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옥상녹화란?
2. 옥상녹화의 효과
가. 생태적 효과
나. 경제적 효과
다. 사회적 효과
3. 옥상 녹화 시스템
가. 빙수층
나. 방근층
다. 배수층
라. 토양 여과층
4. 옥상녹화의 유형
- 저관리 경량형, 혼합 관리형, 관리 중량형
5. 성공 사례
6. 옥상녹화의 문제점?
7. 옥상녹화가 필요해
참고 자료
2. 옥상녹화의 효과
가. 생태적 효과
나. 경제적 효과
다. 사회적 효과
3. 옥상 녹화 시스템
가. 빙수층
나. 방근층
다. 배수층
라. 토양 여과층
4. 옥상녹화의 유형
- 저관리 경량형, 혼합 관리형, 관리 중량형
5. 성공 사례
6. 옥상녹화의 문제점?
7. 옥상녹화가 필요해
참고 자료
본문내용
들 정도로 많다. 선진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각종 관공서나 공공기관들을 비롯해, 빌딩이나 개인 주택까지, 관심 있는 사람들에 의해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 중에서 대표 사례 한 가지를 소개한다.
현황
위치 : 중구 장충2가
면적 : 1012m²
조성 : 2005년
식재 : 소나무 등 20종, 초화류 22종
시설물 : 생태연못, 분수시설, 목재테크, 등
이용현황 : 자연학습 및 휴게 공간
특징
생활권 녹지가 부족한 주택가 밀집지역에 조성하여 이용률이 높음
옥상녹화 홍보를 위해 옥상 진입계단 및 엘리베이터 등에 안내문 부탁
어린이들의 자연체험학습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생태연못 조성
다양한 초화류 식재
옥상녹화의 문제점?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옥상녹화는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게다가 아직까지는 옥상녹화 자체가 갖는 특별한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다만 옥상녹화를 위한 토양과 나무, 식물들로 인한 하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건물에 따른 설치가 제약적일 수 있고 자칫 무리한 시공을 하다가는 건물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또한 시공상의 문제라고도 할 수 있지만, 종종 누수로 인해 건물 이용자들이 피해를 겪기도 하며, 겨울철에는 나무나 꽃, 풀 등의 식물들이 시들거나 떨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미관상 좋지 못하다는 의견이 있다.
옥상녹화가 필요해
날로 심각해지는 대기오염 및 열섬현상과 같은 환경 문제로 인해 도시 환경이 위협받고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이용확대와 청정에너지의 사용, 각종 정화장치를 비롯한 많은 노력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숲과 나무를 가꾸는 것과 같은 녹지 조성만큼 효율적이며 근본적인 대책도 없을 것이다. (물론 지나친 인구과잉과 과도한 오염물질의 배출이 가장 근원적인 문제이긴 하지만)
이에 따라 계속해서 녹지 조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는 있지만, 발 붙히고 살 땅조차도 턱 없이 부족한 마당에 도심지역에 무턱대고 공원 조성 등을 추진할 수도 없는 판국이다. 따라서 환경 문제의 해결과 부족한 토지 공간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토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써 옥상 녹화를 제안한다. 어찌 보면 절박한 현실 상, 제안이나 선택이 아닌 필수로써 권장되어야 할지도 모른다. 실제로 서울에는 평면 지붕을 비롯해 옥상녹화가 가능한 면적이 무려 253km²에 달한다고 한다. 이는 전체 도시옥상 면적의 70%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최소 200km²의 녹지 면적이 조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00km²에 달하는 녹지조성을 통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에는 앞에서 굳이 지적했던 몇몇 단점들을 개발한 다양한 시공법과 저렴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건조한 기후에도 저항력이 높고 저렴한 가격과 함께 계절별로 다양한 색체를 띠는 세덤(Sedum, 돌나물과)류도 풍부하게 제공된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개발과 이용을 통해 일상의 조그만한 면적, 자그마한 틈이라도 녹화시키려는 노력은 인류가 직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작은 발걸음이 아닐까 생각한다.
