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기계 공작법의 개요
1. 기계 공작과 공작 기계
2. 공작 기계의 구성
Ⅱ . 기계 재료
1. 기계 재료의 개요
2. 철강 재료
3. 비철 금속 재료
4. 비금속 재료
Ⅲ . 절삭 가공
1. 절삭 이론
2. 선반에 의한 가공
3. 밀링 머신에 의한 가공
4. 드릴링 및 보링 머신에 의한 가공
Ⅵ . 그 밖의 절삭 가공
1. 셰이퍼 및 플레이너에 의한 가공
2. 기어 절삭기에 의한 가공
Ⅴ . 연삭 가공
1. 연삭기
2. 숫돌바퀴
3. 연삭 작업
Ⅵ . 정밀 입자 가공 및 특수 가공
1. 정밀 입자 가공
2. 특수 가공
Ⅶ . 수치 제어 가공
1. 기계 가공의 자동화
2. 수치 제어 장치
3. 프로그래밍
Ⅷ . 검사와 측정
1. 제품 검사
2. 부품 측정
1. 기계 공작과 공작 기계
2. 공작 기계의 구성
Ⅱ . 기계 재료
1. 기계 재료의 개요
2. 철강 재료
3. 비철 금속 재료
4. 비금속 재료
Ⅲ . 절삭 가공
1. 절삭 이론
2. 선반에 의한 가공
3. 밀링 머신에 의한 가공
4. 드릴링 및 보링 머신에 의한 가공
Ⅵ . 그 밖의 절삭 가공
1. 셰이퍼 및 플레이너에 의한 가공
2. 기어 절삭기에 의한 가공
Ⅴ . 연삭 가공
1. 연삭기
2. 숫돌바퀴
3. 연삭 작업
Ⅵ . 정밀 입자 가공 및 특수 가공
1. 정밀 입자 가공
2. 특수 가공
Ⅶ . 수치 제어 가공
1. 기계 가공의 자동화
2. 수치 제어 장치
3. 프로그래밍
Ⅷ . 검사와 측정
1. 제품 검사
2. 부품 측정
본문내용
m/min)
3). 위치조정(능률적인 작업을 위해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공구과 일감 사의
거리나 공구가 대기하고 있는 위치를 조정)
- 기계의 운동 중심과 가공 위치 사이의 거리 조정
- 이송을 시작하는 위치와 끝점의 위치조정
- 절삭 깊이와 이송 위치의 조정
절삭 가공의 형태
③ 열단형 chip
- 균열과 전단의 두 작용에 의하여 발생
- chip이 경사면에 점착하여 slip이 생기지 않고 공구 전방 균열이 발생하여
chip 생성
- 절삭저항이 크고 가공면 요철 , 정밀도 불향
- 가공면 잔류응력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가공 면 변형
- 순철, 순aluminium , 순동 등 연성이 매우 큰 재료
- 경사면의 마찰이 심하여 chip이 응착하기 쉬운 조건
④ 균형형 chip
- 전단면에서 전단에 의한 slip 보다는 취성파괴 현상
- 균열의 흔적으로 가공면이 거칠다.
- 보통 주철 등의 절삭에서 발생
조건
경사각
대
소
절삭속도
대
소
절삭깊이
소
대
공구면 마찰
소
대
chip의 형태
연속형
전단형
열단형
결과
가공면 거칠기
양호
불량
절삭저항 변동
소
대
구성인선(構成刃先; built-up edge)
① 재료를 절삭할 때 chip의 일부가 절삭날에 작용하는 압력, 마찰저항 및 절삭열에 의하여 날 끝에 매 단단하게 부착된 것
② 주기적(1/10~1/200sec)으로 발생, 성장, 분열,탈락 등의 과정을 반복하며 날의 형상을
변화시켜 진동(chatter)과 표면거칠기 불량의 원인
③ 연성이 큰 연강, 알루미늄 등의 절삭에서 발생
④ 공구면 보호, 마찰력 감소 등의 효과도 있음
⑤ 구성인선의 발생 및 크기를 억제하는 방법
- 경사각을 크게 한다
- 절삭속도를 크게 한다
- chip과 공구경사면간의 마찰을 적게한다.
- 절삭깊이(chip 두께)를 작게한다.
