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예비보고서
1. 작품구상
2. 구성작품의 동작
3. 블록도
4. 사용된 IC의 Data sheet 핀 배치도 및 펑션 Table
결과보고서
1. 작품 구성시 문제점
2. 작품의 실제 구성
3. 사용된 부품, 공구
4. Orcad Capture 프로그램으로 그린 회로도
5. 브레드보드에 구성한 사진
6. 만능기판에의 실제 구성
7. 만능기판에 구성한 완성 사진
8. 결과 및 토의
1. 작품구상
2. 구성작품의 동작
3. 블록도
4. 사용된 IC의 Data sheet 핀 배치도 및 펑션 Table
결과보고서
1. 작품 구성시 문제점
2. 작품의 실제 구성
3. 사용된 부품, 공구
4. Orcad Capture 프로그램으로 그린 회로도
5. 브레드보드에 구성한 사진
6. 만능기판에의 실제 구성
7. 만능기판에 구성한 완성 사진
8. 결과 및 토의
본문내용
L\'부분이 0이 들어갈 경우Preset을 실행하게 된다(아래의 74LS192 Data sheet의 Mode Select Table 참조). 그리하여 0과 7을 빼야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2. 작품의 실제 구성
작품의 동작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였기 때문에 실제 구성애 들어가도록 하였다. 동작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브레드보드에 구성을 하였다. 555를 이용한 일정한 펄스파형을 만들기 위한 회로구성은 인터넷을 참조하였다. 그리고 별 어려움 없이 작품을 구현하였고 제대로 작동하였으나 카운터가 너무 느린 것 같아서 저항의 위치를 바꿔주었다. 그리하여 더 빠른 변화속도를 낼 수 있게 하였다. 더욱 빠른 변환을 원한다면 위의 저항의 값을 낮추고 아래의 저항값을 높이면 될 것으로 예상된다.
3. 사용된 부품, 공구
만능기판, FND, 0.33uF커패시터, 10K·33K저항, 스위치, IC(HA17555, 74LS192,
74LS47, 74LS10), AA Size 건전지x4ea용 건전지홀더, 전선, 와이어스트립퍼, 납땜인두
4. 회로도 구성
Orcad Capture프로그램으로 회로도 구성
5. 브레드보드에의 예비 구성
6. 만능기판에의 실제 구성
자리 배치를 확인 한 후 IC를 먼저 납땜하여 자리잡도록 하고 전선을 미리 적당한 길이로 잘라 놓고 양끝피복을 벗겨놓고 인두가 가열되었을 때 미리 구성한 회로도를 보며 하나씩 연결하였다.
7. 작품의 완성
8. 결과 및 토의
브레드보드에서만 회로를 구성하다가 만능기판에 직접 납땜을 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것은 이번의 처음이었다. 미리 경험해 보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작품을 만드느라 많은 고생을 하였다. 한 번의 실수로 처음부터 하나씩 배선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납땜할 때 엄청난 신경을 썼다. 칩의 다리순서가 반대로 되는 점도 적응하기 힘들었다. 그렇게 신경을 많이 써서 그랬는지 한 번에 이상 없이 작품이 동작하여 완성하였다. 첫 작품이기도 하였고 고생을 많이 하여서 뿌듯함이 컸다.
처음 전원을 인가했을 때 1이 출력 될 것으로 생각했으나 결과사진을 보면 0 이 출력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생각해 본 결과 처음 동작 할 때에는 카운터에 입력된 001을 출력하라는 Preset을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0을 출력하며 그 후에 6을 출력하고 난 다음엔 위에서 설명했듯이 Preset을 실행하여 1을 출력하기 때문에 0은 나오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2. 작품의 실제 구성
작품의 동작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였기 때문에 실제 구성애 들어가도록 하였다. 동작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브레드보드에 구성을 하였다. 555를 이용한 일정한 펄스파형을 만들기 위한 회로구성은 인터넷을 참조하였다. 그리고 별 어려움 없이 작품을 구현하였고 제대로 작동하였으나 카운터가 너무 느린 것 같아서 저항의 위치를 바꿔주었다. 그리하여 더 빠른 변화속도를 낼 수 있게 하였다. 더욱 빠른 변환을 원한다면 위의 저항의 값을 낮추고 아래의 저항값을 높이면 될 것으로 예상된다.
3. 사용된 부품, 공구
만능기판, FND, 0.33uF커패시터, 10K·33K저항, 스위치, IC(HA17555, 74LS192,
74LS47, 74LS10), AA Size 건전지x4ea용 건전지홀더, 전선, 와이어스트립퍼, 납땜인두
4. 회로도 구성
Orcad Capture프로그램으로 회로도 구성
5. 브레드보드에의 예비 구성
6. 만능기판에의 실제 구성
자리 배치를 확인 한 후 IC를 먼저 납땜하여 자리잡도록 하고 전선을 미리 적당한 길이로 잘라 놓고 양끝피복을 벗겨놓고 인두가 가열되었을 때 미리 구성한 회로도를 보며 하나씩 연결하였다.
7. 작품의 완성
8. 결과 및 토의
브레드보드에서만 회로를 구성하다가 만능기판에 직접 납땜을 하여 회로를 구성하는 것은 이번의 처음이었다. 미리 경험해 보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작품을 만드느라 많은 고생을 하였다. 한 번의 실수로 처음부터 하나씩 배선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납땜할 때 엄청난 신경을 썼다. 칩의 다리순서가 반대로 되는 점도 적응하기 힘들었다. 그렇게 신경을 많이 써서 그랬는지 한 번에 이상 없이 작품이 동작하여 완성하였다. 첫 작품이기도 하였고 고생을 많이 하여서 뿌듯함이 컸다.
처음 전원을 인가했을 때 1이 출력 될 것으로 생각했으나 결과사진을 보면 0 이 출력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대해 생각해 본 결과 처음 동작 할 때에는 카운터에 입력된 001을 출력하라는 Preset을 실행하지 않기 때문에 0을 출력하며 그 후에 6을 출력하고 난 다음엔 위에서 설명했듯이 Preset을 실행하여 1을 출력하기 때문에 0은 나오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추천자료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도입,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개념,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디지털도서관(디지털도서, 전자책, e-book)의 정의, 특성, 장단점과 디지털도서관(디지털도서...
[디지털방송][디지털방송기술][디지털방송산업][문화정체성][공익성][디지털]디지털방송의 특...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효과, 위성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특성, 위성DMB(디지털멀티...
[도서관]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특징, 역할과 디지털도서관(전자도서관)의 필요성, 기대...
디지털방송(디지털TV) 전송방식의 개념, 디지털방송(디지털TV) 전송방식의 변천과 변경 효과,...
[일상생활][디지털미디어][디지털미디어상품][인터넷중독][정보화사회]일상생활과 디지털미디...
지적재산권(지식재산권) 고찰과 디지털 지적재산권(디지털 지식재산권)의 경향, 디지털 지적...
[디지털카메라, 디카, 촬영법]디지털카메라(디카)의 내부구조, 촬영법, 디지털카메라(디카)의...
[디지털위성방송][공공성]디지털위성방송의 성격, 디지털위성방송의 공공성과 상업성, 디지털...
디지털저작권의 중요성, 디지털저작권의 주요규정, 디지털저작권의 보호, 디지털저작권의 WIP...
[e-비즈니스 공통] 1. 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 이 경우에 물리적 ...
[e-비즈니스 공통] 1. 인터넷의 다양한 주소(Address) 체계에 대해 기술. 이 경우에 물리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