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II. 한국 사회와 불평등
1. 불평등은 왜 사회 문제인가?
2. 한국의 경우 특히 문제인가? 왜 그런가?
III. 불평등 해결을 위한 계층별 역할
1. 상층(사회지도층)의 역할
2. 중간층과 하층(일반 서민들)의 역할
3. 국가(국가 지도층)의 역할
IV. 결 론
II. 한국 사회와 불평등
1. 불평등은 왜 사회 문제인가?
2. 한국의 경우 특히 문제인가? 왜 그런가?
III. 불평등 해결을 위한 계층별 역할
1. 상층(사회지도층)의 역할
2. 중간층과 하층(일반 서민들)의 역할
3. 국가(국가 지도층)의 역할
IV. 결 론
본문내용
.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불평등이 어느 정도 존재한다 하더라도 계급간의 통합과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기만 한다면, 그 불평등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지도층들은 당리당략(黨利黨略)만을 일삼을 것이 아니라, 국민을 통합하기 위한 자신들의 의무를 분명히 이해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국가의 역할’을 제시하는 경우, 자칫하면 불평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국민들의 눈을 속여 상존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를 숨기기만 하면 된다는 의견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
각주 1)에서도 언급한 바 있지만, 인간 사회에서 불평등 현상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불평등 문제의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방안은 제시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서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어느 정도 줄여 줄 수 있는 현실적인 ‘국가의 역할’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불평등 해결을 위해 국민들을 속이기만 하면 된다는 의견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있음을 밝혀둔다.
IV. 결 론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불평등이 왜 문제가 되는지 살펴보고,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층별 역할을 제시하였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행복해질 것이라고 착각하며 살다. 그래서 돈보다 더 소중한 것들을 잃어가며 맹목적으로 돈을 쫓아가고 있다.
이러한 안타까운 현실을 바라볼 때마다 노자의 ‘도덕경’을 해설해 놓은 책의 한 구절이 생각난다. “행복은 나비와 같다. 그것을 따라가 잡으려면 자꾸만 우리에게서 멀어지지만, 그렇게 하는 일을 그만두면 나비가 살며시 우리 어깨에 와서 앉는다.” 오강남, 『도덕경』, 현암사, 2002. p.319
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많이 벌려고 발버둥칠수록 점점 더 멀어지는 것이 돈이고, 그 멀어지는 돈은 혼자 떠나는 것이 아니라 내게 소중한 모든 것을 같이 가져간다. 이것이 돈만을 쫓으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비참한 말로인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국가와 국민들의 역할과 해결 방안들도 물론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우리 사회의 개개인이 과연 내가 왜 돈을 원하는 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한다는 것이다. 나 자신을 위해 돈을 원하는 것인가? 아니면 돈을 벌기 위해 내가 존재하는 것인가? 세상 사람들 모두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올바른 결론을 내린다면, 어쩌면 모든 사람들이 절대적으로 평등한 유토피아가 건설될 수 있지도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위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불평등이 어느 정도 존재한다 하더라도 계급간의 통합과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기만 한다면, 그 불평등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지도층들은 당리당략(黨利黨略)만을 일삼을 것이 아니라, 국민을 통합하기 위한 자신들의 의무를 분명히 이해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국가의 역할’을 제시하는 경우, 자칫하면 불평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국민들의 눈을 속여 상존하고 있는 사회적 문제를 숨기기만 하면 된다는 의견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다.
각주 1)에서도 언급한 바 있지만, 인간 사회에서 불평등 현상은 불가피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불평등 문제의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방안은 제시할 수 없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서민들의 ‘상대적 박탈감’을 어느 정도 줄여 줄 수 있는 현실적인 ‘국가의 역할’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불평등 해결을 위해 국민들을 속이기만 하면 된다는 의견으로 오해받을 소지가 있음을 밝혀둔다.
IV. 결 론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불평등이 왜 문제가 되는지 살펴보고,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층별 역할을 제시하였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많이 가지면 가질수록 행복해질 것이라고 착각하며 살다. 그래서 돈보다 더 소중한 것들을 잃어가며 맹목적으로 돈을 쫓아가고 있다.
이러한 안타까운 현실을 바라볼 때마다 노자의 ‘도덕경’을 해설해 놓은 책의 한 구절이 생각난다. “행복은 나비와 같다. 그것을 따라가 잡으려면 자꾸만 우리에게서 멀어지지만, 그렇게 하는 일을 그만두면 나비가 살며시 우리 어깨에 와서 앉는다.” 오강남, 『도덕경』, 현암사, 2002. p.319
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많이 벌려고 발버둥칠수록 점점 더 멀어지는 것이 돈이고, 그 멀어지는 돈은 혼자 떠나는 것이 아니라 내게 소중한 모든 것을 같이 가져간다. 이것이 돈만을 쫓으며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비참한 말로인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국가와 국민들의 역할과 해결 방안들도 물론 중요하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우리 사회의 개개인이 과연 내가 왜 돈을 원하는 지 다시 한 번 생각해 봐야 한다는 것이다. 나 자신을 위해 돈을 원하는 것인가? 아니면 돈을 벌기 위해 내가 존재하는 것인가? 세상 사람들 모두가 이러한 질문에 대한 올바른 결론을 내린다면, 어쩌면 모든 사람들이 절대적으로 평등한 유토피아가 건설될 수 있지도 않을까? 하고 생각해 본다.
추천자료
사회불평등에 대한 관점
[스웨덴의 복지국가][한국사회복지][사회복지][복지정책]스웨덴의 복지국가 사례를 통해 본 ...
[한국사회][한국사회현상][사회현상][사회문제]한국사회의 변동, 한국사회의 장기실업, 한국...
[한국사회][사회현상][사회문제][한국]한국사회의 시민단체, 한국사회의 집단화현상, 한국사...
[한국사회]한국사회와 지식사회, 한국사회와 세계화, 한국사회와 정치문화, 한국사회와 소프...
[시민사회]한국시민사회의 정의, 한국시민사회의 유형, 한국시민사회의 성격, 한국시민사회의...
한국사회에서 어떤 사회문제를 지역이나 공동체가 주체가 되어 해결하고자 한 실제 사례 찾아...
(한국사회문제C형) 한국전쟁이나 냉전이나 분단이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나 사회에서 ...
(한국사회문제D형)현재 한국사회의 노동문제가 한 세대 전의 노동문제와 어떻게 다른지 분석...
(2017년 한국사회문제E형) 한국사회 노동현실의 문제점을 잘 보여주는 사례를 골라서 이 문제...
한국사회문제4B)한국 사회에서 노년의 삶이 사회문제로서 중요하게 취급되어야 할 이유는 무...
사회문제론/ 한국사회의 청년문제를 왜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문제로서 ...
사회문제론B형-한국사회 고정관념] 한국사회에서 남성과 여성, 가족에 대한 고정관념이 어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