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파란색)가 운동 방식에 적응하면서 근력(초록색)이 향상되는 양상을 보이고, 운동 방식에 완전히 적응한 이후로는 신경계의 발달은 중단된 후, 근육(붉은색)의 발달을 통해서 근력이 향상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4. 관련자료
<관련 자료>- Metropolitan Spinal Clinic의 Farwood의 글Functional Training stabilization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functional training으로 이는 neutral spine positioning technique의 practical한 적용에 대해서 가르쳐주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practical'이라는 단어이다. 70년대, 80년대에 신체 메카니즘을 가르치는 것은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기는 했겠지만, 언제나 practice하게 적용시켜 이 테크닉을 가르친 사람은 없었다. 효과적인 움직임은 힘을 요구하고, 신체의 가장 효율적인 힘을 발휘하게 하는 것은 다리이다. 전통적인 신체 메카닉의 교육에는 vertical position에서 spine을 유지하는 것과 체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리로 움직이는 것을 포함시켰다. "다리를 이용하세요. 허리가 아닙니다. 물건 가까이 가서 그 앞에 선 후,당신의 발을 움직이십시요. 허리를 움직이는 것이 아닙니다." 이런 식이었다. 만약 이렇게 움직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었다면 우리는 볼을 던질 때 허리는 가만히 두고 발과 팔만을 이용해서 던지라는 것이 된다. 우리가 일상 생활을 하기 위해서 다리로부터 힘이 발생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 힘이 손까지 전달되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신체를 한쪽 다리로 부터 다른쪽 다리로 우리 신체의 무게를 옮겨야만 하고, 다리로 부터 만들어진 힘을 체간을 지나 팔까지 옮겨야 한다. 이렇게 옮기는 것을 잘하기 위한 적절한 척추 자세가 없고, spine을 보호하기 위한 brace를 복부에 했다면, spine은 이런 종류의 동작들을 해내기 힘들 것이고, 또한 우리는 다리로부터 적은 힘만을 이동시킬 수 밖에 없을 것이다. abdominals를 neutral position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함으로 우리는 다양한 힘있는 동작들을 시행할 때 spine을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몸의 메카니즘을 practical하게 만든다. 기능적인 훈련(functional training)의 시작은 다양한 동작들과 자세들을 취할 때 spine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된다. 예를 들어, 팔로 어떤 물건을 닿게 하려고 할 때(reach up)에는 spine이 extension되는 경향이 있고, 앉거나 쪼그려앉을 때(squatting)시에는 flexion되는 경향이 있다. 앞쪽 복부근은 spine을 extend하는 경향이 있는 힘에 대항하기 위해(to counter) 사용되어질 수 있고, hip에 hinge시키는 것은(앞으로 구부릴 때) neutral외로 flexion되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hip hinging은 low back으로부터라기 보다 다리를 hips(보통 무릎도)으로부터 앞으로 구부리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서는 원래 타고난 근육사용의 순서가 아닌 것, 예를 들어, 복부에 brace를 착용하고, buttock 근육을 체간을 똑바로 세우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을 익히도록 요구되기 때문에 특별한 교육과 연습이 요구된다. spine이 twisting되는 것을 막기위해 pivoting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교육되는데 이때에는 물건의 방향을 옮길 때 발을 끌지 않도록 한다. bracing, hip hinging과 pivoting은 모두 서있는 자세에서 부터 바닥에 누운 자세까지, 그리고, sitting에서 standing, pushing, pulling, lifting, reaching 등을 하는다양한 방법들로 가르치기 위해 쓰였고, 모든 동작은 neutral position을 유지하도록, 그리고 부드럽게 동작하도록 교육되었다. 