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 벽면녹화의 이론과 실무(친환경건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물 벽면녹화의 이론과 실무(친환경건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벽면녹화시스템의 개념

2. 벽면녹화시스템 방식

3. 벽면녹화시스템의 효과

4. 벽면녹화시스템의 식물재료

5. 벽면녹화시스템 설치사례

본문내용

벽면녹화시스템 이론과 사례
목 차
1. 벽면녹화시스템의 개념
2. 벽면녹화시스템 방식
3. 벽면녹화시스템의 효과
4. 벽면녹화시스템의 식물재료
5. 벽면녹화시스템 설치사례
1. 벽면녹화시스템의 개념
일반적으로 벽면녹화는 건설로 인해 생긴 건축물의 벽면을 녹화공간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건축물의 벽면, 각종 울타리, 방음벽, 콘크리트 옹벽등의 수직면과 사면등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입면에 대하여 식물을 도입하여 녹음으로 피복하는것이라고 정의히였다.
2. 벽면녹화시스템 방식
1. 등반부착형
건물 혹은 구조물의 기붕에 덩굴식물을 식재하여 덩굴의 신장에 따라 입면에 직접 부착시켜 등반 녹화를 하는 방업으로 입면의 콘크리트블럭, 거친 벽돌 등 다공질의 상태 혹은 크고 작은 요철이 많은 경우에 이용되는 방식
2. 하수형
입면의 상부나 옥상에 식재용기를 설치하고 신장하는 덩굴을 늘어뜨려 녹화하는 방법으로 베란다에 식재용기를 설치하고 녹화할수도 있음 늘어지는 덩굴을 그대로 두어도 되나, 덩굴이 바람에 흔들리지 않도록 입면에 보조재를 설치하여 부착시킬수도 있음
3. 면적형
입면의 요소에 식재공간을 설치하고 덩굴식물을 식재하여 사방으로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입면 면적이 넓고 식재공간 설치가 가능한 경우
3.벽면녹화시스템의 효과
1. 도시 생태계 구축
녹화된 벽면은 건축이나 깨끗한 외부공간 조성 등으로 인하여 도시에서 사라져가는 수풀이나 관목, 덤불 등을 대체 보완할 수 있다.수풀이나 관목, 덤불 등은 조료의 은신처로 이용되어 왔지만, 이러한 용도의 녹지가 부족한 도시에서는 벽면녹화를 통해 조류를 유치할 수 있다.
2. 도시 경관 개선
- 삭막한 인공벽면을 녹색의 쾌적한 도시공간으로 창출
- 인공구조물의 단조로움 해소 및 콘크리트의 위압감 감소
3. 에너지 절감
- 식물의 태양복사열 차단 과 식물체의 증산작용으로 벽면 온도저하
- 여름철 28도, 냉방시 30%절감
4.도시 대기 정화 효과
식물체는 분진을 잎 표면에서 흡착하여 공기정화 효과를 나타낸다.
탄소동화작용을 하는 식물체의 특성상 대기오염으로 발생되는 Co2를 O2로 변환시켜 도시 대기를 정화하는데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5.반사광 저감 효과
열전도성 흡수성, 반사성이 있는 입면의 증가는 온실효과를 증대시키고 도심을 건조하게 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요소중의 하난가 콘크리트 벽면인데 이는 반사율이 55%로 식생의 25%에 비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6.심리적 안정감
콘크리트에 뒤덮인 외부공간에 살아있는 녹색식물을 제공함으로써, 정서적,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4.벽면녹화시스템의 식물재료
녹화식물은 송악, 줄사철, 담쟁이덩굴, 덩굴장미, 능소화 등의 부착형과 인동덩굴, 으름덩굴, 노박덩굴, 등나무 등의 줄기감기형으로 구분한다.
환경에 적응이 가능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특히 뿌리의 발달이 충실한 수종이어야 한다.
3. 건축물의 이미지 향상
- 건물의 계절적 변화로 건물이미지 향상
4. 건축물의 내구성 향상
- 산성비 및 자외선 차단으로 벽면보호
- 침식, 도료 탈색 등이 방지되어 건물수명 연장
5. 도시의 소생태계 조성
- 곤충 등 소동물의 서식처 및 피난처
- 지역생태네트워크내의 eco-bridge의 역할
4.벽면녹화 조성과정
5.벽면녹화시스템 설치사례
`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6.02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8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