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용의 특성과 분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무용의 특성과 분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序

Ⅱ. 한국무용의 특성과 분류
1. 한국무용의 특성
2. 한국무용의 분류

Ⅲ. 민속무용 - 승무
1. 승무의 역사
2. 춤의 구성
3. 승무에 대한 나의 생각

Ⅳ. 민속무용 - 강강술래
1. 강강술래의 유래
2. 강강술래의 구성
3. 강강술래에 대한 나의 생각

Ⅴ. 민속무용 - 탈춤
1. 탈춤의 역사
2. 탈춤의 특성
3. 탈춤의 종류
4. 탈춤에 대한 나의 생각

Ⅵ. 結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제2과장에 헛목춤, 제3과장에 팔목중춤이 오는 것은 다른 가면극과 마찬가지이나, 팔목중춤 다음으로 양반춤이 오는 것은 강령탈춤과 은율탈춤뿐이다. 팔목중춤에 이어서 노승 과장이 오는 것이 가면극으로서는 보통이나 그 순서가 바뀌어져 있다. 내용에 있어서도 다른 가면극에서는 노승과장에서 소무가 취발이 아이를 낳게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나 은율탈춤에서는 양반과장에서 아씨역인 새맥시가 원숭이와 음란한 수작을 하여 아이를 낳으면 최괄이가 자기 아이라고 받아 어른다. 이것은 파계승보다 양반을 모욕하는 대목을 강조하여 양반과 상민간의 대립을 더욱 날카롭게 한 것이다. 또 모든 가면극에서 노승은 시종 무언이나 은율탈춤에서만은 노승이 국화주를 취하도록 마시고 비틀거리며 등장하여 중타령과 진언(眞言)을 소리 내어 왼다. 대사도 내용에 있어서는 다른 가면극에 비해 호색적인 표현이 심하다.
은율탈춤의 주제도 다른 가면극과 마찬가지로 첫째 벽사의 의식무, 둘째 파계승에 대한 풍자, 셋째 양반에 대한 모욕, 넷째 일부처첩의 삼각관계와 서민생활상을 보여준다. 이 놀이에서는 향토적인 소리로서 최괄이가 아이를 어르는 꼭뚝이타령이 있고, 노승을 곯려주기 위해 부르는 대꼬타령과 병신난봉가가 있고, 영감과 미얄광대가 대면할 때의 나니가타령 들이 특징적이며, 춤사위는 봉산탈춤과 비슷하며 큰 차이가 없다.
가면은 헛목 이하 24종이 쓰이며, 귀면형의 목탈과 인물탈로 나눌 수 있는 것은 다른 황해도탈과 유사하나 역시 도안에 지방색이 있다. 의상은 봉산탈춤과 동일형이나 악사가 고깔을 쓰고 푸른 쾌자(快子)를 입고 노랑 띠를 매며 목중들도 흰색 고깔을 쓰고 한삼을 단 더그레에 노랑 띠를 매는 것이 다르다.
4. 탈춤에 대한 나의 생각
탈춤은 우리가 텔레비전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한국무용이라고 생각한다. 예능프로에서도 탈춤에 대해서 연예인들이 직접 배우고 가면을 쓰고 춤도 춰보고 이야기도 만들어 가는 등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었다. 그만큼 우리에게 익숙함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여러 종류의 각 지방에서 행해지는 탈춤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각기 비슷하면서도 서로 다른 특징을 갖고 있는 이러한 탈춤들은 이야깃거리가 있다는 것이 참 흥미로운 것 같다. 그 이야깃거리는 모두 해학과 풍자가 있어 당시 사회의 계층에 대해 해학적으로 풍자하고 일반 서민들이 직접 가면을 쓰고 하면서 서민들의 많은 관심을 얻어 지금까지 계속 전승되어 올 수 있었던 것 같다. 어떠한 장면은 과할 정도로 노골적이든지 어떠한 장면은 심하게 과장되어 웃음을 자아낸다든지 이야기와 함께 덩실덩실 움직이는 춤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단순히 무용이 음악과 함께 움직이는 것뿐만이 아니라 하나의 연극처럼 이야기도 있어 관객과 함께 호흡하는 것은 탈춤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이며 우리가 눈여겨 볼 점이라고 생각된다. 어느 무용도 관객과의 호응이 부족하다면 그 무용은 자신과의 만족감도 다 채우질 못할 것이다. 그러한 면에서 탈춤은 관객과의 호응이 폭발적이며 그것은 서로가 하나의 공간 속에서 공감을 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고 본다.
Ⅵ. 結
지금까지 한국무용의 특성과 분류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중에서 한국무용 중 민속무용의 승무와 강강술래, 그리고 탈춤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국무용은 크게 궁중무용과 민속무용, 의식무용, 창작무용 등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개인적으로 어느 누구나 즐기고 볼 수 있는 무용에 대해 관심을 갖고 조사를 하게 되었다.
승무는 한 여인이 고깔을 쓰고 북 앞에 서서 춤을 추는 것으로서 그 여인의 희망과 애처로움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춤이었던 것 같다. 한발 한발 내딛고 손을 뻗을 때마다 무엇인가 강한 에너지도 느낄 수 있었고, 절제된 느낌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강약의 정도에 따라서도 그 속에서 아름답고 숭고함, 그리고 절정까지도 강하게 느껴지는 춤이라고 할 수 있었다. 고깔 속 얼굴이 살짝 살짝 드러나는 것도 승무에 있어서 하나의 매력이라고 본다. 궁금증을 자아내거나 그 여인이 무엇을 원하고 희망하는지를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강강술래는 부녀자들이 다함께 모여 즐길 수 있다는 것이 하나의 특징이라고 본다. 단순히 빙글빙글 도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서도 놀이 방법이 여러 가지이고, 그에 맞게 노래가사도 변화하면서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다함께 돌면서 서로가 하나라는 것에 의지하고 또 즐거움도 만끽하고 노래와 춤이 어우러진 우리의 단체 무용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탈춤 또한 여러 명이 한데 모여 이야기가 있는 춤이라고 할 수 있다. 춤은 춤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큰 오산이라고 본다. 춤에는 음악이 있어야 하고 그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이고, 이를 보고 호응해주는 관객이 있어야 하며, 이 모든 것을 이어줄 수 있는 이야기 또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탈춤은 이를 다 포함하고 있는 우리의 무용이라고 본다. 해학과 풍자를 통해 웃음도 선사하고 관객까지도 덩실덩실 춤출 수 있도록 이끌어내는 자연스러운 춤, 무용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승무, 강강술래, 그리고 탈춤 뿐 아니라 우리의 한국무용에는 엄청나게 많은 종류가 있다. 이 모든 것은 아주 오래전 그 시대에 어울리게 만들어지고, 그 당시의 사고방식도 함께 춤 속에 포함되어 지금까지 이어져 올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한국무용은 단순한 춤이 아닌 아름다운 곡선을 지닌 우리의 의상과 여러 악기들의 소리, 그리고 춤추는 이의 감정과 정서의 세계를 표현할 수 있는 춤을 말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춤이 발레와 현대무용에도 뒤처지지 않고 꾸준히 전승, 발전될 수 있도록 꾸준히 노력해야하며, 무엇보다도 우리의 관심과 애정이 이를 훌륭하게 이어질 수 있도록 뒷받침해주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을 한다.
<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
송준영 외, 『무용의 이해』, 조선대학교 출판부
김혜정 외, 『한국무용사의 이해』, 형설출판사
승무: 예술로 http://www.art.go.kr
다음 백과사전 http://enc.daum.net/dic100/contents.do?query1=10XX175716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
  • 가격2,5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6.06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6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