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_ 1
Ⅱ. 장시의 등장에 따른 반응 _ 1
Ⅲ. 노비의 감소 _ 2
Ⅳ. 조선후기의 농노 _ 3
Ⅴ. 조선후기의 농업과 그 변화 _ 5
Ⅵ. 조선후기 농업이 경제에 미친 영향 - 7
Ⅶ. 결 론 - 8
Ⅷ. 참고문헌 - 9
Ⅱ. 장시의 등장에 따른 반응 _ 1
Ⅲ. 노비의 감소 _ 2
Ⅳ. 조선후기의 농노 _ 3
Ⅴ. 조선후기의 농업과 그 변화 _ 5
Ⅵ. 조선후기 농업이 경제에 미친 영향 - 7
Ⅶ. 결 론 - 8
Ⅷ. 참고문헌 - 9
본문내용
적인 국가의 재정에 까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 대표적인 예로 장세 징수가 그러하다. 장세 징수는 18세기를 전후하여 나타난 세금 징수의 일종이다. 처음 시작된 것은 17세기 말에 날로 커지는 장시의 중요성을 인식한 정부가 정책적으로 금하는 것보단 시장 개설을 인정하는 동시에 장제를 징수하겠다고 나선 것이다. 18세기 이후 아전과 같은 중간 관리의 수탈과 중앙 정부로 납세하는 상납분이 증가하는 등 지방재정은 굉장히 취약해져 있었다. 결국 이런 재정의 취약함을 보충하기 위해서 장세를 거두기 시작한 것이다.
<표 3> “부역실총”에 나타난 황해도 각 읍의 장세액과 용도 “"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라" 김대길. 가람기획. p112 표9에서 편집 발췌함
읍 명
장 세 액
용 도
감영
360냥
해주에 납부. 삼탄교 보수비용
황주
3484냥
매 장마다 세를 거두되 비나 눈이오면 면제함
곡산
337냥 2전
빙정의 역가, 종이 목물등 구입비
안낙
620냥
각종 진상 잡비 및 고마본전에 보충
은율
240냥
빙정·비개 등 비용 및 공무로 인한 초료에 보충
송화
385냥
고마 15필 본전에 보충
표 3에서 보면 알 수 있듯 장세는 관리의 개인적인 수탈이 아니라 공적이고 각 지방의 특색에 맞게 쓰여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세는 짐 한 바리에 1문 조선시대의 화폐단위. 400문=400푼=은1냥=은10전=은100푼=쌀10말
, 말이나 소에 짐을 실은 사람에게는 2문씩 받는 등 상인들에게는 적게 징수 하고 지방재정에는 커다란 징수원이 되므로 정부에서는 장세 징수를 지양했다. 이처럼 장세는 국가재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Ⅵ. 조선후기 농업이 경제에 미친 영향
조선후기 농업의 큰 특징은 높은 집약적 생산방식으로 인한 높은 생산량과 이로 인한 잉여수확물과 이앙법으로 인한 비농업 노동력의 증가이다. 특히 비농업 노동력은 도시로의 인구증가로 이어 졌는데 이는 수공업이나 광업 같은 산업에 종사하도록 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산업 인구의 증가는 시장의 상품 생산 활동과 유통경제를 촉진 시키므로 경제발전에 커라단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또 이렇게 성장한 시장은 역으로 농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상업적 농업이 그 예이다.
상업적 농업은 쌀과 같은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아니라 삼베나 담배와 같은 특성작물을 재배하여 보다 비싼 값에 시장에 파는 것으로 논에 비하여 이윤이 많이 나는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시장이 발달함으로써 특성작물의 유통이 활발하게 되고 수요에 따라 값이 올라가면서 상업적 농업이 발달하게 된 것이다.
허나 이런 농업 또한 높은 생산량에 따른 잉여수확물이 많아지게 따라 가능한 것이므로 농업과 상업의 상호적인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경우라 할 수 있다.