환자가 neutral position을 유지하기 위한 능력을 증진하기 위해서 특별화된 테크닉에는 개개인의 직업과 recreational activity들을 고려하여 교육시켰다. 또한 앉아있는 자세나 누워있는 자세와 같은 정적인 자세에서도 다양한 기술을 교육시켰다. 이런 동작들의 대부분은 task를 neutral 자세에서 실행하기 위한 몇가지 방법들이다. 이런 기술의 선택은 practical해야하고, 다양한 상황들에 적합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궁극적인 목표는 환자가 스스로 movement problem들을 해결 할 수 있도록 자신의 spine에 대해 잘 알게 하는 것이다. 이 물리치료사의 Functional Training Checklist를 참고로 실어보겠다. http://home.earthlink.net/~farwoods/resources/funlck.gifFunctional spine stabilization은 대다수의 환자들을 위한 movement 습관들의 “reprogramming”이라고 할 수 있겠고, 신체적으로 모든 사람이 어렵지 않게 익힐 수 있다. 어려운 것은 시작할 때이다. 환자들이 방법을 잊어버리기 쉽기 때문인데, 특히 통증이 감소하면 환자들은 이용했던 방법을 쉽게 잊어버린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들은 functional stabilization으로 일상 생활 동작들을 더 쉽고, 더 아프지 않은 상태에서 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을 알게 된다. 만성적인 spine의 문제를 가진 사람에게도 수술을 하지 않고도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back sprains의 경우도, low back pain이 발생하였을 때 보존적 물리치료와 functional stabilization을 함께 시행함으로 만성적인 허리 문제를 없앨 수 있다.
5. 참고문헌
Occupational Therapy 이론과 적용 / 정담미디어 / 2003 / 정원미 지음
http://www.mabari.com/
http://www.best-dr.co.kr/index_5h.htm
http://rmc.hanyang.ac.kr/DAA100/
4. 관련자료
<관련 자료>- Metropolitan Spinal Clinic의 Farwood의 글Functional Training stabilization 프로그램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functional training으로 이는 neutral spine positioning technique의 practical한 적용에 대해서 가르쳐주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practical'이라는 단어이다. 70년대, 80년대에 신체 메카니즘을 가르치는 것은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기는 했겠지만, 언제나 practice하게 적용시켜 이 테크닉을 가르친 사람은 없었다. 효과적인 움직임은 힘을 요구하고, 신체의 가장 효율적인 힘을 발휘하게 하는 것은 다리이다. 전통적인 신체 메카닉의 교육에는 vertical position에서 spine을 유지하는 것과 체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리로 움직이는 것을 포함시켰다. "다리를 이용하세요. 허리가 아닙니다. 물건 가까이 가서 그 앞에 선 후,당신의 발을 움직이십시요. 허리를 움직이는 것이 아닙니다." 이런 식이었다. 만약 이렇게 움직이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방법이었다면 우리는 볼을 던질 때 허리는 가만히 두고 발과 팔만을 이용해서 던지라는 것이 된다. 우리가 일상 생활을 하기 위해서 다리로부터 힘이 발생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그 힘이 손까지 전달되게 하기 위해서 우리는 우리의 신체를 한쪽 다리로 부터 다른쪽 다리로 우리 신체의 무게를 옮겨야만 하고, 다리로 부터 만들어진 힘을 체간을 지나 팔까지 옮겨야 한다. 이렇게 옮기는 것을 잘하기 위한 적절한 척추 자세가 없고, spine을 보호하기 위한 brace를 복부에 했다면, spine은 이런 종류의 동작들을 해내기 힘들 것이고, 또한 우리는 다리로부터 적은 힘만을 이동시킬 수 밖에 없을 것이다. abdominals를 neutral position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함으로 우리는 다양한 힘있는 동작들을 시행할 때 spine을 안전하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몸의 메카니즘을 practical하게 만든다. 