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재량이겠지만 역시 나르시시즘적인 사고방식은 수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자기 자신에게 자신감을 줄 정도까지의 증세라면 약이 되겠지만 오히려 자기 자신에게 너무 많은 기대를 걸어 그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을 때에 나르시시즘은 독이 되어 자기 자신을 망치게 만드는 원인 1순위가 될 수 있다.
실제로 영화 가위손, 배트맨의 감독 팀 버튼은 어릴 적 특이한 자신의 성격과 남다른 개성으로 인해 주위 아이들로부터 왕따를 당했고 이성에게 차이고 고민한 적이 있었는데 이 때 의 상황을 보면 2차 나르시시즘이 안 생길 수 없었을 것이다. 결국 그는 자기 자신을 믿고 월트디즈니사에서 탈퇴하고 머리 작은 유령이 나오는 영화, 또 자기 자신을 닮은 캐릭터 가위손 등등을 내보이며 흥행가도를 달리게 되고 꿈이었던 영화감독의 길의 정상에 우뚝 서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성공한 사람들에 비해 나르시시즘으로 인해 실패한 사람들도 분명 많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2차 나르시시즘이 자기 자신에게 온 것 같다면 자기 자신을 위해 최대한 수위 조절을 해서 그 나르시시즘이라는 맹독을 자기 자신을 발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약으로 만드는 것이 심리학을 배우는 자로써의 자세가 아닐까?
실제로 영화 가위손, 배트맨의 감독 팀 버튼은 어릴 적 특이한 자신의 성격과 남다른 개성으로 인해 주위 아이들로부터 왕따를 당했고 이성에게 차이고 고민한 적이 있었는데 이 때 의 상황을 보면 2차 나르시시즘이 안 생길 수 없었을 것이다. 결국 그는 자기 자신을 믿고 월트디즈니사에서 탈퇴하고 머리 작은 유령이 나오는 영화, 또 자기 자신을 닮은 캐릭터 가위손 등등을 내보이며 흥행가도를 달리게 되고 꿈이었던 영화감독의 길의 정상에 우뚝 서게 된다.
하지만 이렇게 성공한 사람들에 비해 나르시시즘으로 인해 실패한 사람들도 분명 많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2차 나르시시즘이 자기 자신에게 온 것 같다면 자기 자신을 위해 최대한 수위 조절을 해서 그 나르시시즘이라는 맹독을 자기 자신을 발전시키는데 사용되는 약으로 만드는 것이 심리학을 배우는 자로써의 자세가 아닐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