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딕건축][로마건축][로마네스크건축][페르시아건축][바로크건축][르네상스건축][비잔틴건축]고딕건축, 로마건축, 로마네스크건축, 페르시아건축, 바로크건축, 르네상스건축, 비잔틴건축 심층 분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딕건축][로마건축][로마네스크건축][페르시아건축][바로크건축][르네상스건축][비잔틴건축]고딕건축, 로마건축, 로마네스크건축, 페르시아건축, 바로크건축, 르네상스건축, 비잔틴건축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고딕 건축
1. 초기 고딕 건축, 1140˜1200년경
1) 성 드니 성당의 콰이어부분, 파리 근교, 1140˜1144년경
2) 라옹 성당, 파리 북동부, 1160˜1205년경
3) 노트르담 성당, 파리, 1163˜1250년경
2. 성기 고딕 건축, 1200˜1250년경
1) 샤르트르 성당, 프랑스, 1134˜1220년경
2) 랭스 성당, 프랑스, 1211년 착공, 쟝 도르베
3) 아미앙 성당, 프랑스, 1220˜1236년경, 로베드 드 뤼짜르쉐
3. 후기 고딕 건축, 1250˜1450
1) 인문적 조건
2) 후기 고딕 시대의 건축적 실체
3) 솔즈베리 성당, 영국, 1220년경 착공
4) 밀라노 성당, 이탈리아, 1386년경 착공

Ⅱ. 각 나라별 고딕 건축
1. 프랑스 ; 생 드니 수도원
2. 파리
3. 비종교적 건축
4. 영국
5. 독일
6. 이탈리아

Ⅲ. 로마 건축

Ⅳ. 로마네스크 건축
1. 노르망디와 잉글랜드
2. 독일
3. 토스카나

Ⅴ. 페르시아 건축

Ⅵ. 바로크 건축
1. 이탈리아의 바로크건축
1) 특성
2) 건축가와 실례
2. 바로크 건축의 환경
1) 지리적 배경
2) 종교적 상황
3) 정치적 상황
4) 예술적 상황
3. 이탈리아 바로크 건축(1600~1750년경)
1) 성베드로 성당
2) 성카를로 알레 콰르로 폰타네 성당
4. 이탈리아 외부의 바로크 건축
1) 프랑스의 바로크
2) 베르사유 궁전
3) 크리스토퍼 랜(1632~1723)
4) 성폴성당, 런던, 영국, 1625~1710년경, 크리스토퍼 랜
5. 바로크 건축의 특징

