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 자동현상기의 구조와 원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사선] 자동현상기의 구조와 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방사선 사진의 현상처리

2. 자동현상기의 구조
1) 현상부
2) 정착부
3) 수세부
4) 건조부
5) 자동현상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통제

3. 현상처리와 처리액 관리
1) 현상액, 현상보조제
2) 정착액, 정착보조제

4. 자동현상기의 변천사

5. 자동현상기의 관리

본문내용

odak 사에서 X-Omat의 제품명으로 발매되어, 계속해서 Pako 사에서 Pakorol이 시판되었다. 이것이 roller형 자동현상기이며, 이후 X선 필름 메이커는 이 종류의 자동현상기의 생산을 보다 소형화 또한 신속화에 대한 개량을 서둘러 기종도 다양화되어 널리 사용하기에 이르렀다.
roller형 자동현상기의 출현은 병원의 X선 사진 부분의 중앙집중화를 촉진하고 더욱이 X선필름의 완전 명실처리화에 대한 선봉이 되었다. 수동 현상은 약 70분, Hanger형은 약 13분에 걸쳐 완성되었던 X선 필름이 3분반, 90초 현재에는 45초까지 시간이 단축되었다.
5. 자동현상기의 관리
1)현상액의 피로
현상액의 피로도를 알려면 현상처리가 된 필름크기와 수량, 또 액의 사용일수를 기록해 두어야 한다. 후자의 경우는 1일에 현상하는 필름 크기와 양이 거의 일정한 경우에 한정된다. X선 사진의 경우는 화질을 좋게 유지하기 위해서 현상액의 효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시켜야 한다. 이 때문에 주기적으로 보충액을 가해주지만, 그 양과 빈도는 각각 현상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한번에 다량 보충하는 것보다 소량씩 회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2)보충량, 주기, 사용한도
현상에 따라서는 현상액은 피로하면 동시에 유제층에 침투, 흡수되어 감량한다. 이 양은 필름의 크기와 현상액에서 빠져나가는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최초의 현상액 level을 표시해놓고 필름을 현상해서 액이 없어지면 본래의 level까지 보충액을 보충한다. 자동현상기처리에 대한 표준적인 보충량은 통상 4절 필름 1매 당 약 40ml~60ml정도 이다.
정착액은 사진의 보존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항상 fresh한 fixer에 가까운 성능을 유지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정착액 보충은 새로운 정착액을 강제보충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현상액을 구성하는 약품의 성질과 작용을 이해하고 처리, 보충 의 조건설정과 취급법을 정하고 표준화에 따라 기술과 작업의 애로사항을 감소시킨다. 일상적인 액처리를 하는 도중에 표준시료로 사진농도를 측정하여 액의 안정상태 확인과 이상의 조기발견과 처리대책의 신속화를 도모한다.
3)현상조건과 사진특성
동일한 현상액으로 현상하여도 현상액의 온도와 현상시간으로 사진의 특성이 달라진다. 보통 현상온도와 시간의 요소를 현상조건이라고 한다. 현상된 사진 상의 대조도와 농도는 현상시간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시간을 연장시킴에 따라 대조도가 높아지고 농도도 증가하는데 그 이후는 시간연장으로 fog증가가 눈에 띄게 많아진다. 이 때문에 대조도는 낮아진다.
4) 자동현상기의 청소
자동현상기는 통상 3주에 한번정도 청소를 해야 한다. 계절에 따라 현상액의 노후도 다르므로 여름에는 더 자주 해야 한다. 자동현상기를 사용하다 보면 현상부, 정착부, 수세부에 이물질이 생기게 되고 roller부분에 부식물이 붙어 사진의 대조도가 떨어지고 얼룩이 생겨 지저분해지게 된다. 각각 롤러와 탱크를 물로 깨끗하게 씻어내고 새로운 현상액, 정착액을 조제하여 채우는 과정을 거친다.
5)자동현상기의 조작
자동현상기는 매일 사용하기 30분 전에 switch를 넣고 준비한다. 사용개시전에 설정 보충량, 현상표기온도가 지정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느낀점
이번 Report를 하면서 자동현상기에 대해 자세하게 알 수 있었습니다. 필름이 자동현상기로 들어가 깨끗하게 출구로 나올때까지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알 수 있었고, 이러한 현상기 속에 현상액, 정착액의 종류와 구성물질 등을 자세히 공부하였습니다.
이번 과제를 하며 배운 현상기의 원리, 현상기 관리법 등을 밑거름으로 좋은 방사선사가 될수 있도록 열심히 노력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6.08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0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