절삭 가공 시 칩의 온도 분포 및 칩의 색깔
5. 절삭공구의 재료
1) 절삭공구재료에 필요한 성질
- 고온 경도 : 절삭작업이 고온에서 이루어 짐
- 인성 : 밀링등과 같은 단속절삭시 충격력이 발생
- 내마멸성
- 화학적안정성 또는 불활성
2) 공구강의 종류
① 탄소공구강 및 합금공구강
- 탄소강은 drill, tap, broach, reamer 등의 공구에 주로 사용
- 저합금강, 중합금강은 탄소공구강과 비슷한 용도이나 수명이 길다.
- 가격 저렴, 성형성 양호, 고속절삭에서는 고온경도와 내마멸성 등이 부족:
저속절삭에 사용
② 고속도강
- 1900년도 초반에 고속절삭작업용으로 개발
- 열처리성, 내마멸성이 우수, 인성이 크고 가격도 비교적 저렴
- M(molybdenuum) 계열 : Mo 약 10% 정도 함유
T계열보다 연삭마멸에 대한 저항성 대, 열처리
변형 소, 가격이 저렴
- T(tungsten) 계열 : 12~18% WC 함유
③ 초경합금
- 주로 분말야금에 의해 제조
- WC (tungsten carbide)계열과 TiC(titanium carbide)계열이 있음
- WC : 경한 텅스텐카바이드 입자들은 코발트분말을 결합제로 사용하여 함께
소결한 것
코발트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 경도, 내마멸성은 감소, 인성은 증가
- TiC : TiC입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니켈-몰리브덴 합금을 기지재로 포함
- WC 보다 내마멸성이 크나 인성은 작음편
④ 세라믹 공구
- 주성분은 Al2O3, 미세분말을 압축 성형, 고온에서 소결
- 고온경도 및 연삭마멸에 의한 저항성이 매우 큰 편
- 고온에서 화학적으로 안정 ⇒ 부착성 저 ⇒ 구성인선 발생이 작다
- 취성이 있는 문제점
⑤ CBN(Cubic Boron Nitride, 입방정질화붕소)
- 다이아몬드 공구 다음으로 경한 재료. 1962년에 처음 개발
- 초경합금 모재에 0.5 - 1.0mm 의 다결정 CBN을 가압 소결하여 접합시킨 것
⑥ 다이아몬드 공구
- 최고의 경도
- 우수한 표면정도와 치수 정확도
- 경면가공, 연성 비철합금, 고연마성 재료 가공
- 탄소강에서 부적합
3) 절삭공구의 구비 조건
① 고온경도가 클 것( 피삭쟈의 4~5배)
② 인성이 클 것
③ 마찰계수가 작을 것
④ 내용착성이 클 것
⑤ 내산화성 및 내확산성 등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클 것
⑥ 가격이 저렴하고 구입이 용이할 것
6. 공구의 마멸
1) 원인
① 절삭속도의 과돠
② 공구향상의 부적합
③ 절삭온도의 상승
④ 공작기계의 진동
2) 마멸의 형태
① flank 마모 : 공구측면(여유면)의 마멸 , 마모량은 flank 마모쪽으로 표시
② crater 마모: 경화된 chip이 공구면을 유동할 때 마찰에 의하여 오목하게
패이는 마멸 형태, crater의 최대깊이로 표시
③ chipping : 초경 및 세라믹 공구의 끝이 밀링가공 등에서 충격에 의하여
미세하게 탈락되는 것
▶ Flank wear : 가공면과 미끄럼 운동
▶Creator wear : chip 과 마찰
▶Chipping : 절삭날의 일부가 깨져 나가는 현상
기계적 충격, 열적 피로 현상
V : 절삭 속도 :
T: 절삭 온도
7. 절삭성(machinability)
1) 경제성, 생산성과 연관된 절삭작업의 난이도
