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아랫부분에서 2번이나 빠져 실험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였다. 시험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시편을 꽉 조여야 한다.
시편을 척에 물린후 추를 달아주는데 이때 추를 실험을 시작할때까지 끝까지 잡고 있어야 한다. 일축방향으로만 하중을 가해줘야 하는데 추를 놓아주면 시편이 좌우로 움직여서 2축,3축방향으로까지 하중을 가할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가 원하는 정확한 크리프 곡선을 그릴수 없을 것이다.
시편을 물리고 추를 올릴 때 추는 크리프 시험기 바닥에서 최소 10㎝이상 떨어트려 설치해야한다. 가끔가다가 추를 너무 낮게 설치하여서 시편은 파단이 일어나지 않고 계속해서 변형이 일어나고 있는데 일정하중을 가하는 추는 이미 크리프 시험기 바닥에 닿으면 더 이상의 실험을 할수없기 때문이다.
시간에 따른 변형량 그래프를 살펴보면 하중의 크기에 따라 파단되는 시간과 변형량이 다르다. 파단시간은 2㎏의 추를 달았을 때 31분 10초로 가장 길었고 1.5㎏의 추를 달았을 때 10분으로 가장 짧았다. 또 변형량은 4㎏의 추를 달았을 때 115㎜로 가장 큰 변형량을 보였고 1.5㎏의 추를 달았을 때 48.2㎜로 가장 작은 변형량을 보였다.
이번실험을 통해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고 하중에 크기에 따라 크리프에 의한 파단시간과 변형률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고 파단이 일어난 시편과 시험전의 시편을 비교해보면 파단이 일어난 시편이 더 잘 부러진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참고문헌
http://www.randb.co.kr/korean/newhome/newsletter/newsletter%20vol2%20no6.htm
시편을 척에 물린후 추를 달아주는데 이때 추를 실험을 시작할때까지 끝까지 잡고 있어야 한다. 일축방향으로만 하중을 가해줘야 하는데 추를 놓아주면 시편이 좌우로 움직여서 2축,3축방향으로까지 하중을 가할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우리가 원하는 정확한 크리프 곡선을 그릴수 없을 것이다.
시편을 물리고 추를 올릴 때 추는 크리프 시험기 바닥에서 최소 10㎝이상 떨어트려 설치해야한다. 가끔가다가 추를 너무 낮게 설치하여서 시편은 파단이 일어나지 않고 계속해서 변형이 일어나고 있는데 일정하중을 가하는 추는 이미 크리프 시험기 바닥에 닿으면 더 이상의 실험을 할수없기 때문이다.
시간에 따른 변형량 그래프를 살펴보면 하중의 크기에 따라 파단되는 시간과 변형량이 다르다. 파단시간은 2㎏의 추를 달았을 때 31분 10초로 가장 길었고 1.5㎏의 추를 달았을 때 10분으로 가장 짧았다. 또 변형량은 4㎏의 추를 달았을 때 115㎜로 가장 큰 변형량을 보였고 1.5㎏의 추를 달았을 때 48.2㎜로 가장 작은 변형량을 보였다.
이번실험을 통해 같은 재료를 사용하더라고 하중에 크기에 따라 크리프에 의한 파단시간과 변형률이 다르다는 것을 알았고 파단이 일어난 시편과 시험전의 시편을 비교해보면 파단이 일어난 시편이 더 잘 부러진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참고문헌
http://www.randb.co.kr/korean/newhome/newsletter/newsletter%20vol2%20no6.htm
추천자료
기계공학실험 유량계 실험 실험보고서
기계공학실험 (좌굴실험)
기계공학실험(엔진성능실험)
기계공학실험 열전도실험
기계공학실험 광학실험
[기계실험] 관수로실험(유량 및 마찰손실 측정)
기계공학실험 인장실험 결과레포트
[기계공학실험] 가산, 감산 증폭기
기계실험 - 예혼합 연소 실험
[기계공학실험] brinell, rockwell 경도실험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모터제어실험 PLC 응용실험 & 모터의 종류, 모터의 구조,...
[미세조직 기계공학실험] 금속의 미세조직 관찰
열전도도 측정시험 - 기계공학실험 A+ 자료
홍익대학교 기계공학실험 신호분석 및 실습 실험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