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조직배양의 정의와 역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조직배양의 정의

2. 조직배양의 역사

3. 식물조직배양의 응용분야

4. 식물 조직배양의 이용
1) 무병주 생산
2) 급속 대량 증식
3) 육종에의 이용

본문내용

의해 생긴 종자를 조직 배양을 통해서 새로운 품종을 육성할 수 있다.
(2) 세대 단축
복숭아의 조생종 품종의 경우 배가 미숙하기 때문에 조직 배양을 해서 육종에 소요되는 연수를 단축하고 있다.
(3) 배수체 유기
약이나 소포자 배양을 통해서 반수체의 식물을 얻고, 이 식물에다 콜히친 처 리를 하여 염색체를 배가하는 것이다.
(4) 이종속 간의 교배 불화합성 극복
배추와 무를 교배시켜 자연적으로는 잡종 종자가 생기지 않는 것을 불화합이라 한다. 이것을 배양하면 새로운 식물체를 얻을 수 있다.
(5) 돌연변이 유기
육종에서 새로운 변이를 유기하는 것은 조직 배양과정 중에 가능하다.
(6) 기내 선발
조그만 시험관 내에서도 수백만 개의 세포를 배양할 수 있으므로 선발이 용이하다.
(7) 유전공학
쓸모있는 재조합 유전자의 도입과 선발에 세포 또는 조직 배양은 필수적이다.
(8) 병리 분야
바이러스병, 병원균에 의한 도관병에 의해 멸종된 종이 적지 않다. 병원균이 적은 장점 조직을 분리하여 배양함으로서 병이 없거나 무병에 가까운 식물로 재생할 수 있다. 감자, 백합, 국화, 등의 영양번식에 의한 종류는 병을 제거한 묘의 생산으로 안정된 공급이 가능해졌다.
  • 가격2,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6.02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89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