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품&소재 산업 육성을 통한 수출산업 경쟁력 강화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품&소재 산업 육성을 통한 수출산업 경쟁력 강화전략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국 부품 ․ 소재산업 현황
1. 부품 ․ 소재산업의 정의 및 분류
2. 한국 부품 ․ 소재산업 무역
3. 기술수준별 한국 부품 ․ 소재산업 현황
4. 對日무역 역조와 핵심 기술 종속문제

Ⅲ. 부분품-최종재 수명주기
1. 제품수명주기론과 부품 수명주기론
2. 부품 수명주기론
3. 부품 수명주기론의 단계별 특징

Ⅳ. 부품&소재 산업 사례
1. 한국
2. 외국의 사례

Ⅴ. 부품&소재산업 육성 전략
1. 산업 단계별 육성전략
2. 금융산업 병행 발전 전략
3. 한•일 FTA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국내산업보호책을 추진하고, 부품 또는 최종품을 수출할 수 있게 되더라도 수출국에 다양한 수출장벽에 맞닥뜨리게 되는 경우가 많다.
또 적용을 확대해 부품·소재산업과 마찬가지로 각 부품·소재분류에 연계되는 최종재 총 품목을 찾아 분석해 분류별 최종재의 생산 무역 통계를 찾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무역비중이 큰 12개 선정산업의 부분품과 최종재 만으로 각 국가의 4사분면의 수출액 비중을 살펴 비교하였다. 하지만 위와 같이 최종재의 분류별 무역액을 추후 연구한다면 보다 정확하게 한 국가의 산업의 단계별 비중을 파악해 산업전반의 구조를 이해하고, 이에 따라 더욱 적절한 발전 방안을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경제의 성장동력은 부품ㆍ소재산업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천연자원이 부족한 국가의 소재사업은 경제발전에 있어 중요한 전략적 자원이 된다. 실제로 세계경제가 침체됐던 2008년을 제외하고, 부품ㆍ소재분야에서 우리나라의 무역흑자폭은 2001년 이후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해왔으며, 2007년에만 364억 달러에 이른다. 이러한 성장세는 타산업 평균의 2배 이상을 상회하는 것으로, 미래의 국가경쟁력에 얼마만한 영향력을 미칠지를 가늠해볼 수 있다.
이에 올해 초 지식경제부가 `2012년 부품ㆍ소재 5대 강국 진입'의 슬로건 아래 2012년까지 부품ㆍ소재 핵심 원천기술 수준을 선진국 대비 90% 수준으로 제고하고, 부품ㆍ소재 무역흑자 900억 달러 달성을 위한 8대 핵심과제를 추진키로 하는 등 부품소재산업 육성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처럼 부품ㆍ소재산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원천기술 및 공동연구개발의 부재, 수요기업의 국산 소재 기피 풍조 등은 시장의 성장을 가로막는 주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시장가치가 높은 부품ㆍ소재 원천기술 확보 및 상용화를 위해서는 개발예정인 시스템과 관련된 3~5개의 기업들이 공동개발을 추진하는 경우가 많다. 공동개발시 연계 기업간의 신뢰가 매우 중요하나 우리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자사가 보유한 기술에 대한 철옹성 같은 보호로 개발 협력사간에도 소재와 부품의 조성물 형태 및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여 개발 기간이 길어지거나 개발이 중단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상호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중견ㆍ대기업이 중소기업을 보호 지원하고, 개발된 기술의 사용에 대한 관련 정부부처의 적절한 제도 및 지원이 이뤄짐으로써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국산 부품ㆍ소재의 시장 진입시 고질적 문제요인 중 하나는 수요기업의 사용기피이다. 검증되지 않은 소재를 사용하여 발생되는 손실은 수요자가 안고 가기 때문에, 검증된 외국 부품ㆍ소재를 선호하는 것은 당연한 일 일 것이다. 정부 출연기관을 통하여 특정 주요 부품ㆍ소재의 신뢰성 평가 및 인증이 이뤄지고 있지만, 새로운 소재 및 부품이 개발되어도 마땅한 평가 기준이 없어 국내 수요 및 수출의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생긴다.
