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웨스턴 실어증 검사
Ⅰ. 목 적
Ⅱ. 대 상
Ⅲ. K-WAB의 구성 (검사도구)
Ⅳ. K-WAB의 구성 (검사항목)
Ⅴ. 검사방법 및 결과해석
Ⅵ. 검사도구 장 ․ 단점
Ⅶ. 진단가의 중요성
대구 실어증 진단 검사
Ⅰ. 목 적
Ⅱ. 검사 도구의 구성
Ⅱ. 검사 항목의 구성
Ⅳ. 검사 도구의 장 ․ 단점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
Ⅰ. 목 적
Ⅱ. 대 상
Ⅲ. K-BNT의 구성
Ⅳ. 표준화 과정
Ⅴ.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Ⅵ. 검사방법과 결과해석
Ⅶ. 검사도구 장 ․ 단점
Ⅰ. 목 적
Ⅱ. 대 상
Ⅲ. K-WAB의 구성 (검사도구)
Ⅳ. K-WAB의 구성 (검사항목)
Ⅴ. 검사방법 및 결과해석
Ⅵ. 검사도구 장 ․ 단점
Ⅶ. 진단가의 중요성
대구 실어증 진단 검사
Ⅰ. 목 적
Ⅱ. 검사 도구의 구성
Ⅱ. 검사 항목의 구성
Ⅳ. 검사 도구의 장 ․ 단점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
Ⅰ. 목 적
Ⅱ. 대 상
Ⅲ. K-BNT의 구성
Ⅳ. 표준화 과정
Ⅴ.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Ⅵ. 검사방법과 결과해석
Ⅶ. 검사도구 장 ․ 단점
본문내용
악하여 10개의 항목들을 제외한 60항목을 최종적으로 선정했다.
1
손
16
지네
31
가재
46
현미경
2
모자
17
용
32
소화기
47
도르래
3
고추
18
거북선
33
하모니카
48
뗏목
4
넥타이
19
고드름
34
골무
49
깔대기
5
자전거
10
저울
35
도토리
50
불가사리
6
바나나
21
선인장
36
하루방
51
모래시계
7
선풍기
22
올챙이
37
나침반
52
방독면
8
장화
23
박쥐
38
유모차
53
고깔
9
바둑
24
눈사람
39
등대
54
목발
10
태극기
25
달팽이
40
야자수
55
평행봉
11
장구
26
수갑
41
공룡
56
토시
12
버섯
27
신호등
42
첨성대
57
작살
13
거미줄
28
청진기
43
지구의
58
흙손
14
낙타
29
인어
44
에스컬레이터
59
풍경
15
풍선
30
대패
45
석류
60
코뚜레
② K-BNT60항목
Ⅳ. 표준화 과정
① 표준대상
(1) 서울, 경기, 경상, 충청, 전라, 제주지방 등 전국에 걸쳐 표본 추출
② 표본절차
(1) 각 피험자와의 면담을 거쳐 성별, 연령, 교육 정도 등의 정보를 얻으면서 병력에 대한 구두조사를 행했다.
(2) 면접 통과 대상자에게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 시행하였다.
(3) 각 교육년수 및 연령군당 K-MMSE의 평균점수 및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하여 600명을 간 추려 표준화 과정에 포함한다.
(4) 일반선형모형절차를 취하였다.
(5) K-BNT를 시행하였다.
Ⅴ.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① 내적일관성 신뢰도
(1) 총 60개의 항목을 각 연령군 및 교육년수군에 대응한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전체 K-BNT의 Cronbach`s α 계수는 .9325로서 신뢰도가 매우 높았다.
② 반문검사 신뢰도
(1) 홀수-짝수 문항들로 나누어 두 부분 검사점수의 상관계수를 계산한 후 Spearman-Brown공식에 의하여 신뢰도를 추정하였다. 홀수 30문항의 신뢰도는 .8851이고 짝수 30문항의 신뢰도는 .8572이다. 모든 Cronbach`s α 계수가 유의미하였으므로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매우 높다.
