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목적
이론
실험결과
오차원인 및 분석
목적
이론
실험결과
오차원인 및 분석
본문내용
입력 전원의 관계
- 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냉각수의 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성능계수는 커지고 입력 전원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스템 성능계수는 전기 동력분의 응축기에서의 열전달률 이므로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전기 동력은 점점 감소하고 마찬가지로 유 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물과 증기의 열교환이 잘 일어나게 되므로 시스템 성능계수도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③ 오차 원인 및 분석
ⅰ) 열펌프 유량계로 실험을 할 때, 이 기구의 부자가 약간씩 반복적인 유동으로 인해 서 실험을 정확하게 하는데 약간의 지장을 가져 왔다. 그래서 위의 결과 값의 유량 은 측정시간 동안에 빠져나가는 냉각수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 또한 사람의 손으로 물은 받아내다 보니 유량계의 오차와 같은 결과를 낳았다.
ⅱ) 온도 측정 시 디지털이어서 측정하기 편리하였으나, 온도 값이 자주 변동하면서 측정을 할 때에 약간의 에로사항이 있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다.
ⅲ) 이번에 실험한 장치의 결함으로 냉매가 제외된 상황에서 실험을 하였다. 그러다 보니 냉매의 상태를 이용한 이론적인 성능계수의 계산이 이루어 지지가 않아서 실 제값과 이론값의 비교를 할 수가 없었다.
- 표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냉각수의 유량이 증가하게 되면 성능계수는 커지고 입력 전원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스템 성능계수는 전기 동력분의 응축기에서의 열전달률 이므로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전기 동력은 점점 감소하고 마찬가지로 유 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물과 증기의 열교환이 잘 일어나게 되므로 시스템 성능계수도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③ 오차 원인 및 분석
ⅰ) 열펌프 유량계로 실험을 할 때, 이 기구의 부자가 약간씩 반복적인 유동으로 인해 서 실험을 정확하게 하는데 약간의 지장을 가져 왔다. 그래서 위의 결과 값의 유량 은 측정시간 동안에 빠져나가는 냉각수의 양을 측정하였다. 이 또한 사람의 손으로 물은 받아내다 보니 유량계의 오차와 같은 결과를 낳았다.
ⅱ) 온도 측정 시 디지털이어서 측정하기 편리하였으나, 온도 값이 자주 변동하면서 측정을 할 때에 약간의 에로사항이 있어 정확한 측정이 어려웠다.
ⅲ) 이번에 실험한 장치의 결함으로 냉매가 제외된 상황에서 실험을 하였다. 그러다 보니 냉매의 상태를 이용한 이론적인 성능계수의 계산이 이루어 지지가 않아서 실 제값과 이론값의 비교를 할 수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