한탄력적이 된다. 이 구간을 ‘유동성함정’이라 한다.
- 화폐수요함수(거래적예비적투기적 화폐수요의 합, 소득의 증가함수이자 이자율의 감소함수)
MD(명목화폐잔고수요) = P L (Y, r) 또는 = L (Y , r)
= 물가 × 실질화폐잔고수요
3)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
-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의 유통속도가 일정하다는 가정을 완화하여 이론전개 → 신화폐수량설
- 사람들이 화폐를 수요할 때 명목화폐가 아니라 실질화폐를 수요한다고 보고, 화폐를 일종의 상품이나 자산으로 본다. 화폐가 하나의 상품이기 때문에 화폐에 대한 수요는 다른 일반상품에 대한 수요와 마찬가지로 전통적 미시경제이론인 소비자의 효용극대화원리와 생산자의 이윤극대화원리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k = k(rb, re, π) (rb=채권의 예상수익률, re=주식의 예상수익률, π=예상물가상승률)
= kY = k(rb, re, π) Y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05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