2) 평가기준
- 가공품의 표면정도 및 표면 완전성
- 공구수명
- 절삭력의 크기 및 소요동력
- 기타 chip처리 용이성(chip 말림), 절삭온도, 속도 등
3) 절삭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공작물 재질
- 공구 재질 및 형상
- 절삭조건 ( 속도, 이송, 깊이)
- 냉각 및 윤활 ( 절삭유제 )
- 공작기계 강성
4) 각종재료의 절삭성
① 강 : C함유량이 증가하면 절삭성 저하
- 저탄소강 (C 0.15%이하) : 구성인선으로 표면 불량
- Ni, Cr, Mo, V 함유: 절삭성 저하
- 쾌삭강 : Pb, S 첨가로 절삭성 향상
- 스테인레스강 : 절삭성 나쁨
② 주철 : 공구마멸 심함, 경한 공구로 절삭가능
③ 알루미늄 : 절삭성 우수, 연하면 구성인선 발생
④ 구리, 마그네슘 : 절삭성 우수
⑤ 텅스텐, 티타늄 : 절삭성 불량
⑥ 플라스틱: 취성 크며 절삭열에 의한 온도구배에 민감
⑦ 복합재료: fiber 때문에 절삭성 불량
8. 절삭 가공에서의 회전 운동과 직선운동
-
9. 절삭이론 과 생산성
3). 위치조정(능률적인 작업을 위해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공구과 일감 사의
거리나 공구가 대기하고 있는 위치를 조정)
- 기계의 운동 중심과 가공 위치 사이의 거리 조정
- 이송을 시작하는 위치와 끝점의 위치조정
- 절삭 깊이와 이송 위치의 조정
절삭 가공의 형태
③ 열단형 chip
- 균열과 전단의 두 작용에 의하여 발생
- chip이 경사면에 점착하여 slip이 생기지 않고 공구 전방 균열이 발생하여
chip 생성
- 절삭저항이 크고 가공면 요철 , 정밀도 불향
- 가공면 잔류응력으로 시간 경과에 따라 가공 면 변형
- 순철, 순aluminium , 순동 등 연성이 매우 큰 재료
- 경사면의 마찰이 심하여 chip이 응착하기 쉬운 조건
④ 균형형 chip
- 전단면에서 전단에 의한 slip 보다는 취성파괴 현상
- 균열의 흔적으로 가공면이 거칠다.
- 보통 주철 등의 절삭에서 발생
조건
경사각
대
소
절삭속도
대
소
절삭깊이
소
대
공구면 마찰
소
대
chip의 형태
연속형
전단형
열단형
결과
가공면 거칠기
양호
불량
절삭저항 변동
소
대
구성인선(構成刃先; built-up edge)
① 재료를 절삭할 때 chip의 일부가 절삭날에 작용하는 압력, 마찰저항 및 절삭열에 의하여 날 끝에 매 단단하게 부착된 것
② 주기적(1/10~1/200sec)으로 발생, 성장, 분열,탈락 등의 과정을 반복하며 날의 형상을
변화시켜 진동(chatter)과 표면거칠기 불량의 원인
③ 연성이 큰 연강, 알루미늄 등의 절삭에서 발생
④ 공구면 보호, 마찰력 감소 등의 효과도 있음
⑤ 구성인선의 발생 및 크기를 억제하는 방법
- 경사각을 크게 한다
- 절삭속도를 크게 한다
- chip과 공구경사면간의 마찰을 적게한다.
- 절삭깊이(chip 두께)를 작게한다.
절삭 가공 시 칩의 온도 분포 및 칩의 색깔
5. 절삭공구의 재료
1) 절삭공구재료에 필요한 성질
- 고온 경도 : 절삭작업이 고온에서 이루어 짐
- 인성 : 밀링등과 같은 단속절삭시 충격력이 발생
- 내마멸성
- 화학적안정성 또는 불활성
2) 공구강의 종류
① 탄소공구강 및 합금공구강
- 탄소강은 drill, tap, broach, reamer 등의 공구에 주로 사용
- 저합금강, 중합금강은 탄소공구강과 비슷한 용도이나 수명이 길다.
