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의 생성 - 백두산 정의, 지형, 기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백두산의 생성 - 백두산 정의, 지형, 기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요약]
백두산의 생성 역사

1. 백두산이란?
1-1) 백두산의 정의
1-2) 백두산의 지형
1-3) 백두산의 기후

2. 백두산의 형성
2-1) 지질과 화산활동 및 지형 과 생성역사
2-2 백두산 천지호 생성과정

3. 백두산의 화산활동 전망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나무등걸을 이용한 탄소 동위원소 연대측정값도 1050±70년 B.P.(B.P.는 before present의 약자로 1950년을 기준하여 그 이전의 연대값을 나타냄), 1120±70년 B.P.를 나타낸다. 따라서 천지를 만든 백두산의 대규모 화산폭발은 지금부터 약 1,000년 전인 고려시대 초기에 일어났을 것으로 보여진다. 〈조선왕조실록〉에는 1597년(선조 30) 8월 26일, 1668년(현종 9) 4월, 1702년(숙종 28) 4월 14일의 3번의 분화가 기록되어 있다.
(그림1)일본에 날아간 백두산 화산재. 서쪽으로 가면 더욱 두꺼워지고, 1cm~16cm에 달하는 화산재 층이 산재해 있는 곳들이다.
백두산 형성 상상도
2-2)백두산 천지호 생성과정
백두산 천지호(칼데라호)의 생성 과정
칼데라호는 화산체가 형성된 뒤 대폭발이나 화산의 중심부분이 함몰되어 2차적으로 더 큰 와지가 된 뒤에 물이 고여서 된 호수다. 형태는 원형, 타원형이 대부분이고, 때에 따라서는 중앙 화구구의 분출 때문에 구옥상으로 되는것과 화산도를 갖는 환상의 것도 있다. 호안이 급사면이고 호저가 평탄한 것은 화구호와 비슷하지만 일반적으로 수심이 더 깊다. 수심 100미터 이상의 화산성 호수는 칼데라에 속하는 경우가 많다.
3. 백두산의 화산활동 전망
백두산은 사화산이 아닌 휴화산으로 1985년 설치된 화산지진 관측소(연변조선족자치주 지진변공실관리)에 따르면 1992년까지 78회, 1991년 6월부터는 30회이상 호산성 지진과 미동이 관찰되었다. 미진으로 인해 계속 불안정하게되어 폭발하게 된다면이 피해는 정말 말할 필요도 없이 크다백두산은 용암 뿐만 아니라화산탄 화산재 화산력 등 정말 어마한 크기가 분출이 된다. 피해지역은 정말 규모가 엄청나고 일본과 중국에는 백두산에서 분출된 10cm나 되는 화산재들이 있다. 그러닌깐 백두산이 지금 터지면 엄청난 피해를 입을 것이다. 중국의 화산학자들은 2000년~2050년 사이에 제 2의 대폭발(?)이 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앞으로 백두산에 대한 연구와 대처 방안이 필요 할 것 이다.
4.참고문헌
김추윤, '한국의 호수', 대원사, 1994, pp..28~90.
웅진출판사, KBS다큐멘타리 '한반도 30억년의 비밀', 한국과학기술진흥재단 ,학생과학백과사전'
출처 : http://ipcp.edunet4u.net/%7Ebaikdoo/adventure/valcano/valcanoofbd.htm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30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83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