③ 항목 곤란도
(1) 곤란도가 높은 쉬운 항목부터 곤란도가 낮은 어려운 항목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음소적중복을 피하여 순서를 조정한 부분들이 있다.
Ⅵ. 검사방법과 결과해석
① 검사방법
(1) 검사 시 필요한 도구 : 검사 자극판, 검사 기록지, 필기도구
(2) 검사 절차 : 검사자와 피검자는 90도로 앉아서 검사.
(3) 검사 시행
② 기록 및 채점 방법
(1) 피험자의 반응을 자세히 용지에 기록한다.(연령, 성별, 나이 등)
(2) 경미한 음소적 왜곡은 정답으로 처리한다.
(3) 음소착어는 오답으로 처리한다.
(4) 자기수정시에는 환자의 마지막 반응을 답으로 간주한다.
(5) 시각적 인지장애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해당란에 기록한 후, 곧바로 피험자에게 의미적 힌트를 제시한다.
(6) 항목상의 기능이나 형태묘사는 가능하나 이름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15초경과 후 표준화된 의미적 힌트를 제시하고 반응을 관찰한다.
(7) 피험자가 정답과 무관한 오답을 제시하면 오답으로 처리한 후, 의미적 힌트를 제시한 후에도 정반응을 보이지 못하면, 곧바로 음소적 힌트를 한 음절씩 주면서 그 반응을 해당란에 자세히 기록한다.
(8) 피험자의 반응이 정답에 연관되기는 하나 일반적인 개념을 가리키는 어휘를 대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뭐라고 하죠?"라고 물은 뒤 그 반응에 따라 채점한다.
(9) 피험자가 실어증 환자의 경우이고 그 환자가 더 하지 못하겠다고 하면서 좌절감을 표시하면 여섯 항목의 연속적인 오반응 후에 검사를 중지한다.
③ K-BNT 평균점수 및 표준편차
Ⅶ. 검사도구 장 단점
① 장점
(1) 검사방법과 검사도구가 간편하다.
(2) 피험자가 느낄 수 있는 피곤함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대한 배제했다.
(3) 의미적 힌트와 음소적 힌트를 검사지에 제시함으로써 객관적인 검사가 되어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었다.
(4) 연속적으로 오답을 하더라도 검사를 중지하지 않기 때문에 뒤에 문항에 대해 답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② 단점
(1)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낮은 사물은 피험자에게 너무 어려운 항목이다.
(2) 경미한 음소의 왜곡을 정답으로 처리한다는 평가방법의 기준은 주관적이다.
(3) 그림묘사가 단조로워서(예. 평면적, 흑백) 피험자의 관심을 집중시키기 어렵다.
(4)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본 검사도구는 1983년에 개발) 규준 중 교육연령대의 변화가 필 요하다.
1
손
16
지네
31
가재
46
현미경
2
모자
17
용
32
소화기
47
도르래
3
고추
18
거북선
33
하모니카
48
뗏목
4
넥타이
19
고드름
34
골무
49
깔대기
5
자전거
10
저울
35
도토리
50
불가사리
6
바나나
21
선인장
36
하루방
51
모래시계
7
선풍기
22
올챙이
37
나침반
52
방독면
8
장화
23
박쥐
38
유모차
53
고깔
9
바둑
24
눈사람
39
등대
54
목발
10
태극기
25
달팽이
40
야자수
55
평행봉
11
장구
26
수갑
41
공룡
56
토시
12
버섯
27
신호등
42
첨성대
57
작살
13
거미줄
28
청진기
43
지구의
58
흙손
14
낙타
29
인어
44
에스컬레이터
59
풍경
15
풍선
30
대패
45
석류
60
코뚜레
② K-BNT60항목
Ⅳ. 표준화 과정
① 표준대상
(1) 서울, 경기, 경상, 충청, 전라, 제주지방 등 전국에 걸쳐 표본 추출
② 표본절차
(1) 각 피험자와의 면담을 거쳐 성별, 연령, 교육 정도 등의 정보를 얻으면서 병력에 대한 구두조사를 행했다.
