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목국민소득이 변한다는 것이다.
② 현금잔고방정식(A.Marshall)
- 소득의 수입시점과 지출시점이 일치하지 않고 채권의 매매에는 비용이 따르므로 사람들은 금융자산을 모두 채권으로 보유하지 않고 일부를 현금으로 보유한다.
MD(현금잔고) = kPY 또는 = kY
⇒ 실질통화수요(MD/P)는 실질소득(Y)의 일정비율(k)로 결정된다.
- 마샬의 k
k = , 명목국민소득 1원을 거래시키는 데 필요한 통화량 또는
명목국민소득 가운데 통화의 잔고로 보유하고자 하는 비율, 거래관습에 의해 결정(일정)
2) 케인스의 유동성선호설
- 사람들은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동성이 가장 큰 화폐를 수요한다.
*유동성 : 자산이 가치의 손실 없이 얼마나 빨리 교환의 매개수단으로 교환될 수 있는가 하는 정도
거래적 화폐수요 : 일상의 거래를 위하여 어느 정도의 화폐를 보유하고자 하는 것 (소득의 증가함수)
예비적 화폐수요 : 장래에 돌발적으로 일어날지 모르는 지출을 위하여
어느정도의 화폐를 예비적으로 보유하고자 하는 것 (소득의 증가함수)
투기적 화폐수요 : 기회를 보아 채권을 살 목적으로 화폐를 보유하는 것 (이자율의 감소함수)
활성잔고 : 사람들이 일상생활에 필요하기 때문에 보유하는 화폐
(즉 거래적 용도와 예비적용도에 필요한 화폐)
유휴잔고 : 활성잔고 이외에 더 보유하고 있는 화폐
유동성함정 : 이자율이 최저수준인 r1일 때는 유휴자금의 증가분이 모두 투기적 화폐수요로 흡수되어, 투기적화폐수요가 이자율에 대하여 무한탄력적이 된다. 이 구간을 ‘유동성함정’이라 한다.
- 화폐수요함수(거래적예비적투기적 화폐수요의 합, 소득의 증가함수이자 이자율의 감소함수)
MD(명목화폐잔고수요) = P L (Y, r) 또는 = L (Y , r)
= 물가 × 실질화폐잔고수요
3)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
-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의 유통속도가 일정하다는 가정을 완화하여 이론전개 → 신화폐수량설
- 사람들이 화폐를 수요할 때 명목화폐가 아니라 실질화폐를 수요한다고 보고, 화폐를 일종의 상품이나 자산으로 본다. 화폐가 하나의 상품이기 때문에 화폐에 대한 수요는 다른 일반상품에 대한 수요와 마찬가지로 전통적 미시경제이론인 소비자의 효용극대화원리와 생산자의 이윤극대화원리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k = k(rb, re, π) (rb=채권의 예상수익률, re=주식의 예상수익률, π=예상물가상승률)
= kY = k(rb, re, π) Y
② 현금잔고방정식(A.Marshall)
- 소득의 수입시점과 지출시점이 일치하지 않고 채권의 매매에는 비용이 따르므로 사람들은 금융자산을 모두 채권으로 보유하지 않고 일부를 현금으로 보유한다.
MD(현금잔고) = kPY 또는 = kY
⇒ 실질통화수요(MD/P)는 실질소득(Y)의 일정비율(k)로 결정된다.
- 마샬의 k
k = , 명목국민소득 1원을 거래시키는 데 필요한 통화량 또는
명목국민소득 가운데 통화의 잔고로 보유하고자 하는 비율, 거래관습에 의해 결정(일정)
2) 케인스의 유동성선호설
- 사람들은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유동성이 가장 큰 화폐를 수요한다.
*유동성 : 자산이 가치의 손실 없이 얼마나 빨리 교환의 매개수단으로 교환될 수 있는가 하는 정도
거래적 화폐수요 : 일상의 거래를 위하여 어느 정도의 화폐를 보유하고자 하는 것 (소득의 증가함수)
예비적 화폐수요 : 장래에 돌발적으로 일어날지 모르는 지출을 위하여
어느정도의 화폐를 예비적으로 보유하고자 하는 것 (소득의 증가함수)
투기적 화폐수요 : 기회를 보아 채권을 살 목적으로 화폐를 보유하는 것 (이자율의 감소함수)
활성잔고 : 사람들이 일상생활에 필요하기 때문에 보유하는 화폐
(즉 거래적 용도와 예비적용도에 필요한 화폐)
유휴잔고 : 활성잔고 이외에 더 보유하고 있는 화폐
유동성함정 : 이자율이 최저수준인 r1일 때는 유휴자금의 증가분이 모두 투기적 화폐수요로 흡수되어, 투기적화폐수요가 이자율에 대하여 무한탄력적이 된다. 이 구간을 ‘유동성함정’이라 한다.
- 화폐수요함수(거래적예비적투기적 화폐수요의 합, 소득의 증가함수이자 이자율의 감소함수)
MD(명목화폐잔고수요) = P L (Y, r) 또는 = L (Y , r)
= 물가 × 실질화폐잔고수요
3) 프리드만의 신화폐수량설
- 고전학파의 화폐수량설의 유통속도가 일정하다는 가정을 완화하여 이론전개 → 신화폐수량설
- 사람들이 화폐를 수요할 때 명목화폐가 아니라 실질화폐를 수요한다고 보고, 화폐를 일종의 상품이나 자산으로 본다. 화폐가 하나의 상품이기 때문에 화폐에 대한 수요는 다른 일반상품에 대한 수요와 마찬가지로 전통적 미시경제이론인 소비자의 효용극대화원리와 생산자의 이윤극대화원리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본다.
k = k(rb, re, π) (rb=채권의 예상수익률, re=주식의 예상수익률, π=예상물가상승률)
= kY = k(rb, re, π) Y
추천자료
IT(정보기술)혁신이 지급결제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소개와 이에 따른 전자화폐의 특징에...
[전자금융][모바일금융][전자금융서비스][전자금융시스템]전자금융의 정의, 전자금융의 발전,...
[금융][금융규제][금융규제완화][금융규제정책]금융규제의 필요성, 금융규제의 유형, 금융규...
[전자금융][금융][금융서비스][금융제도][정보통신기술][전자금융 발달]전자금융의 발달배경,...
[전자금융]전자금융(전자금융시스템)의 정의, 전자금융(전자금융시스템)의 발전배경과 발전과...
[금융기관][금융기관의 지식경영 사례][다기간모형]금융기관의 개념, 금융기관의 종류, 금융...
[금융기관][금융정책][금리][지식경영]금융기관의 유형, 금융기관의 주요업무, 금융기관의 현...
금융시장의 존재이유와 금융제도의 구조상 직접금융과 간접금융의 차이
금융서비스와 금융중개서비스, 국경간 금융서비스, 금융서비스와 종합금융서비스, 전자금융서...
[금융국제화(금융세계화, 글로벌금융)]금융국제화(금융세계화, 글로벌금융)의 영향, 쟁점, 금...
[금융][금융실명제]금융과 금융제도, 금융소득종합과세제도, 금융과 금융규제, 금융안전망, ...
IMF금융위기(IMF경제위기, IMF외환위기) 이후 시민의식 성과, 경제성장 성과, IMF금융위기(IM...
[e-비즈니스] 1) 암호화 알고리즘 중 PKI라고 불리는 공개키 방식 알고리즘 2) 암호화 화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