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경험과 아동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여기서는 연령 통합보육과 장애아 통합보육에 관한 서로 다른 견해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1) 연령 통합연령 통합보육은 한 반을 구성하는 아동의 연령 범위가 1년 이상이 되도록 반을 구성하여 보육하는 방식으로 가장 어린 아동과 가장 나이 많은 아동의 연령 차이가 2년 이상일 수도 있다. 핵가족화 및 형제 없는 아동 증가 추세에 따라 사회적 상호작용 범위가 제한적인 아동의 사회적 경험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게 되었다.

장점
- 다양한 대인관계를 경험하여 사회성 발달 측면 촉진.- 아동의 자존감 향상 - 인지발달이나 언어발달 측면에서 볼 때 연소 아동이 연장 아동의 행동을 모방할 기회를 갖게 되므로 발달이 촉진 되는
경향을 지님- 연장 아동은 연소 아동의 학습을 도와주면서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효과

단점
- 연령이 다른 학급 담당 교사는 동일 연령 학급 교사보다 스트레스 수준이 높다.- 교육에 대한 열의가 적을 수 있고, 그 결과로 교육의 질 이 떨어질 수 있다.- 학부모들의 이해 부족- 인지적 수준이 서로 다른 아동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양한 교육방법 고안과 계획 을 통한 추가적인 업무 부담

2) 장애아 통합과거와는 다르게 비장애아와 분리하지 않는 통합교육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장애아 통합교육이 비장애아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증거가 없으며 장애아에게는 소속감을 갖고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장애아가 통합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아로만 구성된 특수학급에서보다 통합학급에서 지적인 자극을 많이 받을 수 있다.- 비장애아의 행동을 관찰하고 이들과 상호작용 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발달적으로 앞선 행동을 모방하며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비장애아가 통합교육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긍정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사람들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는 태도를 배울 수 있다.통합교육을 통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 선행되어야 할 것들이 있다. 보육교사요인으로서 장애아 통합교육에 과한 태도, 경험, 훈련 등의 교육과 장애아, 비장애아 부모님들의 인식에 대한 교육이다 .장애아 통합 보육은 실시 초기에는 장애아 가족과 비장애아 가족양자의 이해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이들의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장애아 가족의 소외감을 없앤다면 성공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18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58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