현황
위치 : 중구 장충2가
면적 : 1012m²
조성 : 2005년
식재 : 소나무 등 20종, 초화류 22종
시설물 : 생태연못, 분수시설, 목재테크, 등
이용현황 : 자연학습 및 휴게 공간
특징
생활권 녹지가 부족한 주택가 밀집지역에 조성하여 이용률이 높음
옥상녹화 홍보를 위해 옥상 진입계단 및 엘리베이터 등에 안내문 부탁
어린이들의 자연체험학습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생태연못 조성
다양한 초화류 식재
옥상녹화의 문제점?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옥상녹화는 많은 장점을 갖고 있다. 게다가 아직까지는 옥상녹화 자체가 갖는 특별한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고 있다. 다만 옥상녹화를 위한 토양과 나무, 식물들로 인한 하중이 상당하기 때문에, 건물에 따른 설치가 제약적일 수 있고 자칫 무리한 시공을 하다가는 건물에 부담을 줄 수 있다. 또한 시공상의 문제라고도 할 수 있지만, 종종 누수로 인해 건물 이용자들이 피해를 겪기도 하며, 겨울철에는 나무나 꽃, 풀 등의 식물들이 시들거나 떨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미관상 좋지 못하다는 의견이 있다.
옥상녹화가 필요해
날로 심각해지는 대기오염 및 열섬현상과 같은 환경 문제로 인해 도시 환경이 위협받고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이용확대와 청정에너지의 사용, 각종 정화장치를 비롯한 많은 노력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숲과 나무를 가꾸는 것과 같은 녹지 조성만큼 효율적이며 근본적인 대책도 없을 것이다. (물론 지나친 인구과잉과 과도한 오염물질의 배출이 가장 근원적인 문제이긴 하지만)
이에 따라 계속해서 녹지 조성의 필요성이 제기되고는 있지만, 발 붙히고 살 땅조차도 턱 없이 부족한 마당에 도심지역에 무턱대고 공원 조성 등을 추진할 수도 없는 판국이다. 따라서 환경 문제의 해결과 부족한 토지 공간 확보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토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한 대안으로써 옥상 녹화를 제안한다. 어찌 보면 절박한 현실 상, 제안이나 선택이 아닌 필수로써 권장되어야 할지도 모른다. 실제로 서울에는 평면 지붕을 비롯해 옥상녹화가 가능한 면적이 무려 253km²에 달한다고 한다. 이는 전체 도시옥상 면적의 70%에 해당하는 면적으로 최소 200km²의 녹지 면적이 조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200km²에 달하는 녹지조성을 통해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에는 앞에서 굳이 지적했던 몇몇 단점들을 개발한 다양한 시공법과 저렴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건조한 기후에도 저항력이 높고 저렴한 가격과 함께 계절별로 다양한 색체를 띠는 세덤(Sedum, 돌나물과)류도 풍부하게 제공된다고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개발과 이용을 통해 일상의 조그만한 면적, 자그마한 틈이라도 녹화시키려는 노력은 인류가 직면한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작은 발걸음이 아닐까 생각한다.
추천자료
생태연못의 모든 것
옥상정원(조경)
서울시 생태공원 현황조사 및 개선방안
생태공원과 근린공원의 정의/비교 및 답사기
한국의 관광마케팅으로서 생태관광의 가능성
생태체계모델파워포인트(이론,실천,실제사례적용)레포트발표용 PPT자료
[생태건축][생태건축과 지붕][생태건축과 태양에너지][생태건축의 사례]생태건축의 의의, 생...
[생태건축][생태건축의 배경][생태건축의 요건][생태건축의 사례][생태건축의 발전방향]생태...
옥상정원 (Roof - Garden)
[★★평가우수자료★★][정책 분석] 생태학습 - 생태학습장 개녀, 생태학습장 사례, 생태학습장 ...
생태공원 (生態公園 / Ecological Park) : 생태공원의 사례와 프로그램 ; 생태공원의 역할과 ...
생태체계이론 사례개입 (일반체계이론, 환경체계, 통합적방법론(핀커스와 미나한 4체계, 단일...
숲과삶1A) 대기오염에 의해 숲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설명하고, 숲의 생물다양성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