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장시험의 목적
2. 관계 이론
3. 시험편 취급 주의사항
4. 인장실험전의 시험편 수치
5. 시험방법
6. 실험결과
2. 관계 이론
3. 시험편 취급 주의사항
4. 인장실험전의 시험편 수치
5. 시험방법
6. 실험결과
본문내용
을 가하여도 좋으나 강재에 있어서는 그의 1/2하중을 초과한 후에는 상 항복점, 하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까지의 평균 응력 증가율을 1∼3kgf/mm2/s로 한다.
③ 인장강도의 측정을 시행하는 경우에 상 항복점, 하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의 측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장강도의 규정치에 상당하는 하중의 1/2의 하중까지는 적당한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도 좋으나 강재에 있어서는 이의 1/2하중을 초과한 후에는 시험편 평행부의 연신 증가율이 20∼80%/min 으로 되는 속도로 인장을 한다. 상항복점, 하항복점 또는 항복강도의 측정을 끝마친 후 계속하여 인장강도를 구하는 경우도 이와 같다.
3) 시험 온도는 일반으로 5∼35℃의 범위내로 하고 필요하면 시험온도를 기록한다. 다만, 온도 변화에 민감한 재료에 대하여는 20℃±2℃를 표준으로 하고 그 재료 규격의 지시에 따른다.
※ 시험편 평행부의 원 단면적, 표점 거리, 항복점, 항복강도, 인장강도, 파단 연신율(연신율), 단면 수축률을 구하는 방법
(1) 시험편 평행부의 원 단면적은 표점 거리의 양단부 및 중앙부의 3곳의 단면적의 평균치로 한다. 다만 필요가 있어 테이퍼를 붙인 시험편은 최소 단면적을 측정하여 원 단면적으로 한다. 각각의 단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지름 또는 나비, 두께는 적당한 측정기를 사용하고 적어도 규정치수의 0.5%의 수치까지 측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만 2mm 이하의 치수에 대하여는 0.01mm 까지 측정하여도 좋다. 원형의 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지름은 서로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하여 측정한 값의 평균치로 한다.
(2) 표점거리는 적당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적어도 규정 치수의 0.1%의 수치를 측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만 100mm 미만의 치수에 대하여는 0.1mm 까지 측정하여도 좋다.
6. 실험결과
1) 인장실험 후 시편 수치
P = 87.8mm
L = 71.3mm
D = 8.7mm
2) 실험 데이터의 정리 및 계산
(1) 기본실험 데이터
수축 전의 시험편 직경 - D = 12.05mm
수축 전의 시험편 단면적 -
수축 전의 시험편 표점거리 - = 60mm
(2) 파단 후 necking에 의한 단면적 감소 데이터
파단 후 시험편 직경 - = 8.7mm
파단 후 시험편 단면적 -
파단 후 시험편 표점거리 - = 71.3mm
3) 데이터 분석 (특정치 계산)
(1) 탄성계수
탄성계수(E)는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선형탄성 구간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2) 인 장 강 도
인장강도는 인장시험의 경과 중 시험편이 견딘 최대하중을
평행부의 원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3) 연 신 률
연신율 는 시험편 파단 후에 있어서 영구 연신율, 즉 시편이 끊어질 때까지의 변형률, 혼동을 피하기 위해 파단 연신율이라 한다. 이때, 파단 연신율 으로 계산한다.
(단, :파단후 표점거리 ,:시험전 표점거리)
(4) 단면 수축률
단면수축률 는 시험편 원래 단면적과 파단 후의 단면적과 차를 원단면적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값으로,
( : 파단 전 원단면적, : 파단 후 단면적)
③ 인장강도의 측정을 시행하는 경우에 상 항복점, 하 항복점 또는 항복강도의 측정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장강도의 규정치에 상당하는 하중의 1/2의 하중까지는 적당한 속도로 하중을 가하여도 좋으나 강재에 있어서는 이의 1/2하중을 초과한 후에는 시험편 평행부의 연신 증가율이 20∼80%/min 으로 되는 속도로 인장을 한다. 상항복점, 하항복점 또는 항복강도의 측정을 끝마친 후 계속하여 인장강도를 구하는 경우도 이와 같다.
3) 시험 온도는 일반으로 5∼35℃의 범위내로 하고 필요하면 시험온도를 기록한다. 다만, 온도 변화에 민감한 재료에 대하여는 20℃±2℃를 표준으로 하고 그 재료 규격의 지시에 따른다.
※ 시험편 평행부의 원 단면적, 표점 거리, 항복점, 항복강도, 인장강도, 파단 연신율(연신율), 단면 수축률을 구하는 방법
(1) 시험편 평행부의 원 단면적은 표점 거리의 양단부 및 중앙부의 3곳의 단면적의 평균치로 한다. 다만 필요가 있어 테이퍼를 붙인 시험편은 최소 단면적을 측정하여 원 단면적으로 한다. 각각의 단면적을 구하기 위하여 지름 또는 나비, 두께는 적당한 측정기를 사용하고 적어도 규정치수의 0.5%의 수치까지 측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만 2mm 이하의 치수에 대하여는 0.01mm 까지 측정하여도 좋다. 원형의 단면적을 구하기 위한 지름은 서로 직교하는 2방향에 대하여 측정한 값의 평균치로 한다.
(2) 표점거리는 적당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적어도 규정 치수의 0.1%의 수치를 측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다만 100mm 미만의 치수에 대하여는 0.1mm 까지 측정하여도 좋다.
6. 실험결과
1) 인장실험 후 시편 수치
P = 87.8mm
L = 71.3mm
D = 8.7mm
2) 실험 데이터의 정리 및 계산
(1) 기본실험 데이터
수축 전의 시험편 직경 - D = 12.05mm
수축 전의 시험편 단면적 -
수축 전의 시험편 표점거리 - = 60mm
(2) 파단 후 necking에 의한 단면적 감소 데이터
파단 후 시험편 직경 - = 8.7mm
파단 후 시험편 단면적 -
파단 후 시험편 표점거리 - = 71.3mm
3) 데이터 분석 (특정치 계산)
(1) 탄성계수
탄성계수(E)는 응력-변형률 선도에서 선형탄성 구간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2) 인 장 강 도
인장강도는 인장시험의 경과 중 시험편이 견딘 최대하중을
평행부의 원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다.
(3) 연 신 률
연신율 는 시험편 파단 후에 있어서 영구 연신율, 즉 시편이 끊어질 때까지의 변형률, 혼동을 피하기 위해 파단 연신율이라 한다. 이때, 파단 연신율 으로 계산한다.
(단, :파단후 표점거리 ,:시험전 표점거리)
(4) 단면 수축률
단면수축률 는 시험편 원래 단면적과 파단 후의 단면적과 차를 원단면적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 값으로,
( : 파단 전 원단면적, : 파단 후 단면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