Ⅶ. 결 론
이상으로 조선후기의 전반적인 농업과 경제의 발전 그리고 이 두 가지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농업은 상업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잉여수확물과 비농업 노동력은 조선후기 산업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침에 분명하다. 그리고 논지와는 상관없는 내용이지만 사실 조선의 경제하면 사농공상이라 하여 경제가 많이 뒤처지고 농업에만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국가로 선입견에 잡혀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조선은 농업국가로서 주로 농업이 사회의 중요한 기반이었고 그에 대한 정책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먼저 사로 잡혀있던 선입견이 많이 틀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조선정부도 17세기말부터 시장의 중요성을 깨닫고 그에 따른 많은 노력을 이번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배웠기 때문이다. 사실 보고서의 소제목에서 짐작 할 수 있듯이 난 농업이 조선의 상업과 경제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었었다. 하지만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이러한 선입견을 깨고 얻은 사실은 농업과 경제는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더욱 더 발전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나도 몰랐던 조선에 대한 선입견 깨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Ⅷ. 참고문헌
“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라“ 김대길(2000). 가람기획. 1-22, 33, 201-227
“한국사와 농민“ 김석형(1998). 새롬서원. 128-157, 179-200
“조선 중세 수공업사 연구” 홍희유(1989). 지양사. 263-299
“조선시대의 인구변동과 경제사” Michell, Tony(1989). 釜山史學. 14-23
“조선전기 농법의 전통과 변화” (농업사 연구 제3권 1호) 이호철(2004). 28-42
<표 3> “부역실총”에 나타난 황해도 각 읍의 장세액과 용도 “"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라" 김대길. 가람기획. p112 표9에서 편집 발췌함
읍 명
장 세 액
용 도
감영
360냥
해주에 납부. 삼탄교 보수비용
황주
3484냥
매 장마다 세를 거두되 비나 눈이오면 면제함
곡산
337냥 2전
빙정의 역가, 종이 목물등 구입비
안낙
620냥
각종 진상 잡비 및 고마본전에 보충
은율
240냥
빙정·비개 등 비용 및 공무로 인한 초료에 보충
송화
385냥
고마 15필 본전에 보충
표 3에서 보면 알 수 있듯 장세는 관리의 개인적인 수탈이 아니라 공적이고 각 지방의 특색에 맞게 쓰여 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장세는 짐 한 바리에 1문 조선시대의 화폐단위. 400문=400푼=은1냥=은10전=은100푼=쌀10말
, 말이나 소에 짐을 실은 사람에게는 2문씩 받는 등 상인들에게는 적게 징수 하고 지방재정에는 커다란 징수원이 되므로 정부에서는 장세 징수를 지양했다. 이처럼 장세는 국가재정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 것이다.
Ⅵ. 조선후기 농업이 경제에 미친 영향
조선후기 농업의 큰 특징은 높은 집약적 생산방식으로 인한 높은 생산량과 이로 인한 잉여수확물과 이앙법으로 인한 비농업 노동력의 증가이다. 특히 비농업 노동력은 도시로의 인구증가로 이어 졌는데 이는 수공업이나 광업 같은 산업에 종사하도록 하는데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산업 인구의 증가는 시장의 상품 생산 활동과 유통경제를 촉진 시키므로 경제발전에 커라단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또 이렇게 성장한 시장은 역으로 농업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상업적 농업이 그 예이다.
상업적 농업은 쌀과 같은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아니라 삼베나 담배와 같은 특성작물을 재배하여 보다 비싼 값에 시장에 파는 것으로 논에 비하여 이윤이 많이 나는 작물을 재배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시장이 발달함으로써 특성작물의 유통이 활발하게 되고 수요에 따라 값이 올라가면서 상업적 농업이 발달하게 된 것이다.
허나 이런 농업 또한 높은 생산량에 따른 잉여수확물이 많아지게 따라 가능한 것이므로 농업과 상업의 상호적인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경우라 할 수 있다.
Ⅶ. 결 론
이상으로 조선후기의 전반적인 농업과 경제의 발전 그리고 이 두 가지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농업은 상업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잉여수확물과 비농업 노동력은 조선후기 산업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침에 분명하다. 그리고 논지와는 상관없는 내용이지만 사실 조선의 경제하면 사농공상이라 하여 경제가 많이 뒤처지고 농업에만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국가로 선입견에 잡혀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조선은 농업국가로서 주로 농업이 사회의 중요한 기반이었고 그에 대한 정책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먼저 사로 잡혀있던 선입견이 많이 틀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조선정부도 17세기말부터 시장의 중요성을 깨닫고 그에 따른 많은 노력을 이번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배웠기 때문이다. 사실 보고서의 소제목에서 짐작 할 수 있듯이 난 농업이 조선의 상업과 경제에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들었었다. 하지만 보고서를 작성하면서 이러한 선입견을 깨고 얻은 사실은 농업과 경제는 서로 상호작용하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고 더욱 더 발전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나도 몰랐던 조선에 대한 선입견 깨는 귀중한 시간이었다.
Ⅷ. 참고문헌
“시장을 열지 못하게 하라“ 김대길(2000). 가람기획. 1-22, 33, 201-227
“한국사와 농민“ 김석형(1998). 새롬서원. 128-157, 179-200
“조선 중세 수공업사 연구” 홍희유(1989). 지양사. 263-299
“조선시대의 인구변동과 경제사” Michell, Tony(1989). 釜山史學. 14-23
“조선전기 농법의 전통과 변화” (농업사 연구 제3권 1호) 이호철(2004). 28-42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농민'에 관한 보고서
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
[사화]조선시대 4대 사화에 관하여
[역사] [근현대사]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교육적 기능
조선시대의 도화서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를 읽고(농민의 삶)
정부와 시민참여 - 영화 '이장과군수'와 비교한 조선시대 부패와 감찰제
(A+자료) 조선시대 농경중심의 과학기술 및 동서양의 수차의 발달 응용조사와 세종의 수차장...
한국의역사와문화 - 조선시대를 바라보는 제 3의 시각
[한국문학연구] <노처녀가Ⅰ>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의식
[한국문화의 이해_조선시대의 술 문화]- 금주령(금주령의 전개와 영조의 금주령으로 벌어진 ...
우리나라 사회복지발달과정에서의 조선시대 구제사업에 대해 서술
전통문화의 성 [조선시대 춘화 형성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