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비요 인삼人參 사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본초비요 인삼人參 사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인삼

사삼

본문내용

할 수 있으니 몸이 허약인이 사용할 때는 과체로 대신한다.
(丹溪曰人參入手太陰、補陽中之陰。)
주단계가 말하길 인삼은 수태음경에 들어가서 양중의 음을 보한다.
(蘆反能瀉太陰之陽,亦猶麻黃根、苗不同。)
노두는 반대로 태음의 양을 사하며 또한 마황근과 싹이 약효가 같지 않음과 같다.
(痰在膈,在經絡,非吐不可,吐中就有發散之義。)
담이 흉격에 있고 경락에 있으면 토함이 아니면 불가하니 토하는 중에 발산하는 뜻이 있다.
(一婦性躁味厚,暑月因怒而病 (소리 평온치 않을, 딸국질 애{닭소리 액}; -총7획; e)
,作則身跳動,昏不知人。)
한 부인이 성격이 조급하며 두터우며 여름철에 분노로 기인하여 딸꾹질 병이 생기며 생기면 온 몸이 떨리고 움직이며 혼수상태로 사람을 알지 못했다.
(其人形氣俱實,乃痰因怒鬱,氣不得降,非吐不可。)
사람의 형체와 기가 모두 실하며 담이 분노의 울체로 기인하여 기가 하강하지 못하여 토가 아니면 불가하였다.
(以參蘆半兩,逆流水煎服,吐頑痰數碗 碗(주발 완; -총13획; wan)은 원문은 椀(주발 완; -총12획; wan)
,大汗昏睡而安)。
인삼노두 20g을 거꾸로 흐르는 물로 달여 복용하며 완고한 담을 몇 사발 토한 뒤에 크게 땀이 나면서 혼수상태가 편안해졌다.
(參條、參鬚主治同,功緩。)
인삼의 가지와 인삼의 수염의 주치가 같으나 공로가 완만하다.
(人參,向以上黨爲貴,今則以吉林野參爲上,其次則以吉林種參、高麗參皆功倍黨參。)
인삼은 상당것이 귀하나 지금 길림야생인삼이 최상이며 다음은 길림성의 파종한 인삼이며 고려인삼은 모두 공로가 당삼의 배이다.
沙參
사삼
補陰,瀉肺火
사삼은 음을 보하며 폐화를 사한다.
甘苦微寒。
사삼은 감미와 고미로 약간 찬 기운이다.
味淡體輕,專補肺氣,肺養肝,兼益脾腎.
사삼의 약미는 담미이며 몸이 가볍고 오로지 폐기를 보하니 폐열을 끄고 간을 길러주며 비와 신을 더해준다.
(脾爲肺母,腎爲肺子)。
비는 폐의 어머니이며 신은 폐의 아들이다.
久嗽肺,金受火剋者宜之,寒客肺中作嗽者勿服.
오래된 기침과 폐위는 폐금이 화를 받아서 상극된 사람에게 의당하니 한사가 폐속에 침입하여 기침이 되면 복용하지 말라.
(人參補五臟之陽,沙參補五臟之陰,肺熱者用之,以代人參)。
인삼은 5장의 양을 보하며 사삼은 5장의 음을 보하니 폐열증에는 사용하며 인삼을 대신한다.
似人參而體輕 (더벅머리, 거칠다 송; -총18획; song)
,白實者良,生沙地者長大,生黃土者瘦小。
사삼은 인삼과 유사하나 몸이 가볍고 성그니 백색으로 실한 것이 좋으니 모래땅에서 생기며 길고 큰 것이되고 황토에서 생기면 마르고 작게 된다.
畏防己。反黎蘆.
사삼은 방기를 상외하며 여로와 상반한다.
(北地者難得。鄭奠一曰能療胸、心腹痛、邪熱結,去皮膚遊風、疥癬、惡瘡、疝氣、崩帶)。
북쪽 지방 진짜 사삼은 얻기 어렵다. 정전일이 말하길 흉비, 심복부통증, 사열이 결체함을 치료하며 피부의 유풍, 개선, 악창, 산기, 붕루대하를 제거한다.
(沙參分南北兩種,北者良,南者功用相同,而力稍緩.)
사삼은 남과 북으로 구분되는 두 종류가 있으니 북쪽 사삼이 좋고 남쪽은 공용이 서로 같으니 힘은 조금 완만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5.27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7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