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제트의 속도(Velocity of Jet)
● 노즐의 효율
● 제트의 속도 및 노즐 효율의 계산
● 오차원인 분석 및 고찰
● 노즐의 효율
● 제트의 속도 및 노즐 효율의 계산
● 오차원인 분석 및 고찰
본문내용
바뀔때 nozzle 효율의 변동폭도 컸다. 나머지 3rd, 5th nozzle은 chamber pressure 가 변해도 상대적으로 효율의 변동폭이 적게 나타났다.
오차원인 분석 및 고찰
마이크로미터의 다이얼을 돌려 cantilever 에 닫게 할때 어디까지나 어림잡아 불이 깜박거리는 지점을 기준으로 보정을 해 주었으므로 cantilever deflection 에 오차가 생길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실험시에 chamber pressure를 100, 200, 300 으로 바꿀때 마다 Inlet pressure 도 영향을 받아서 계속 바뀌어 안정화 된 값을 얻기가 어려웠다. 위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1st nozzle에서 chamber pressure 변화에 대해 nozzle 효율의 변동폭이 컸는데, 이것의 원인도 chamber pressure를 바꿀때 Inlet pressure 도 영향을 받아서 계속해서 바뀌어 안정화 된 값을 얻기가 어려웠던 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물론 nozzle 효율이 커봐야 30%가 나온 근본적인 원인은 노즐을 흐르는 공기제트가 충격, 팽창, 마찰의 효과로 인하여 제트의 속도가 이상 노즐보다 낮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오차원인 분석 및 고찰
마이크로미터의 다이얼을 돌려 cantilever 에 닫게 할때 어디까지나 어림잡아 불이 깜박거리는 지점을 기준으로 보정을 해 주었으므로 cantilever deflection 에 오차가 생길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실험시에 chamber pressure를 100, 200, 300 으로 바꿀때 마다 Inlet pressure 도 영향을 받아서 계속 바뀌어 안정화 된 값을 얻기가 어려웠다. 위의 그래프에서 보듯이 1st nozzle에서 chamber pressure 변화에 대해 nozzle 효율의 변동폭이 컸는데, 이것의 원인도 chamber pressure를 바꿀때 Inlet pressure 도 영향을 받아서 계속해서 바뀌어 안정화 된 값을 얻기가 어려웠던 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고 본다. 물론 nozzle 효율이 커봐야 30%가 나온 근본적인 원인은 노즐을 흐르는 공기제트가 충격, 팽창, 마찰의 효과로 인하여 제트의 속도가 이상 노즐보다 낮아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기계공학실험 유량계 실험 실험보고서
[기계공학실험] 열전도계수
[기계공학실험]열전대를 이용한 온도측정
[기계공학실험]Straingauge1
[기계공학실험]3D-Digitizing
[기계공학실험]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한 응력 구하기 ,스트레인게이지 사용예, 사용제품
[기계공학실험] 가산, 감산 증폭기
[기계공학실험] 고유 진동수 측정 (Measuring natural frequency of a Cantilever Beam)
[기계실험] 열충격, 몰딩, 폴리싱 광학현미경 관찰 결과
[기계공학실험] #1. 중공축과 중실축에 작용하는 비틀림
[기계공학실험] #2. 추의 무게에 의하여 작용하는 전단응력
[부산대학교 기계공학응용실험] 모터제어실험 PLC 응용실험 & 모터의 종류, 모터의 구조,...
[미세조직 기계공학실험] 금속의 미세조직 관찰
열전도도 측정시험 - 기계공학실험 A+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