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에소 정해진다. 이 두 개의 응력 중 큰 값에의해 보의 배근방법이 달라진다.
1) 보의 배근과 철근 명칭
보에 생기는 응력은 휨 모멘트 휨강도(주근이 부담)
전단력 전단보강(스터럽(늑근)이 부담)
2) 스터럽(늑근)의 배근
스터럽(늑근)은 기둥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9.06.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늑근, 대근, 콘크리트의 웨브작용으로 전달.
전단력에 의한 파괴 : 깨지기 쉬운 성질, 이를 개량함에는 철골을 트러스형이나 중복판형으로 하거나 늑근이나 대근을 충분히 배근하는 것이 효과적
웨브보강근의 양은 콘크리트의 사정력에 의하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배근 또는 복근배근으로 하고 복근배근일 때는 D6, D9 정도의 늑근을 30cm 간격으로 배근한다.
(5) 바닥 및 지붕 : 목조, 철골조로 하는 경우, 주로 철근콘크리트조, 기성콘크리트판 설치
2. 철근큰크리트 보강블록조
(1) 블록쌓기
(2) 보강철근
* 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0.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늑근 및 하단 철근 배근
2>보의 한쪽 단부에 인장 장착구를 리세스<recess> 용 거푸집과 함께 설치
3>레벨 철근의 위치를 정확히 잡아 늑근에 용접하고 쉬스를 설치 후 철선으로 고정하고 텐돈 삽입
4>양쪽의 정착구에 버스팅 링<burst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8.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배근된 주근은 D19이므로 오차는 76.8%이고, 늑근의 경우도 오차는 127%입니다. 이론 오차의 원인은 시공 및 실험의 오류때문이라 판단됩니다.
특이사항으로 보의 최소 피복두께는 40mm이나 실험결과 평균 27mm가 나온 것으로 보아 시공상의 정밀성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