Ⅶ. 르네상스 건축

Ⅷ. 비잔틴 건축

참고문헌

본문내용

큰 건물 전체는 그 자체를 매우 아름답고 우아한 것으로 만드는 부분들과 어떤 조화를 갖게 될 것이다. Palladio에 의해 주어진 비율의 합법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례에 관한 르네상스의 생각에 대해 보도 철저히 아는 것이 필요하다. Emo 장에 서는 16*16 12*16 16*27의 방들이 주랑현관(이것 역시 16*27이다)과 홀(27*27)을 묶어주고 있다. 16:27의 비는 Alberti가 가르쳐 주었던 것처럼 비례의 분할에 의해 이해된다. 그것은 16:24:27 ,즉 5도의 대전음(=2:3과 8:9)으로 해독되며, 같은 식으로 복비12:27 은 12:24:27, 즉 옥타브와 대전음(=1:2와 8:9)으로부터 생긴다. 이처럼 27,12,16의 숫자는 서로 아래 위로 적혀 있어 독자의 눈을 어지럽게 하고는 있지만 모두가 비율의 생성에 의해 완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같은 오더의 비율은 양쪽 날개 부분에서도 잘 보여진다. 12는 다시금 중항이 되어, 이번에는 24와 48사이에 기입되어 있다. 이 급수의 조화적 성격은 명료하다(2:1:4에서 1:4는 두 개의 옥타브=1:2:4가 된다.). 이리하여 건물 전체는 마치 조화된 항 12,16,24,27,48의 공간적 관현악법처럼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같은 테마가 여러 가지 크기의 다른 건물을 통해 발전되었다. Cicogna에 있는 Thiene장은 4를 모듈로 하고 있으며, 방은 12,18,36이라고 하는 조화 급수에 기초하고 있다. 다른 네 개의 코너에는 18*18feet 크기의 정방형 방이 있고 이것들이 18*36인 이중 정방형 모양으로 생긴 방의 측면에 붙어 있다. 그리고 이 1:2의 비는 36*36feet, 즉 작은 구석방 크기의 네 배가 되는 거실에 접한 두 개의 주랑현관 에서도 반복되고 있다. Thiene 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1:1 1:2 2:2의 수열은 다른 건물에서도 역시 나타나고 있다. 20*20 20*30 30*30인 방들이 Port-Colleoni 저택(또는 궁)의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12,16,18, 24, 27,32, 36의 급수에 기초한 비가 자주 나타나게 된다. 이들 모든 공간비례는 그리이스 음계의 협화음에 해당하는 것들이다. 하지만 여기서는 Palladio가 자신의 설계에 의식적으로 음악비례를 시각비례로 옮겼다는 것을 제안하려는 것은 아니다. Francesco Giorgi는 그의 각서에서, 협화음을 건축에 응용하는 문제에 대해 입증하려고는 하지 않았지만, San francesco della Vigna 성당의 설계에서는 협화음을 당연한 순서처럼 이용하고 있다. Daniele Barbaro는 Vitruvius를 자세히 설명하면서 산술의 법칙은 음악과 점성술을 결부시키는 것이다. 왜냐하면 비례는 칫수나 무게 또는 숫자에 의해 주어진 모든 사물에 전반적이고도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 이에 대해 동조 했던 Palladio 자신은 음의 비례와 공간 에서의 비례가 긴밀한 관계에 있으며, 동일의 조화적 체계가 보편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에 대해 확신을 갖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였다. 이상은 르네상스 전반의 지적 구조에 대한 확신이었으며, 이것을 실행으로 옮기는데 있어 그들은 어떤한 특별한 괘변도 필요로 하지 않았다.
Ⅷ. 비잔틴 건축
AD324년 로마의 콘스탄틴 황제가 수도를 콘스탄티노플로 환도하고 동로마 제국을 건국한 33년부터 오토만 터어크(Ottoman Turks)족의 침입으로 콘스탄티노플이 함락된 1453년까지 동로마 지역에서 전개된 건축양식으로서 로마건축에 동양적인 건축요소를 혼합한 양식을 비잔틴 건축이라 한다. 비잔틴 건축은 동서교류가 활발했던 비잔틴 문화를 배경으로 동양양식과 서양양식이 혼합되어 나타난다. 서양의 열주식 구조에 동양적인 돔구조를 혼용하여 건축에 사용한다. 건축재료는 목재가 귀한 지역이었으므로 벽돌과 콘크리트를 주재료로, 석재를 부재료로 사용라였다. 벽, 아치, 보울트, 돔 등은 벽돌과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조적하였고 기둥 등 하중을 많이 받는 곳에는 석재를 사용하여 부재료로 사용하였다. 얇은 대리석판, 색유리등은 실내의 화려한 모자이크 장식에 이용하였다.
건축구조는 로마의 영향으로 아치, 보울트와 열주에 의한 아케이드를 널리 사용하였으며 아케이드의 열주에서 아치의 중첩에 의해 아치를 지지하는 기둥의 주두에 하중집중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펜던티브 돔(Pendentive Dome)이 생겨나 디자인적으로나 구조적으로 혁신을 이루고 비잔틴 공간의 비물질화된 신비로운 공간이 창출된다. 펜던티브 돔은 페르시아 지방에서 사용한 스퀸치 기법을 발전시켜 개발하였는데 사각형 평면 위에 원형평면의 돔을 가설하는 비잔틴양식의 독특한 기법을 말하고, 펜던티브는 이로 인해 생겨난 매부에서의 곡면의 삼각형부분을 가리킨다. 비잔틴 건축의 대표건축물은 터어키(구 콘스탄티노플)의 성소피아(St. Sophia, 532-537) 사원이다. 설계자는 안테미우스(Anthemius)와 이시도루스(Isidorus)이다. 평면구성은 서로마의 바실리카식 장축형 평면구성과 동로마의 중앙집중식 평면구성을 통합하였다. 주공간인 중앙돔 하부의 네이브와 부공간인 반구형 돔 하부의 앱스와 아일등의 공간이 상호유기적으로 통합되어 감동적인 공간이다. 벽돌로 조적된 직경 30미터의 중앙돔은 펜던티브와 주위의 반구형 돔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벽과 기둥은 장식적인 대리석이며 돔과 보울트 및 바닥은 모자이크로 치장되어 내부공간이 매우 화려하다.
이 건축물의 의의는 고대로마의 장대한 막센티우스 바실리카와 판테온이라는 건축공간의 합성이라는 점이며, 공간구성은 장축개념과 중앙집중형이 통합된 것이다. 이 중앙집중형 평면의 절정은 성 콘스탄자와 성 비탈레 세르지우스 바쿠스로 연속성을 이어나간다.
참고문헌
서양건축사/김성곤(저)
서양건축사/조희라 저/건기원/2002
서양건축사/윤장섭 저/동명사/1994
서양건축사/R.Furneaux Jodan, 정재영 옮김/기문당/1994
서양미술사/캐롤 스트릭랜드 지음; 김호경 옮김/예경/2000
서양건축사/클라센 비던 저/대우출판사
유럽의 도시와 건축/이선구 저
  • 가격7,5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8.11.0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0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