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보
1.1 보 배근
1) 보의 배근과 철근 명칭
2) 스터럽(늑근)의 배근
3) 복근 및 폭고정근
4) 작은 보
5) 캔틸레버 보의 배근
1.1 보 배근
1) 보의 배근과 철근 명칭
2) 스터럽(늑근)의 배근
3) 복근 및 폭고정근
4) 작은 보
5) 캔틸레버 보의 배근
본문내용
소 정해진다. 이 두 개의 응력 중 큰 값에의해 보의 배근방법이 달라진다.
1) 보의 배근과 철근 명칭
보에 생기는 응력은 휨 모멘트 휨강도(주근이 부담)
전단력 전단보강(스터럽(늑근)이 부담)
2) 스터럽(늑근)의 배근
스터럽(늑근)은 기둥의 후프(띠철근)과 같은 역할을 하는 보의 보강근으로서 주근의 이탈방지나 슬래브의 휨응력에 따른 인장력에 견뎌내는 것이다. 늑근의 지름은 6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늑근은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보의전단력은 양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커지므로 단부에서는 중앙간격을 좁게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3) 복근 및 폭고정근
복근은 수축방지를 위해 보의 중단의 축방향에 설치하는 보강용 철근이고, 폭고정근은 스터럽(늑근) 사이에 걸쳐서 스터럽(늑근)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동시에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보강근이다.
4) 작은 보
작은 보에서는 연속 작은보와 단독 작은보에서도 세로단(불연속단)과 연속단에서는 응력상태가 달라지고 연속 작은보 세로단 단독 작은보 양단의 지지상태는 완전한 핀상태로 되지않고 큰 보의 비틀림 저항에 의한 구속으로 반고정상태가 되는 것이 보통이다.
5) 캔틸레버 보의 배근
1) 보의 배근과 철근 명칭
보에 생기는 응력은 휨 모멘트 휨강도(주근이 부담)
전단력 전단보강(스터럽(늑근)이 부담)
2) 스터럽(늑근)의 배근
스터럽(늑근)은 기둥의 후프(띠철근)과 같은 역할을 하는 보의 보강근으로서 주근의 이탈방지나 슬래브의 휨응력에 따른 인장력에 견뎌내는 것이다. 늑근의 지름은 6mm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늑근은 같은 간격으로 배치하기도 하나, 일반적으로 보의전단력은 양단부에 가까워질수록 커지므로 단부에서는 중앙간격을 좁게 배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3) 복근 및 폭고정근
복근은 수축방지를 위해 보의 중단의 축방향에 설치하는 보강용 철근이고, 폭고정근은 스터럽(늑근) 사이에 걸쳐서 스터럽(늑근)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동시에 삐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보강근이다.
4) 작은 보
작은 보에서는 연속 작은보와 단독 작은보에서도 세로단(불연속단)과 연속단에서는 응력상태가 달라지고 연속 작은보 세로단 단독 작은보 양단의 지지상태는 완전한 핀상태로 되지않고 큰 보의 비틀림 저항에 의한 구속으로 반고정상태가 되는 것이 보통이다.
5) 캔틸레버 보의 배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