기능적인 훈련(functional training)의 시작은 다양한 동작들과 자세들을 취할 때 spine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평가하는 것에서 부터 시작된다. 예를 들어, 팔로 어떤 물건을 닿게 하려고 할 때(reach up)에는 spine이 extension되는 경향이 있고, 앉거나 쪼그려앉을 때(squatting)시에는 flexion되는 경향이 있다. 앞쪽 복부근은 spine을 extend하는 경향이 있는 힘에 대항하기 위해(to counter) 사용되어질 수 있고, hip에 hinge시키는 것은(앞으로 구부릴 때) neutral외로 flexion되는 것을 막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hip hinging은 low back으로부터라기 보다 다리를 hips(보통 무릎도)으로부터 앞으로 구부리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서는 원래 타고난 근육사용의 순서가 아닌 것, 예를 들어, 복부에 brace를 착용하고, buttock 근육을 체간을 똑바로 세우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을 익히도록 요구되기 때문에 특별한 교육과 연습이 요구된다. spine이 twisting되는 것을 막기위해 pivoting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교육되는데 이때에는 물건의 방향을 옮길 때 발을 끌지 않도록 한다. bracing, hip hinging과 pivoting은 모두 서있는 자세에서 부터 바닥에 누운 자세까지, 그리고, sitting에서 standing, pushing, pulling, lifting, reaching 등을 하는다양한 방법들로 가르치기 위해 쓰였고, 모든 동작은 neutral position을 유지하도록, 그리고 부드럽게 동작하도록 교육되었다. 환자가 neutral position을 유지하기 위한 능력을 증진하기 위해서 특별화된 테크닉에는 개개인의 직업과 recreational activity들을 고려하여 교육시켰다. 또한 앉아있는 자세나 누워있는 자세와 같은 정적인 자세에서도 다양한 기술을 교육시켰다. 이런 동작들의 대부분은 task를 neutral 자세에서 실행하기 위한 몇가지 방법들이다. 이런 기술의 선택은 practical해야하고, 다양한 상황들에 적합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궁극적인 목표는 환자가 스스로 movement problem들을 해결 할 수 있도록 자신의 spine에 대해 잘 알게 하는 것이다. 이 물리치료사의 Functional Training Checklist를 참고로 실어보겠다. http://home.earthlink.net/~farwoods/resources/funlck.gifFunctional spine stabilization은 대다수의 환자들을 위한 movement 습관들의 “reprogramming”이라고 할 수 있겠고, 신체적으로 모든 사람이 어렵지 않게 익힐 수 있다. 어려운 것은 시작할 때이다. 환자들이 방법을 잊어버리기 쉽기 때문인데, 특히 통증이 감소하면 환자들은 이용했던 방법을 쉽게 잊어버린다. 그러나, 대부분의 환자들은 functional stabilization으로 일상 생활 동작들을 더 쉽고, 더 아프지 않은 상태에서 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것을 알게 된다. 만성적인 spine의 문제를 가진 사람에게도 수술을 하지 않고도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back sprains의 경우도, low back pain이 발생하였을 때 보존적 물리치료와 functional stabilization을 함께 시행함으로 만성적인 허리 문제를 없앨 수 있다.
5. 참고문헌
Occupational Therapy 이론과 적용 / 정담미디어 / 2003 / 정원미 지음
http://www.mabari.com/
http://www.best-dr.co.kr/index_5h.htm
http://rmc.hanyang.ac.kr/DAA100/
추천자료
급성 폐손상과 산화질소
외상성 뇌손상
말초신경 손상에 일어나는 생물학적 변화와 신경재생과 관련된 단백질
주관절 손상의 재활
주관절 손상의 재활 프로그램
머릿결의 손상 정도로 염색이 모발에 주는 영향에 대한 정확한 정보 및 대중화된 모발의 미용...
외상성 뇌손상 case
외상성 뇌손상(TBI)의 진단,분류,병태생리,증상,치료,예후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 TBI)
반월 손상 (Meniscal injury)
십자인대 손상원인과 예방 및 재활방법
문화재의 손상원인과 대책
광선과 피부손상
[뇌손상] Pusher Syndrome[밀기 증후군]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