물론 신개발 소재 및 제품의 평가항목은 개발자와 수요자가 먼저 파악하고 있으나, 정부기관으로부터 새로운 평가 항목을 신청하고 평가 기반이 제도화되는 기간이 많이 소요된다. 과거 지식경제부가 부품ㆍ소재기업 815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에서도 대상기업들의 54.4%가 국산제품 사용기피 문제의 해결을 위해 신뢰성 인증제도 및 시설을 요구한바 있다.
정부는 부품ㆍ소재 전문 예측요원 및 신뢰성 평가 전문요원을 증원하고 선진국의 부품ㆍ소재 주요 품목 개발현황을 예측 파악하여, 신소재 등에 대한 신뢰성 평가 및 인증 기반 제도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지금 세계 각국은 미래 국가경쟁력을 선점할 수 있는 차세대 먹거리 산업을 창출을 위해 핵심 부품소재에 대한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모든 국가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우리도 우리의 미래를 이끌어 갈 차차세대 산업으로 핵심 부품소재산업을 발굴하고 육성하지 않는다면 점차 치열해 가는 글로벌경쟁 속에서 결코 국가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을 것이다
참고문헌
부품소재산업 육성을 위한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황혜진 저 | 한성대 디지털중소기업대학원 발행, 디지털중소기업경영 전공
전남지역 부품소재 산업발전을 위한 클러스터 정책연구
고영윤 저 | 전남대 행정대학원 발행, 행정관리 전공
新規事業投資에 있어서 意思決定에 관한 硏究
趙英行 저 | 西江大 經營大學院 발행, 생산관리 전공
우리나라 電子産業의 現況과 電子製品 輸出增大 方案에 관한 硏究
尹相烈 저 | 成均館大 貿易大學院 발행, 국제경영학 전공
대 NAFTA 지역 전자제품 수출증대방안
柳昌夏 저 | 釜山大 經營大學院 발행, 경제학 전공
한국 기업의 수출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황의철 저 | 호서대 경영대학원 발행, 국제경영 전공
한국 자동차산업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오성철 저 | 조선대 대학원 발행, 경제학 전공
첨단 벤처기업의 육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부여방안
김정민 저 | 아주대 경영대학원 발행, 경영학 전공
對日 貿易逆調改善을 위한 韓國經濟 協力에 관한 고찰
都裕澤 저 | 韓國外國語大 貿易大學院 발행, 국제지역연구학 전공
한국 수입자유화 정책의 성격에 관한 연구
權 隆 저 | 釜山大 大學院 발행, 무역학 전공
우리나라 電子·電氣製品 輸出戰略에 관한 硏究
길희찬 저 | 한국외국어대 무역대학원 발행, 무역학 전공
국가연구개발 부품소재기술개발사업 집행체제 현황 및 개편 분석
이재철 저 | 상명대 디지털미디어대학원 발행, 연구개발경영 전공
우리나라 部品産業의 現況分析과 그 育成方案에 관한 硏究
朴柱泳 저 | 慶星大 大學院 발행, 무역학 전공
우리나라 部品産業의 育成方案에 관한 硏究
崔宰榮 저 | 서울大 行政大學院 발행, 행정학 전공
카메라産業 育成方案에 관한 硏究
羅禎煥 저 | 漢陽大 産業大學院 발행, 산업공학 전공
한국 전자부품산업의 현황과 경쟁력 육성방안에 대한 연구
이수연 저 | 韓國外國語大 世界經營大學院 발행, 국제경영학 전공
國際競爭力强化를 위한 工業構造 高度化方案
盧一善 저 | 中央大 大學院 발행, 경제학 전공
우리나라 신발산업의 문제점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박정배 저 | 부산대 행정대학원 발행, 행정학 전공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05.29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81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