- 가격 저렴, 성형성 양호, 고속절삭에서는 고온경도와 내마멸성 등이 부족:
저속절삭에 사용
② 고속도강
- 1900년도 초반에 고속절삭작업용으로 개발
- 열처리성, 내마멸성이 우수, 인성이 크고 가격도 비교적 저렴
- M(molybdenuum) 계열 : Mo 약 10% 정도 함유
T계열보다 연삭마멸에 대한 저항성 대, 열처리
변형 소, 가격이 저렴
- T(tungsten) 계열 : 12~18% WC 함유
③ 초경합금
- 주로 분말야금에 의해 제조
- WC (tungsten carbide)계열과 TiC(titanium carbide)계열이 있음
- WC : 경한 텅스텐카바이드 입자들은 코발트분말을 결합제로 사용하여 함께
소결한 것
코발트함유량이 증가할수록 강도, 경도, 내마멸성은 감소, 인성은 증가
- TiC : TiC입자를 주성분으로 하고 니켈-몰리브덴 합금을 기지재로 포함
- WC 보다 내마멸성이 크나 인성은 작음편
④ 세라믹 공구
- 주성분은 Al2O3, 미세분말을 압축 성형, 고온에서 소결
- 고온경도 및 연삭마멸에 의한 저항성이 매우 큰 편
- 고온에서 화학적으로 안정 ⇒ 부착성 저 ⇒ 구성인선 발생이 작다
- 취성이 있는 문제점
⑤ CBN(Cubic Boron Nitride, 입방정질화붕소)
- 다이아몬드 공구 다음으로 경한 재료. 1962년에 처음 개발
- 초경합금 모재에 0.5 - 1.0mm 의 다결정 CBN을 가압 소결하여 접합시킨 것
⑥ 다이아몬드 공구
- 최고의 경도
- 우수한 표면정도와 치수 정확도
- 경면가공, 연성 비철합금, 고연마성 재료 가공
- 탄소강에서 부적합
3) 절삭공구의 구비 조건
① 고온경도가 클 것( 피삭쟈의 4~5배)
② 인성이 클 것
③ 마찰계수가 작을 것
④ 내용착성이 클 것
⑤ 내산화성 및 내확산성 등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클 것
⑥ 가격이 저렴하고 구입이 용이할 것
6. 공구의 마멸
1) 원인
① 절삭속도의 과돠
② 공구향상의 부적합
③ 절삭온도의 상승
④ 공작기계의 진동
2) 마멸의 형태
① flank 마모 : 공구측면(여유면)의 마멸 , 마모량은 flank 마모쪽으로 표시
② crater 마모: 경화된 chip이 공구면을 유동할 때 마찰에 의하여 오목하게
패이는 마멸 형태, crater의 최대깊이로 표시
③ chipping : 초경 및 세라믹 공구의 끝이 밀링가공 등에서 충격에 의하여
미세하게 탈락되는 것
▶ Flank wear : 가공면과 미끄럼 운동
▶Creator wear : chip 과 마찰
▶Chipping : 절삭날의 일부가 깨져 나가는 현상
기계적 충격, 열적 피로 현상
V : 절삭 속도 :
T: 절삭 온도
7. 절삭성(machinability)
1) 경제성, 생산성과 연관된 절삭작업의 난이도
2) 평가기준
- 가공품의 표면정도 및 표면 완전성
- 공구수명
- 절삭력의 크기 및 소요동력
- 기타 chip처리 용이성(chip 말림), 절삭온도, 속도 등
3) 절삭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공작물 재질
- 공구 재질 및 형상
- 절삭조건 ( 속도, 이송, 깊이)
- 냉각 및 윤활 ( 절삭유제 )
- 공작기계 강성
4) 각종재료의 절삭성
① 강 : C함유량이 증가하면 절삭성 저하
- 저탄소강 (C 0.15%이하) : 구성인선으로 표면 불량
- Ni, Cr, Mo, V 함유: 절삭성 저하
- 쾌삭강 : Pb, S 첨가로 절삭성 향상
- 스테인레스강 : 절삭성 나쁨
② 주철 : 공구마멸 심함, 경한 공구로 절삭가능
③ 알루미늄 : 절삭성 우수, 연하면 구성인선 발생
④ 구리, 마그네슘 : 절삭성 우수
⑤ 텅스텐, 티타늄 : 절삭성 불량
⑥ 플라스틱: 취성 크며 절삭열에 의한 온도구배에 민감
⑦ 복합재료: fiber 때문에 절삭성 불량
8. 절삭 가공에서의 회전 운동과 직선운동
-
9. 절삭이론 과 생산성
추천자료
선반 절삭율 공식
기계공학실험1
기계공학실험3
세미나레포트-기계공학의현재와미래
절삭 연삭의 종류와 특징 그리고 비구면렌즈의 원리및 계산식
절삭과 연삭의 요약정리, 응용사례
기계가공의 종류
Parameter와 실제 현상 LD Scan Speed 비교 공작물과 CAD데이터와의 오차 분석 RP에 대한 전...
절삭가공의 구조 종류
[공학][교육공학][전자공학][기계공학][소프트웨어공학][환경공학][금융공학][인간공학][생명...
[발명공작활동, 발상기법]발명공작활동의 의의, 발명공작활동의 필요성, 발명공작활동의 발상...
기계공학 실험 - 성형해석과 성형실험, 다른 하중하의 성형해석 비교 실험
기계공학 실험 - 온도 측정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기계시스템운동의 가시화 & 기초진동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