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첫걸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르트르가 상정해놓은 내면적인 자유를 최대한 누리고자 하는 사람은 자기 자신에게 과도한 요구를 하고 있다는 것을 금방 깨닫게 될 것이다. 실존주의적 인간은 계획의 주체가 아니라 실존주의 철학에서 요구하는 의지에 자기 자신을 무차별적으로 맞추어 나가야 하는 객체가 되기 때문이다. 기독교에서 네 이웃을 네 몸처럼 사랑하라는 윤리적 요청과 마찬가지로 실존주의의 요청은 무차별적이고 지나치게 과도한 면이 있는 것이다.
이성과 감정은 매우 강한 상호의존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미리 예측한 그대로 행동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고, 이는 좋은 뜻을 지닌 수많은 사상들이 현실화되지 못하는 사장되는 이유가 된다. 알코올 중독자가 술을 끊겠다는 결심을 내놓고, 직장인이 상사에게 직언을 하겠다고 호언장담을 하지만, 막상 때가 되면 유야무야가 되어버리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에서이다. 현실화되지 못하고 꿈에 머물고 만 소망들이 어디 한둘일까! 이러한 일은 한 개인에게는 분명 바람직하지 못한 일이지만, 그러나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반드시 나쁜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인간들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기의 개인적인 모든 소망을 스스로 실현하겠다고 나서는 세상은 분명 파라다이스는 아닐 것이다. 또한 외적인 강요들도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는 점도 역시 염두에 두어야만 할 것이다. 이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이 몸담고 있는 사회의 복원력과 안정성에 대한 믿음을 심어주기 때문이다. 가족의 속박, 고향에 대한 애증, 소중한 회상으로부터 벗어나서 얻은 자유는 모든 사람들에게 행복으로 가는 길을 보장해주지는 못하는 것이다.
심리적인 특성이 행동을 규정하는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양자택일이 아니다. 행동과 뇌의 상태는 서로서로 활기차게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이다. 행동과 존재, 존재와 행동이 끊임없이 연속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두 비 두 지 두 Do be do be do. 존재와 삶의 끊임없는 이중주의 내용이 얼마나 풍부한가는 사람에 따라서 상이하고, 또 그 사람의 삶의 형편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내가 나 자신의 꿈을 현실화할 수 있는지 그 여부는 내가 물질적인 자유, 즉 경제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에 달려 있기도 하다. 이로써 우리는 또 하나의 광범위한 테마에 도달하였다.
재산과 소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자유는 무엇이고, 재산과 소유에 의한 속박은 또 무엇일까?
이성과 감정은 매우 강한 상호의존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인간은 미리 예측한 그대로 행동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고, 이는 좋은 뜻을 지닌 수많은 사상들이 현실화되지 못하는 사장되는 이유가 된다. 알코올 중독자가 술을 끊겠다는 결심을 내놓고, 직장인이 상사에게 직언을 하겠다고 호언장담을 하지만, 막상 때가 되면 유야무야가 되어버리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에서이다. 현실화되지 못하고 꿈에 머물고 만 소망들이 어디 한둘일까! 이러한 일은 한 개인에게는 분명 바람직하지 못한 일이지만, 그러나 사회 전체적으로 보면 반드시 나쁜 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모든 인간들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기의 개인적인 모든 소망을 스스로 실현하겠다고 나서는 세상은 분명 파라다이스는 아닐 것이다. 또한 외적인 강요들도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는 점도 역시 염두에 두어야만 할 것이다. 이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자신이 몸담고 있는 사회의 복원력과 안정성에 대한 믿음을 심어주기 때문이다. 가족의 속박, 고향에 대한 애증, 소중한 회상으로부터 벗어나서 얻은 자유는 모든 사람들에게 행복으로 가는 길을 보장해주지는 못하는 것이다.
심리적인 특성이 행동을 규정하는가, 아니면 그 반대인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은 양자택일이 아니다. 행동과 뇌의 상태는 서로서로 활기차게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이다. 행동과 존재, 존재와 행동이 끊임없이 연속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두 비 두 지 두 Do be do be do. 존재와 삶의 끊임없는 이중주의 내용이 얼마나 풍부한가는 사람에 따라서 상이하고, 또 그 사람의 삶의 형편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내가 나 자신의 꿈을 현실화할 수 있는지 그 여부는 내가 물질적인 자유, 즉 경제적인 능력을 지니고 있는지에 달려 있기도 하다. 이로써 우리는 또 하나의 광범위한 테마에 도달하였다.
재산과 소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자유는 무엇이고, 재산과 소유에 의한 속박은 또 무엇일까?
추천자료
「오체 불만족」과 관련된 중복·지체부자유아 가족의 어려움과 대처지원
[유아교육과]2007우수논문-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자유선택활동의 의미
[사이버 모욕죄]사이버 모욕죄와 표현의 자유에 대한 논란 조사, 사이버 모욕죄의 문제점, 사...
[독후감] 조선의 여성들, 부자유한 시대에 너무나 비범했던
[프랑스문학A+] 사르트르의 ‘자유’에 대한 고찰
공기업 민영화의 필요성과 그 과제(신자유주의관점에서)
[논문 요약] 공교육의 위기 - 신자유주의가 낳은 교육불평등
[독후감] ‘비판적 교육학과 공교육의 미래 :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을 재검토한다’를 읽고 _ 마...
[방통대 2학년 세계의 정치와 경제]신자유주의의의 확산이 나의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해 서술
(세계의정치와경제, A+ 레포트) 신자유주의의의 확산이 나의 삶에 미친 영향에 대해 서술
[인권법 C형] 양심의 자유에 대해 논하시오.
[방통대 법학과 3학년 인권법 B형] 종교의 자유에 대해 논하시오.
외교 관점에서의 한미 FTA 분석 - 자유무역협정 FTA(Free Trade Agree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