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What Is a DMB?
1. Definition
2. DAB
3. Feature
4. Multi Channel
5. Media Flow
6. Standard

II. DMB Topology
1. TDMB/SDMB Topology
2. DAB/DVB Topology

III. TDMB vs. SDMB
1. Technical Comparison
2. General Comparison
3. Comparison with STV
4. Media Flow (TDMB)
5. Media Flow (SDMB)

IV. SDMB Detail
1. Cast Center
2. Satellite
3. Gap Filler & Receiver
4. Channel Composition
5. Service Comparison

V. Gossip
1. TDMB vs. SDMB
2. DMB Future
3. Schedule
4. DTV & DMB
5. 지상파 재전송

* Abbreviation Table
* Reference

본문내용

I. What Is a DMB? 1
정의 [방송위원회]
CD 수준의음질과데이터또는영상서비스등이가능하고우수한고정및이동수신품질을제공하는디지털방식의멀티미디어
방송
1987년 : Eureka-147 공동프로젝트시작(오디오, 데이터의이동수신이목적)
1993년 : ITU-R에서 Eureka-147의고유명칭으로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를명명
2000년 4월 : 정통부는디지털라디오방송의방식으로 Eureka-147 방식을국내표준으로잠정결정
2002년 12월: 정통부는 DAB를 DMB[디지털라디오방송] 로명명하고 Eureka-147을국내표준으로채택
2003년 1월 : 정통부는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로공식발표
2003년 2월 : 방송위는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로명명하기로하고, 전송수단에따라TDMB/SDMB로구분
2004년 3월 : 임시국회에서방송법개정(안)을통과시키면서 DMB[이동멀티미디어방송]로새롭게규정
2004년 7월 : “DTV 비교시험추진 4인위원회”에서 DTV의이동수신보완용으로일부채널의TDMB 재전송을추진키로함(이동성을위해1차적으로TDMB 고려한다음차후 DVB-H 도입고려)
DAB
Eureka-147 공동프로젝트의고유명칭으로고음질의오디오, 데이터이동수신이목적
강력한이동성(200km/h) 및휴대수신이가능
국가재난방송(EWS), 교통정보(TMC)등의데이터서비스가능
DMB
필요성 : 방송에대한신규수요급증, 기존라디오방송의한계도달, CATV/DTV/Internet 등경쟁매체확산
서비스 : DAB 서비스(Audio, Data) + Video 서비스
종류 : 지상파 DMB(TDMB), 위성 DMB(SDMB)

키워드

DMB,   TDMB,   SDMB,   방송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06.06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5396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