(2) 면접 통과 대상자에게 한국판 간이정신진단검사 시행하였다.
(3) 각 교육년수 및 연령군당 K-MMSE의 평균점수 및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하여 600명을 간 추려 표준화 과정에 포함한다.
(4) 일반선형모형절차를 취하였다.
(5) K-BNT를 시행하였다.
Ⅴ.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① 내적일관성 신뢰도
(1) 총 60개의 항목을 각 연령군 및 교육년수군에 대응한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전체 K-BNT의 Cronbach`s α 계수는 .9325로서 신뢰도가 매우 높았다.
② 반문검사 신뢰도
(1) 홀수-짝수 문항들로 나누어 두 부분 검사점수의 상관계수를 계산한 후 Spearman-Brown공식에 의하여 신뢰도를 추정하였다. 홀수 30문항의 신뢰도는 .8851이고 짝수 30문항의 신뢰도는 .8572이다. 모든 Cronbach`s α 계수가 유의미하였으므로 내적 일관성 신뢰도가 매우 높다.
③ 항목 곤란도
(1) 곤란도가 높은 쉬운 항목부터 곤란도가 낮은 어려운 항목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음소적중복을 피하여 순서를 조정한 부분들이 있다.
Ⅵ. 검사방법과 결과해석
① 검사방법
(1) 검사 시 필요한 도구 : 검사 자극판, 검사 기록지, 필기도구
(2) 검사 절차 : 검사자와 피검자는 90도로 앉아서 검사.
(3) 검사 시행
② 기록 및 채점 방법
(1) 피험자의 반응을 자세히 용지에 기록한다.(연령, 성별, 나이 등)
(2) 경미한 음소적 왜곡은 정답으로 처리한다.
(3) 음소착어는 오답으로 처리한다.
(4) 자기수정시에는 환자의 마지막 반응을 답으로 간주한다.
(5) 시각적 인지장애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해당란에 기록한 후, 곧바로 피험자에게 의미적 힌트를 제시한다.
(6) 항목상의 기능이나 형태묘사는 가능하나 이름대기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15초경과 후 표준화된 의미적 힌트를 제시하고 반응을 관찰한다.
(7) 피험자가 정답과 무관한 오답을 제시하면 오답으로 처리한 후, 의미적 힌트를 제시한 후에도 정반응을 보이지 못하면, 곧바로 음소적 힌트를 한 음절씩 주면서 그 반응을 해당란에 자세히 기록한다.
(8) 피험자의 반응이 정답에 연관되기는 하나 일반적인 개념을 가리키는 어휘를 대는 경우에는 "구체적으로 뭐라고 하죠?"라고 물은 뒤 그 반응에 따라 채점한다.
(9) 피험자가 실어증 환자의 경우이고 그 환자가 더 하지 못하겠다고 하면서 좌절감을 표시하면 여섯 항목의 연속적인 오반응 후에 검사를 중지한다.
③ K-BNT 평균점수 및 표준편차
Ⅶ. 검사도구 장 단점
① 장점
(1) 검사방법과 검사도구가 간편하다.
(2) 피험자가 느낄 수 있는 피곤함이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최대한 배제했다.
(3) 의미적 힌트와 음소적 힌트를 검사지에 제시함으로써 객관적인 검사가 되어 신뢰도가 높아질 수 있었다.
(4) 연속적으로 오답을 하더라도 검사를 중지하지 않기 때문에 뒤에 문항에 대해 답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② 단점
(1)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낮은 사물은 피험자에게 너무 어려운 항목이다.
(2) 경미한 음소의 왜곡을 정답으로 처리한다는 평가방법의 기준은 주관적이다.
(3) 그림묘사가 단조로워서(예. 평면적, 흑백) 피험자의 관심을 집중시키기 어렵다.
(4)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본 검사도구는 1983년에 개발) 규준 중 교육연령대의 변화가 필 요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